•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고물가 시기 국민 교통비 절감을 위해 알뜰교통카드의 지원 혜택이 대폭 확대되고 사용 가능한 카드사도 기존 6개에서 11*까지 다양해진다.

 

* (기존신한,우리,하나,로카,티머니,DGB + (신규 참여국민,농협,BC,삼성,현대

 

 알뜰교통카드는 국민 누구나 이용 가능한 교통카드*대중교통비를 월 최대 약 1~4만원 절감**할 수 있으며카드사의 추가 할인혜택까지(대중교통비의 약 10%, 월 최대 4만원받을 수 있어 이용 만족도가 높다.

 

* '23.2월 현재 기준전국 17개 시·도 및 173개 시··구에서 53만 명이 이용 중

** 대중교통 이용 시마다 마일리지를 적립한 후 매월 환급(또는 자동 청구할인)


최근에는 청년·저소득층에 대한 마일리지 혜택강화(1~)하여, 고물가 시기 대중교통 의존도가 높은 취약계층 경제적 부담 적극적으로 완화하는 등 정책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위원장 이성해)는 이러한 알뜰교통카드의 교통비 절감 효과를 더욱 강화하고자 저소득층 대상 적립 금액을 한층 더 상향*(3~)하고,

 * 회당 마일리지 적립액 상향 현행 절감액 대비 최대 11만원 추가 절감


 적립 한도를 늘린 알뜰교통카드 플러스*(7~)를 선보여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더라도 경제적 부담은 적을 수 있도록 지원 혜택을 지속적으로 늘려나간다는 계획이다.

 마일리지 적립횟수 상한을  44  60 상향(1~4만원  1.5~6.6만원 절감)

 

 또한최초 가입 시 주소지 검증 절차를 자동화*하여 주민등록등본 등 서류를 직접 제출해야 했던 불편을 없애고,

 행정정보망 연계를 통해 주민등록번호만 입력하여도 주소지 자동 확인

 

 출발·도착 버튼을 매번 누르지 않아도 마일리지가 적립될 수 있도록 즐겨찾기 구간 설정 또는 도보 수 측정 방식을 도입하는 등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편의성도 대폭 개선할 계획이다.

 

 그 밖에도알뜰교통카드는 그간 가입할 수 있는 카드사가 많지 않아 이용자의 선택지가 적었던 만큼 카드사 확대를 위한 공모(1.17~2.14)를 진행하여 5개 신규 카드사* 추가 모집하였으며,

 * (기존신한,우리,하나,로카,티머니,DGB + (신규 참여국민,농협,BC,삼성,현대

 

 2 22(협약식에서 총 11개 카드사와의 알뜰교통카드 플러스협력 협약식*을 개최함으로써 공공과 민간의 협력 기반을 공고히 할 예정이다.

 * (일시/장소) 2 22() 10서울 명동 포스트타워 대회의실(10)

 

 각 카드사는 알뜰교통카드의 마일리지에 더해 추가 대중교통비 할인 및 기타 생활 서비스 할인  차별화된 혜택을 구성하여 이용자들의 다양한 소비 패턴을 만족시킬 수 있는 맞춤형 알뜰교통카드를 출시한다.

 신규 카드사는 알뜰교통카드 플러스도입 시기인 7월부터 이용 가능

 

 이날 행사에는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을 비롯하여 기존의 알뜰교통카드 협력 카드사 및 신규 참여 카드사의 대표이사권용복 한국교통안전공단 이사장정완규 여신금융협회 회장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공공요금 인상 등으로 고물가 시기가 지속되어 국민 생활 부담이 점차 가중되고 있는 상황 속에알뜰교통카드로 국민 부담을 조금이나마 덜어드릴 수 있어 다행이며, “사실상 국내 대부분의 카드사가 함께하는 만큼 그 의미가 매우 크다라고 밝히는 한편,

 

 “마일리지의 기본원칙은 부담은 줄이고혜택은 늘리고사용은 편하게 하는 것이며, “그래서 알뜰교통카드는 마일리지를 쌓으면 직접 현금으로도 받을 수 있게 설계했다.”라고 하면서, “소위 ‘온국민 혜자카드 될 수 있게 철저히 국민의 입장에서 지원 혜택을 지속적으로 늘려갈 계획이다라고 하였다.

 

 한편원 장관은 카드사와의 협약식을 진행하기에 앞서 알뜰교통카드를 직접 이용해 본 청년들과의 간담회를 가지며생생한 이용 후기를 듣고 향후 알뜰교통카드의 발전 방향 등을 함께 고민하는 시간을 갖는다.

 

 고물가 시기에 2030 세대를 중심으로 앱테크* 많은 관심을 끌고 있는 가운데알뜰교통카드도 청년 이용자 수 비율** 높은 만큼 향후 개선 방향 등에 대하여 다양한 아이디어가 오고 갈 것으로 기대된다.

 어플리케이션(App)과 재테크의 합성어로앱을 활용해 수익을 창출하는 활동을 지칭

** 전체 이용자 중 20(40%)·30(34%) 등 젊은 층이 약 74% 해당(’22년 성과 분석 결과)

 

 협약식 이후에는 직접 마일리지를 적립해보는 체험 행사도 진행된다청년들과 함께 거리를 걷고 대중교통을 탑승해보면서 알뜰교통카드 이용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한다는 계획이다.

 

 원 장관은 적립 체험 행사 이후, “알뜰교통카드가 청년들의 필수 생활 아이템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속 보완하는 한편,”

 

 “·장년층을 포함한 전 연령층이 더욱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발전시켜 대한민국의 모든 국민이 사용하는 교통카드로 발전시킬 것이라고 강조할 계획이다.



[ 국토교통부 2023-02-2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005 국민권익위-보건복지부,‘연명의료결정제도’ 국민의견 듣는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28 24
9004 12월 17일부터 모더나 단가백신 접종종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1.18 24
9003 금융꿀팁 200선_퇴직연금 DB형, DC형 선택, 전환시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1.21 24
9002 미등록 전자지급결제대행 관련 불법행위 엄단 및 소상공인 유의사항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02 24
9001 청년 구직활동 돕는 법령 일괄 정비안, 12.19일부터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19 24
9000 2023년도 가구당 슬레이트 지붕 철거비 지원규모 2배로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7 24
8999 보건복지부,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 행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1 24
8998 취업준비생들의 관심이 쏠리는 자격 등급별 TOP5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7 24
8997 학대 피해장애인 인도기관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8 24
8996 일회용기의 미세플라스틱, 다회용기보다 최대 4.5배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8 24
8995 진로탐색.경력개발부터 취업까지 한 번에 해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2 24
8994 고용.산재보험 보수총액신고 3월 15일까지, 건설업 등 자진신고 사업장 3월 31일까지 보험료 신고.납부해야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6 24
8993 잔류농약 기준 초과 검출된 수입 ‘아보카도’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1 24
8992 호우와 태풍 풍수해보험으로 미리 대비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22 24
8991 ‘전세사기 피해자 서울보증(SGI) 대환대출’조기 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30 24
Board Pagination Prev 1 ...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