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고용노동부(장관 이정식)는 ‘청년도전지원사업’을 수행할 자치단체 35개를 선정하고, 2월부터 자치단체별로 본격적으로 사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청년도전지원사업’은 구직기간이 길어지거나 구직을 포기하기 전에 자신감 회복과 구직의욕 고취를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청년들의 경제활동 참여 및 노동시장 복귀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2021년도에 시범사업으로 도입된 이후 2022년도에는 사업에 참여한 자치단체(14→28개, 100%↑) 및 청년(3,287명→5,795명, 76.3%↑)은 크게 증가하였고, 그간 사업에 참여한 구직단념 청년(9,082명) 중 5,335명(58.7%)이 취.창업, 직업훈련, 국민취업지원제도 등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정서적 안정, 자신감 회복 및 진로 탐색 등에 많은 도움을 받았다는 답변이 다수 등 사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올해 고용노동부는 사업을 더욱 확대하여 구직단념 상태의 장기화로 인해 사회참여를 위해 충분한 준비기간이 필요한 청년을 대상으로 5개월 이상의 중.장기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참여 청년에 대한 지원도 강화한다.

단기 프로그램(1~2개월)을 이수하면 50만 원의 참여수당을 지급하고, 중.장기 프로그램(5개월 이상)을 이수하면 참여 수당 250만 원에 이수 인센티브 50만 원을 더해 최대 300만 원을 지급한다.

사업 지원 대상은 △구직단념 청년 △자립준비 청년 △청소년 쉼터 입?퇴소 청년 △북한 이탈 청년 △지역특화 선발 청년 등이고, 특히, 고등학교 졸업(예정)자, 대학 졸업 유예생 등에 대해서는 선제적으로 장기 구직단념 상태로의 전환 방지를 위해 참여 요건을 완화하여 지원한다.

참여를 희망하는 청년은 사업 운영기관(자치단체 및 컨소시엄 기관)에 직접 방문 또는 워크넷(www.work.go.kr)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이현옥 청년고용정책관은 “이 사업은 구직단념 청년들의 자신감 회복과 구직의욕 고취를 통해 적극적 사회 진출을 이끌어 내기 위한 것으로 많은 청년의 모집과 참여가 중요하다.”라며, “자치단체 및 지역 내 유관기관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조를 부탁한다.”라고 밝혔다.
또한, “앞으로 운영상황을 꼼꼼하게 살피고, 프로그램 이수 후에도 취.창업, 직업훈련 및 구직활동 지원 등 사후관리를 철저히 하여, 청년들이 구직의욕을 갖고 미래를 설계해 나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해 나가겠다.”라고 강조했다.
 


[ 고용노동부 2023-02-0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215 가짜 저축은행 홈페이지를 이용한 보이스피싱 유행, '소비자경보' 발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8 105
12214 건고추‘경계경보’발령 및 추가 수급대책 추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06 105
12213 17년 장기요양 수가 평균 3.86% 인상, 보험료는 현행 유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08 105
12212 변액보험 관련 불합리한 관행 개선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1 105
12211 어린이 전동 승용완구 성능·안전성 등 제품별 품질 차이 있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03 105
12210 여름철 말라리아, 뎅기열 등 모기 매개 감염병 주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02 105
12209 식육가공품 고기함량 표시 의무화 등 소비자 정보제공 강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20 105
12208 지카바이러스 사실은 이렇습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8 105
12207 인플루엔자 아직 ´안심은 일러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11 105
12206 주민등록번호 보호제도 한층 강화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11 105
12205 헌혈, 해외여행 후 1개월간은 피해주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11 105
12204 한국소비자원장, 설 명절 맞아 서민 생활물가 동향 점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02 105
12203 학교 밖 청소년, 2명 중 1명 학교를 그만둔 것을 후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01 105
12202 반려동물 사후처리도 품위승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21 105
12201 기간제를 무기계약직 근로자로 단정해 지원금 회수는 잘못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05 105
Board Pagination Prev 1 ...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