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전동보장구 이용자 상당수 안전사고 우려 높아

 

전동휠체어 및 전동스쿠터(이하 전동보장구’) 이용자의 상당수가 차도를 이용하는 등 안전사고 우려가 높고, 보도 이용 관련 안전 규정도 미흡해 이용자들의 주의 및 제도개선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동보장구 이용자 35.5%, 사고경험 있어1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전동보장구를 3년 이상 이용 중인 장애인 또는 보호자 28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35.5%(102)가 사고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유형별로 살펴보면, ‘턱·장애물 등에 의한 걸림사고가 41.2%(42)가장 많았으, 간판 등과 같은 외부 장애물과의 충돌36.3%(37), 운행 중 정지’ 32.4%(33), '차량과의 충돌‘ 24.5%(25), 보행자와의 충돌‘ 22.5%(23) 등의 순이었다(중복응답).

 전동보장구 이용자 45.6%, 차도나 자전거도로를 주로 이용

전동보장구 이용자는 보행안전 및 편의증진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는 보행자로서 보도를 이용해야 하나, 조사대상자의 45.6%(131)가 차도나 자전거도로를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50.4%(66)노면이 비교적 더 안정적이어서라고 답했고, 이어 장애물이 비교적 적어서’ 46.6%(61), ‘비교적 안전해서’ 27.5%(36), ‘비교적 덜 혼잡해서’ 9.9%(13)가 응답하여(중복응답), 전동보장구 이용에 적합하지 않은 보도환경으로 인해 보도 외 도로를 주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사고경험률은 보도 외 도로를 주로 이용하는 전동보장구 이용자(43.5%, 57)가 보도를 주로 이용하는 경우(28.8%, 45)보다 14.7%p 더 높게 나타났다.

보도 이용하는 전동보장구, 속도제한 및 안전 관련 규정 필요

한편, 보도를 주로 이용하는 전동보장구 또한 사고위험에서 자유롭지 않았다. 특히 전동보장구가 보도를 이용할 때 속도제한 및 안전 관련 규정*이 없어 이용자는 물론 다른 보행자 또한 안전사고에 쉽게 노출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전자의료기기 기준규격에서 표준이 되는 전동보장구의 고속도를 15km/h로 정하고 있으나 전동보장구 이용 시의 속도 및 안전 관련 규정은 없음.

실제로 보도를 주로 이용하는 사고경험자(45)22.2%(10)보행자와의 충돌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국내와 달리 일부 선진국에서는 전동보장구가 보도로 주행할 경우의 속도 및 안전 수칙을 자세하게 정하고 있다.

 

2 

사고 잦은 전동보장구, 대비책 마련 필요

또한 전동보장구 관련 사고가 상당수에 이르고 있음에도 이용자의 금전적 손해에 대한 대비책이 없어 관련 보험제도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 경험이 있는 전동보장구 이용자(102)의 최근 사고로 인한 피해내용은 보장구 파손39.2%(40)로 가장 많았고, 피해액 또한 1백만원 이상의 고액인 경우가 7.8%(8)에 이르렀다.

더불어 전체 조사대상자의 78.7%(226)는 손해보험이 필요하다고 답변하였으며, 필요한 보장내용으로는 전동보장구에 대한 손해 보상81.0%(183)로 가장 많았고, ‘보장구 운행자에 대한 상해 보상상대방(다른 보행자 등)에 대한 보상이 각각 63.7%(144) 등이었다(중복응답).

3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전동보장구 관련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주행 속도제한 및 안전 관련 규정을 마련하도록 관계부처에 건의할 예정이다.

 

[한국소비자원 2016-04-1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078 전세사기 및 소위 ‘깡통전세’ 방지를 위한 임대차 제도개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1.21 19
11077 전세버스, 렌터카 사고기록 데이터로 공개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20 9
11076 전세계 115개국과 의약품 온라인 불법 유통 공동 대응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2 67
11075 전세 계약기간이 절반 이상 지난 세입자도 전세금반환보증 가입이 가능해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3 7
11074 전북지역 가금관련 시설 및 전국 다솔 계열사 소속농가․업체 일시이동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2 37
11073 전북, 제주 등 AI 발생지역에서 비발생 지역으로 가금류 반출제한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08 47
11072 전북 익산(만경강) 야생조류 분변에서 H5형 AI 항원 검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20 35
11071 전북 고창 육용오리 고병원성 AI 확진에 따른 전국 일시이동중지 및 일제 소독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20 36
11070 전문위탁병원이 국가유공 환자에게 진료비 직접 청구 않도록 관리 강화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04 32
11069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양성 시 추가 PCR 검사 없이도 바로 진료·상담·처방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11 44
11068 전문 강사 확보로 국민안전교육 활성화 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30 35
11067 전두엽 치매·루게릭병 일으키는 ‘인지행동 장애 유전자’ 발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30 53
11066 전동휠체어, 제품별로 주행 편리성, 배터리 성능 등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19 42
11065 전동휠 대여서비스, 소비자 안전 대책 미흡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20 148
11064 전동킥보드, 제품별로 주행거리, 주행성능 등에서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12 33
Board Pagination Prev 1 ...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