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전동보장구 이용자 상당수 안전사고 우려 높아

 

전동휠체어 및 전동스쿠터(이하 전동보장구’) 이용자의 상당수가 차도를 이용하는 등 안전사고 우려가 높고, 보도 이용 관련 안전 규정도 미흡해 이용자들의 주의 및 제도개선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동보장구 이용자 35.5%, 사고경험 있어1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전동보장구를 3년 이상 이용 중인 장애인 또는 보호자 28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35.5%(102)가 사고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유형별로 살펴보면, ‘턱·장애물 등에 의한 걸림사고가 41.2%(42)가장 많았으, 간판 등과 같은 외부 장애물과의 충돌36.3%(37), 운행 중 정지’ 32.4%(33), '차량과의 충돌‘ 24.5%(25), 보행자와의 충돌‘ 22.5%(23) 등의 순이었다(중복응답).

 전동보장구 이용자 45.6%, 차도나 자전거도로를 주로 이용

전동보장구 이용자는 보행안전 및 편의증진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는 보행자로서 보도를 이용해야 하나, 조사대상자의 45.6%(131)가 차도나 자전거도로를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50.4%(66)노면이 비교적 더 안정적이어서라고 답했고, 이어 장애물이 비교적 적어서’ 46.6%(61), ‘비교적 안전해서’ 27.5%(36), ‘비교적 덜 혼잡해서’ 9.9%(13)가 응답하여(중복응답), 전동보장구 이용에 적합하지 않은 보도환경으로 인해 보도 외 도로를 주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사고경험률은 보도 외 도로를 주로 이용하는 전동보장구 이용자(43.5%, 57)가 보도를 주로 이용하는 경우(28.8%, 45)보다 14.7%p 더 높게 나타났다.

보도 이용하는 전동보장구, 속도제한 및 안전 관련 규정 필요

한편, 보도를 주로 이용하는 전동보장구 또한 사고위험에서 자유롭지 않았다. 특히 전동보장구가 보도를 이용할 때 속도제한 및 안전 관련 규정*이 없어 이용자는 물론 다른 보행자 또한 안전사고에 쉽게 노출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전자의료기기 기준규격에서 표준이 되는 전동보장구의 고속도를 15km/h로 정하고 있으나 전동보장구 이용 시의 속도 및 안전 관련 규정은 없음.

실제로 보도를 주로 이용하는 사고경험자(45)22.2%(10)보행자와의 충돌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국내와 달리 일부 선진국에서는 전동보장구가 보도로 주행할 경우의 속도 및 안전 수칙을 자세하게 정하고 있다.

 

2 

사고 잦은 전동보장구, 대비책 마련 필요

또한 전동보장구 관련 사고가 상당수에 이르고 있음에도 이용자의 금전적 손해에 대한 대비책이 없어 관련 보험제도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 경험이 있는 전동보장구 이용자(102)의 최근 사고로 인한 피해내용은 보장구 파손39.2%(40)로 가장 많았고, 피해액 또한 1백만원 이상의 고액인 경우가 7.8%(8)에 이르렀다.

더불어 전체 조사대상자의 78.7%(226)는 손해보험이 필요하다고 답변하였으며, 필요한 보장내용으로는 전동보장구에 대한 손해 보상81.0%(183)로 가장 많았고, ‘보장구 운행자에 대한 상해 보상상대방(다른 보행자 등)에 대한 보상이 각각 63.7%(144) 등이었다(중복응답).

3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전동보장구 관련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주행 속도제한 및 안전 관련 규정을 마련하도록 관계부처에 건의할 예정이다.

 

[한국소비자원 2016-04-1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29 "비행기타고 모바일스탬프 찍고 경품 받아가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03 151
2428 특수형태근로종사자.프리랜서의 생계안정을 위한 "6차 긴급고용안정지원금" 사업 시행 공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07 126
2427 검사소 방문 없이 온라인으로 재검사 받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07 131
2426 직장 내 성희롱 피해 경험률 낮아졌으나, 피해자 보호 강화·조직문화 개선 요구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07 123
2425 스마트 주소정보 플랫폼 구축으로 인공지능 로봇 배송 촉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07 125
2424 개정 대리점법·시행령 및 관련 고시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08 133
2423 「전화금융사기 특별 자수ㆍ신고 기간」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08 173
2422 「모자보건법 시행령」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의결(6.7.)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08 178
2421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 및 지위 향상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의결(6.7)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08 182
2420 온열질환자 전년 대비 증가세, 건강수칙 준수 당부 (6.8.)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08 183
2419 보도자료 contents area 보도자료(전체) SNS공유 열기 detail content area 원숭이두창(Monkeypox)을 “제2급감염병”으로 지정하는 고시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08 185
2418 식물성 대체육, 콜레스테롤이 없고 소고기 패티보다 단백질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09 58
2417 더워지는 날씨, 냉방기 사용 전 점검으로 화재 예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09 53
2416 식약처, 온라인 판매 농.수산물 수거.검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09 54
2415 구강보건을 위한 의약외품, 올바르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09 56
Board Pagination Prev 1 ... 759 760 761 762 763 764 765 766 767 768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