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전동보장구 이용자 상당수 안전사고 우려 높아

 

전동휠체어 및 전동스쿠터(이하 전동보장구’) 이용자의 상당수가 차도를 이용하는 등 안전사고 우려가 높고, 보도 이용 관련 안전 규정도 미흡해 이용자들의 주의 및 제도개선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동보장구 이용자 35.5%, 사고경험 있어1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전동보장구를 3년 이상 이용 중인 장애인 또는 보호자 28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35.5%(102)가 사고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유형별로 살펴보면, ‘턱·장애물 등에 의한 걸림사고가 41.2%(42)가장 많았으, 간판 등과 같은 외부 장애물과의 충돌36.3%(37), 운행 중 정지’ 32.4%(33), '차량과의 충돌‘ 24.5%(25), 보행자와의 충돌‘ 22.5%(23) 등의 순이었다(중복응답).

 전동보장구 이용자 45.6%, 차도나 자전거도로를 주로 이용

전동보장구 이용자는 보행안전 및 편의증진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는 보행자로서 보도를 이용해야 하나, 조사대상자의 45.6%(131)가 차도나 자전거도로를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50.4%(66)노면이 비교적 더 안정적이어서라고 답했고, 이어 장애물이 비교적 적어서’ 46.6%(61), ‘비교적 안전해서’ 27.5%(36), ‘비교적 덜 혼잡해서’ 9.9%(13)가 응답하여(중복응답), 전동보장구 이용에 적합하지 않은 보도환경으로 인해 보도 외 도로를 주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사고경험률은 보도 외 도로를 주로 이용하는 전동보장구 이용자(43.5%, 57)가 보도를 주로 이용하는 경우(28.8%, 45)보다 14.7%p 더 높게 나타났다.

보도 이용하는 전동보장구, 속도제한 및 안전 관련 규정 필요

한편, 보도를 주로 이용하는 전동보장구 또한 사고위험에서 자유롭지 않았다. 특히 전동보장구가 보도를 이용할 때 속도제한 및 안전 관련 규정*이 없어 이용자는 물론 다른 보행자 또한 안전사고에 쉽게 노출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전자의료기기 기준규격에서 표준이 되는 전동보장구의 고속도를 15km/h로 정하고 있으나 전동보장구 이용 시의 속도 및 안전 관련 규정은 없음.

실제로 보도를 주로 이용하는 사고경험자(45)22.2%(10)보행자와의 충돌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국내와 달리 일부 선진국에서는 전동보장구가 보도로 주행할 경우의 속도 및 안전 수칙을 자세하게 정하고 있다.

 

2 

사고 잦은 전동보장구, 대비책 마련 필요

또한 전동보장구 관련 사고가 상당수에 이르고 있음에도 이용자의 금전적 손해에 대한 대비책이 없어 관련 보험제도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 경험이 있는 전동보장구 이용자(102)의 최근 사고로 인한 피해내용은 보장구 파손39.2%(40)로 가장 많았고, 피해액 또한 1백만원 이상의 고액인 경우가 7.8%(8)에 이르렀다.

더불어 전체 조사대상자의 78.7%(226)는 손해보험이 필요하다고 답변하였으며, 필요한 보장내용으로는 전동보장구에 대한 손해 보상81.0%(183)로 가장 많았고, ‘보장구 운행자에 대한 상해 보상상대방(다른 보행자 등)에 대한 보상이 각각 63.7%(144) 등이었다(중복응답).

3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전동보장구 관련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주행 속도제한 및 안전 관련 규정을 마련하도록 관계부처에 건의할 예정이다.

 

[한국소비자원 2016-04-1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66 '16년 전월세 거래량은 전국 146.0만 건으로 전년 대비 0.9% 감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17 98
1965 '16년 부동산 실거래가 허위신고 등 6,809명 적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17 98
1964 이사업체 허가여부 확인하고, 계약서 꼼꼼히 작성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06 98
1963 연 100만 건의 렌터카 공문, '문서24'로 한 번에 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02 98
1962 '수소수' 미세먼지 제거.질병 치료 효과 근거 없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7 98
1961 회사가 도산해 못 받은 ‘출산휴가 급여’도 체당금으로 받을 수 있게 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18 98
1960 ‘중증 아토피 치료 약제’소아 및 청소년까지 건강보험 적용 확대로 환자 부담 경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27 98
1959 전세사기 피해자가 거주 중인 주택을 낙찰 받아도 청약 시 무주택자로 인정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06 98
1958 특정 필라테스 업체의 휴업으로 환급·계약해제 상담 크게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13 98
1957 전세사기 피해자에 대한 금융권 자율 경매유예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19 98
1956 공공기관 ‘핑퐁민원’(민원 떠넘기기) 사라진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4 99
1955 권익위, “향후 발생 민원 우려한 관할청의 과도한 건축허가 제한은 위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3 99
1954 경찰청·안전보건공단·배달앱 3사 힘합친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8 99
1953 선글라스, 자외선 차단 양호, 사용 환경에 맞는 밝기 선택해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9 99
1952 가해자와 피해자간 공모 등을 통한 자동차 보험사기 적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2 99
Board Pagination Prev 1 ... 788 789 790 791 792 793 794 795 796 797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