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황근, 이하 농식품부)는 농업인의 안정적인 노후생활 보장을 지원하고 농가 경영안정에 기여하기 위해 농지연금 제도개선을 추진한다.

 

  첫째, 지난해 농지연금 가입연령 기준이 만 65세에서 만 60세로 인하됨에 따라 가입자 사망 시 연금을 승계받을 수 있는 배우자 연령 기준도 만 60 이상에서 만 55세 이상으로 하향 조정하여, 고령 농업인 부부 모두가 종신까지 더욱 두텁게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한다.

 

  둘째, 평생 연금을 받는 종신형과 달리 가입자가 선택한 일정한 기간(5, 10, 15) 동안 연금을 지급받는 기간형 상품 유형에 20년형을 추가한다.

 농지연금 기간형 지원방식의 가입연령 기준(농식품부 고시 2019-91)

기간형 가입 가능 연령은 노후생활보장이라는 연금의 입법취지 달성을 위해 기대수명(83, 통계청)을 감안하여 설정(예시 : 5년형 + 78세 가입 = 83세까지 보장)

기간형

5년형

10년형

15년형

+

20년형

가입연령

 78세 이상

 73세 이상

 68세 이상

 63세 이상

 

  셋째, 농지은행에 농지를 임대하고 농지연금에 가입하는 경우 월지급금을 5% 추가 지급하는 임대형 우대상품을 신규 출시하여 가입자에게 더 많은 연금을 지급하고 공사는 필요한 우량농지를 제공받아 청년농 등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중도상환 횟수 제한을 폐지한다. 기존에는 중도상환이 3년에 1회로 제한되었지만 여유자금이 있을 경우 언제든지 채무를 중도 상환할 수 있도록 개선한다.

 

  이번 제도개선 사항 중 배우자 연금 승계를 위한 가입연령 기준 인하는 한국농어촌공사 및 농지관리기금법 시행규칙(입법예고(2.21.4.2.) 개정 절차를 조속히 추진하여 올해 상반기 중 시행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기간형 상품 지원방식 확대, 임대형 우대상품 도입 등은 올해 3월 중 관련 고시 및 지침 개정을 완료하여 시행할 계획이다.

 

  박수진 농식품부 농업정책관은 이번 제도개선을 통해 농업인 개개인이 여건에 따라 다양한 상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농지연금이 보다 많은 농업인의 노후생활 안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청년농 등에게 우량농지를 확보하여 제공할 수 있는 기반도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 농림축산식품부 2023-02-2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611 뇌·뇌혈관 MRI 검사 필수수요 중심으로 보험기준 개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06 19
5610 뇌.심혈관 고위험 노동자 심층건강진단 받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07 9
5609 뇌 뇌혈관 자기공명영상법(MRI), 손 팔 이식술 등 건강보험 적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14 75
5608 놓칠 수 없는 할인행사‘사이버 핫 데이즈’개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10 51
5607 놓치기 쉬운 세무일정, 홈택스「나의 세무알리미」에서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11 15
5606 높아지는 기온, 얼음 깨짐 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8 9
5605 농후발효유, 당류 제품별 3.8배 차이나 함량 비교 후 선택 필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3 140
5604 농후발효유 비교정보 생산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3 76
5603 농협손해보험(주) 보험종목 추가 영위 허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1 79
5602 농축액상차류 위생·안전 관리 강화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31 68
5601 농축산 분야 재난피해 지원 대폭 강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23 12
5600 농촌체험마을, 신용카드 포인트 확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30 53
5599 농촌지역 활성화 하려면 경제적 지원과 지방 공교육 강화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8 11
5598 농촌융복합산업 추진 시 생산관리지역에 음식점 설치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22 67
5597 농촌에서 펼쳐지는 가을향연에 취해보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05 34
Board Pagination Prev 1 ... 545 546 547 548 549 550 551 552 553 554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