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설 연휴를 맞아 국내·외 어디서든 고인을 추모할 수 있는 온택트(ontact) 기반 「온라인 추모 서비스」 기능을 고도화하여 제공한다고 밝혔다.

□ 「온라인 추모 서비스」는 코로나19 감염병 확산 이후 비대면으로 고인을 추모할 수 있도록 e하늘 장사정보시스템(sky.15774129.go.kr) 내 ‘20년 9월 추석에 처음으로 도입되었으며, 국민 누구나(해외동포 포함) 어디서든 무료로 이용이 가능하다.*

   * 온라인 추모 서비스 이용 실적 : ’20년 추석(230,552명) → ’21년 설(248,732명) → ’21년 추석(300,770명) → ’22년 설(285,445명) → ’22년 추석(218,249명)

 ○ 이번 설에는 기존 2차원(2D) 형태의 온라인 추모관 뿐만 아니라 3차원(3D) 형태의 온라인 추모관을 추가 개발하여 입체적이고 완성도 높은 공간에서 고인을 추억하고 추모할 수 있도록 기능을 개선하였다.

 ○ 또한, 온라인 추모관에서 문자, 카카오톡, 트위터, 페이스북 및 네이버 밴드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하여 가족·친지·지인 등을 초대할 수 있으며, 초대를 받은 사용자는 별도의 회원가입 절차 없이도 고인의 추모 사진과 영상을 공유받고 추모글도 남길 수 있다.

 □ 온라인 추모 서비스의 이용 방법 및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기존 이용자가 2차원(2D) 기반의 온라인 추모관을 개설한 경우는, 해당 추모관 내의 3차원(3D) 전환 버튼을 누르면 입체 형태의 추모관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 처음 추모관을 개설하는 경우는, e하늘 장사정보시스템(sky.15774129.go.kr)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한 후, ‘추모관 꾸미기’ 메뉴에서 무료로 온라인 추모관을 개설할 수 있다.

    - 고인의 추모관을 개설한 후에는 고인의 사진과 영상뿐만 아니라, 음성메시지와 추모글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차례상 꾸미기와 간편 지방쓰기 서비스를 이용하여 가족 및 아이들과 재미있게 추모관을 꾸며볼 수도 있다.

  ○ 특히, 고인을 봉안시설이나 자연장지 등에 모신 경우에는 안치 사진 등록신청을 통해 해당 장사시설로부터 고인의 실제 안치 사진을 제공받을 수 있다.

 * 안치사진 신청 및 제공가능 기간 : '23.1.18(수) ~ 1.27(금)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참고)

 

 ※ 서비스 관련 문의 : 장사지원센터(1577-4129)

□ 보건복지부 주철 노인지원과장은“온라인 추모 서비스를 통해 코로나19 감염병 외에도 바쁜 일상으로 또는 해외에 거주하여 명절에 고인을 찾아가볼 수 없는 국내·외 모든 국민들이 추모의 마음을 전할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밝히며,

  ○“연휴 기간 동안 개인방역수칙을 준수하여 가족·친지 모두가 안전하고 뜻깊은 설 명절을 보내시길 희망한다”라고 말했다.



[ 보건복지부 2023-01-1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419 2020년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 올해보다 2.94% 오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31 35
6418 행정안전부, 국민 신청을 받아 정책상황 공개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31 7
6417 앱 소셜커머스 통해 불법 의료광고 한 의료기관 278개 적발 환자유인·알선, 거짓·과장 광고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31 7
6416 보건복지부, 담배 불법 판매 및 판촉행위 적극 단속에 나선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31 17
6415 기아자동차, 한국지엠, 혼다, BMW 등 결함시정 (리콜) 실시 [총 35개 차종 42,320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01 16
6414 수강하지 않은 외국어, 자격시험 온라인 강의료 돌려받는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01 12
6413 생활 속 중금속 섭취를 줄이는 방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01 15
6412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평가 가이드」개정.발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01 12
6411 2019년 7월 소비자물가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01 16
6410 안전·표시기준 위반 11개 생활화학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01 25
6409 향후 10년 우리나라 폭염 위험도 더욱 높아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01 17
6408 불합리한 보험 사업비와 모집수수료를 개편하여 소비자의 해약환급금을 높이고 보험료 인하를 유도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01 13
6407 모바일 간편결제 소비자 만족도, ‘등록 및 인증 편리성’ 높고 ‘개인정보 보안’ 낮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02 14
6406 신선한 달걀, 산란일자 표시로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02 16
6405 카드뮴 기준 초과 미국산 아보카도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02 15
Board Pagination Prev 1 ... 493 494 495 496 497 498 499 500 501 502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