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지난해 공공기관에 접수된 민원을 분석한 결과, 10대는 게임·학교’, 20대는 병역’, 30·40대는 교통·학교’, 50대 이상은 부동산 관련 민원을 많이 제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0대를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공통적으로 소각장 등 지역기피시설에 대한 부정적 민원이 많았다.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전현희, 이하 국민권익위)는 민원분석시스템* 통해 2022년에 수집된 민원빅데이터 1,238만 건의 분석 결과와 앞으로의 민원 분석 개선 방향을 발표했다.

 * 국민신문고 및 지방자치단체 민원창구 등에 접수된 민원 빅데이터(Big-Data) 종합적으로 수집·분석하기 위한 국민권익위의 범정부 민원분석시스템

 

 지난해 공공기관에 접수된 민원 중 불법주정차가 가장 많았고 이어 교통법규 위반 신고, 교통 및 주거환경 개선 관련 민원이 많았다.


지역별로 서울특별시는 소각장 신설 반대, 인천광역시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관련, 부산광역시는 태풍 힌남노 피해 복구 및 후속 대책 추진 요청, 대구광역시는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설립계획 철회 요구, 대전광역시는 버스전용차로 위반 신고, 경기도는 도립병원 설립 요청 등이 많았다.


세대별로는 10대는 게임·학교’, 20대는 병역’, 30·40대는 버스노선  정차 등 교통’, 학교 배정 및 통학 거리 등 학교’, 입주 지연  아파트 명칭, 50대 이상은 재건축, 재개발 등 부동산에 관심이 많았다.


 특히 10대를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공통적으로 소각장, 차량기지 등 지역기피시설 관련 민원이 많았다.


□ 지난해 발생한 민원은 총 12,381,209(2023.1.2.기준)으로 전년(15,051,510) 대비 17.7% 감소했다. 이는 2021년에 많이 발생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노선, 코로나19, 경기도 초등학교 신설 관련 민원 등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연령별로 40(32.1%), 30(27.5%), 50(18.2%) 등의 순으로 민원이 많았고 전 연령층에서 전년 대비 감소했다. 특히 GTX 초등학교 신설 민원 감소 등의 영향으로 30대 여성(59.6%) 30 남성(59.0%)이 가장 많이 감소했다


지역별로 경기(30.5%), 서울(15.6%), 인천(10.9%), 부산(5.5%), 대구(5.0%) 등의 순으로 많았다야별로는 전년도와 비교해 인천광역시 검단신도시 특화구역(카페거리조성 요청 민원 등이 발생한 관광 분야가 가장 많이 증가(31.1%)했다.


관유형별로는 중앙행정기관(35.9%), 지방자치단체(15.5%), 교육청(48.7%), 공공기관(30.9%) 등 모든 기관에서 민원이

    감소했다.


중앙행정기관 중에서는 위례신사선 민간투자사업의 실시협약 촉진을 위한 대책 요청(18,441)’ 등 총 38,674건이 발생한 기획재정부가 전년 대비 70% 이상 가장 많이 증가했다.


 교육청 중에서는 초등학교 배정 관련 이의(9,307)’ 민원 등 총 12,481건이 발생한 대구교육청이 전년 대비 138.9% 증가했다.


 공공기관 중에서는 게임물 이용 연령 등급 상향에 대한 반발(36,998)’ 등 총 48,475건이 발생한 게임물관리위원회가 전년 대비 2,763.3% 증가했다.

 

 국민권익위는 민원분석시스템에 수집된 민원빅데이터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후 각급 기관에 제공해 민원을 유발하는 각종 제도와 정책을 개선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전국적으로 빈발하는 민원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토대로 주차 갈등 해결(2)’ 공동주택 층간소음 해소(10)’ 등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해 국토교통부, 환경부, 경찰청, 전국 지방자치단체(243)에 권고했다.


 교육부와 협업해 중학교 입학 배정 관련 민원을 분석해 적극행정 방안을 도출하고, 국회사무처와 함께 민원빅데이터 기반 대한민국 민원지도를 개발했다. 현재 대한민국 민원지도는 국회 누리집과 연계돼 국회 의정활동과 정책개발에 적극 활용되고 있다.


 또 매월 국민에게 피해와 불편 등을 유발하는 이슈*를 선정하고 민원예보를 발령해 관계기관의 적극적인 대응을 요청하고 있다.

 * 2022 3월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 4월 코로나 재택치료, 6월 장마철 안전, 8월 물놀이 안전사고, 10월 산업재해, 12월 한파·난방 등


이와 함께 국민권익위는 다수 국민이 공감하는 불편사항 45건을 발굴해 관계기관에 개선을 요청했으며, 관계기관은 이 중 39(86.7%)을 조치했다.


이 밖에도 국민권익위는 각급 기관의 민원빅데이터 분석활용 실적을 평가해 기관이 자율적으로 민원제도를 개선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국민 누구나 국민권익위가 운영하는 한눈에 보는 민원 빅데이터(bigdata.epeople.go.kr)’ 누리집에서 국민의 소리 2022년 동향을 비롯한 각종 민원분석 자료를 찾아볼 수 있다.

 

 국민권익위는 올해 민원빅데이터와 외부 언론데이터 등을 융복합해 분석의 정확도를 높이고 국민의 생명·안전과 관련된 이슈를 관계기관에 신속하게 예보한다.


또 공공기관뿐만 아니라 민간기관·학계 등과 협력체계를 구축해 다양한 분야의 빅데이터를 통합 분석함으로써 민원데이터에 대한 사회경제적 이용 가치를 더욱 확대해 나간다.


국민권익위는 가공하지 않은 원본 빅데이터에 대한 국민의 접근성을 높이고 국민이 참여하는 민원빅데이터 분석활용 공모전을 개최해 사회문제 해결방안을 공론화할 계획이다.

 

 국민권익위 전현희 위원장은 민원빅데이터 분석활용은 업무혁신 차원을 넘어 범정부 데이터 기반 행정을 촉진해 궁극적으로 국민의 민원을 근원적으로 해소하고 국민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국민권익위는 국민의 목소리를 토대로 민원을 유발하는 정책과 제도를 개선해 나가는데 모든 역량을 기울이겠다라고 덧붙였다.



[ 국민권익위원회 2023-02-0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345 정부합동으로 ‘식품안전’ 관련 공익침해행위 집중신고 기간 운영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0.31 10
11344 정부합동민원센터 개소 후 민원상담 월 평균 2배 이상 증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26 38
11343 정부청사 정보, 한눈에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30 9
11342 정부조직 개편방안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0.06 13
11341 정부정책 추진상황, 궁금하다면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31 25
11340 정부에 맡겨둔 각종 보관금, 찾아가도록 적극 안내 해줘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0 32
11339 정부서울청사에서 국정운영 현장을 직접 체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23 30
11338 정부민원 '한 곳에서 한 번에' 상담... 23일 정부합동민원센터 문 연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4 12
11337 정부는 감염병 확산으로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자 임대료 감액 기준을 마련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31 17
11336 정부기관 손잡고 개학기 초등학교 주변 위해요인 특별단속 실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28 41
11335 정부「긴급재난지원금」신용・체크카드 신청 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11 10
11334 정부3.0으로 금융사기 피해 크게 줄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03 92
11333 정부3.0으로 과학적 식중독 예방 서비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08 77
11332 정부3.0으로 공공기관까지 원문정보 그대로 공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30 103
11331 정부3.0 ‘행복배달 빨간자전거’ 17명의 생명 구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18 113
Board Pagination Prev 1 ...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