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국내 유통 농․수산물선제적 관리 위해 잔류가능성이 높은 농약, 동물용의약품 등 유물질잔류실태 조사 실시합니다.

 ㅇ 23년도 조사 대상은 마트, 온라인쇼핑몰 등에서 유통되는 농․수산물 중 ▲상추, 사과 등 섭취량 상위 농산물 1,000건 ▲곶감, 깐밤 등 가열․조리하지 않거나 세척하지 않고 바로 섭취할 가능성 있는 농산물 425건 ▲새우, 장어 등 주요 양식어종 250건 ▲낚시터방류되는 어류 70건입니다.

  - 농산물은 현재 일상 검사항목에서 제외되어 있어 잔류실태 조사 필요한 농약 2*을 검사하고, 가열․조리 없이 섭취하는 농산물은 장출혈대장균**, 살모넬라균 등 식중독균 오염도 조사합니다.

    * 브로플라닐라이드, 아피도피로펜('20년 잔류기준 신설)

    ** 오염된 식품․물로 인해 사람에게 감염되며 장내에서 출혈성 설사 등을 유발하고 용혈성요독증후군을 동반할 수 있는 병원성 대장균

  - 수산물동물용의약품 160종과 말라카이트그린 등 사용금지 물질 10검사하고, 낚시터 방류되는 어류의 경우 중금속(, 카드뮴 등)대한 분석실시합니다.

 

 ㅇ 검사 결과 부적합으로 판정된 농․수산물은 유통되지 않도록 관계부처와 관할 지자체에 신속히 통보하여 판매금지․회수․폐기 될 수 있도록 조치예정입니다.

  - 또한, 조사 결과바탕으로 시험법 개정, 일상검사 관리 항목 선정, 위해평가 등 농․수산물 안전관리 정책반영계획입니다.

 ㅇ 참고로 식약처는 '22년 유통 농․수산물 1,950에 대한 유해물질류조사실시한 결과, 농약 등 잔류허용기준초과한 부적합 농․수산물 7*에 대해 관할 지자체통보하여 신속하게 폐기 등의 조치를 하고 재발 방지를 위해 생산자 교육 등 안전관리 강화요청했습니다.

    * (농산물) 1,425건 조사, 2건 부적합 / (수산물) 525건 조사, 5건 부적합

식약처는 앞으로도 유통 농․수산물에 대한 사전 안전관리강화비자 안심하고 안전농․수산물소비할 수 있는 환경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붙임> 각 부서별 담당자, 연락처 

 

붙임

 

각 부서별 담당자, 연락처

세부내용에 대한 문의사항이 있는 경우, 아래 각 부서 담당자에게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담당 부서

식품소비안전국

책임자

 

 

(043-719-3203)

<총괄>

농수산물안전정책과

담당자

연구관

서지우

(043-719-3220)

사무관

주민석

(043-719-3211)

<협조>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책임자

 

문귀임

(043-719-4201)

잔류물질과

담당자

연구관

최장덕

(043-719-4203)

연구관

장귀현

(043-719-4204)

 

[식품의약품안전처 2023-02-0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438 식약처, 참기름 진위 판별법 개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24 91
8437 식약처, 중금속 안티몬 기준 위반 화장품 회수.폐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20 33
8436 식약처, 중국 화하이 제조‘발사르탄’사용 우려 관련 현장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10 33
8435 식약처, 중.고등학생 대상‘제7기 식의약 영리더’모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12 47
8434 식약처, 줄기세포 화장품 온라인 광고 점검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30 12
8433 식약처, 졸피뎀.프로포폴 안전사용기준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11 11
8432 식약처, 족발.보쌈 등 배달음식점 집중 점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03 23
8431 식약처, 정부차원의 궐련담배 및 전자담배 유해성분 함유량 발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1 59
8430 식약처, 전자담배 유해물질 분석 기틀 마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26 119
8429 식약처, 자외선A 차단등급 3등급에서 4등급으로 확대도입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7 86
8428 식약처, 자궁근종환자 치료에 사용하는‘울리프리스탈’제제 복용 시 간기능 검사 실시 조치 안전성 서한 배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23 44
8427 식약처, 자가투여 주사제 안전사용 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27 36
8426 식약처, 자가투여 주사제 안전사용 기반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11 6
8425 식약처, 자가검사키트 판매가격 지정 해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05 6
8424 식약처, 임상시험 참여 환자 권익보호를 위한 가이드라인 발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26 12
Board Pagination Prev 1 ...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