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위원장 이성해, 이하 대광위)가 전국 단위 대국민 MaaS* 서비스를 위한 민·관 협력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 다양한 교통수단을 하나의 교통수단처럼 연계함으로써 ①단일 플랫폼으로 모든 교통수단에 대한 ②최적경로 안내, ③예약, ④결제 등 제공(Mobility as a Service)


현재는 이동 시 스마트폰으로 교통수단을 검색하고 최적경로를 확인한 뒤 본인이 원하는 교통수단을 각각 예약, 결제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이 달라 앱을 여러 번 이용해야하는 불편이 있었다.

하지만, 전국 단위 MaaS가 실현되면 각기 다른 교통수단 앱을 통해 제공되던 경로 검색, 예약, 결제 서비스가 하나의 앱에서 구현되며, 이를 통해 국민들은 다양한 교통수단을 더욱 빠르고 편리하게 결합·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미래의 MaaS 이용을 통한 예상 기대효과 >

∎(예시1 : 선택권 확대) 직장인 P씨는 미팅에 참석하기 위해 고속철도 앱을 열고빈 좌석 예매를 위하여 새로고침을 계속 하였으나, MaaS 앱 하나로 대체 노선이 있는 고속버스를 검색·이용하고 자동 예약·대기 중인 택시를 통해 30분 일찍 도착

∎(예시2 : 통합 호출) 대학생 A씨는 밤늦게 택시를 잡기 위해 매번 개별 택시 앱에 접속하여 가까스로 택시를 잡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나, MaaS 앱 하나로 택시 통합 호출 기능을 이용하여 한 번에 택시를 호출한 후, 안심 귀가

∎(예시3 : 통합 마일리지) 평소 쿠폰이나 마일리지를 잘 활용하는 주부 Y씨는 개별 교통 마일리지 활용이 불편했으나, MaaS 앱 하나로 항공, 철도, 공유차 등 교통 이용 할인부터 메신저 이모티콘 구매까지 통합 마일리지로 간편하게 사용


MaaS 실현을 위해서는 여러 교통수단 간의 데이터 연계가 핵심이므로 대광위는 다양한 교통수단 데이터가 한데 모이고 공유되는 기반을(이하 오픈 MaaS)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공공기관 등을 대상으로 오픈 MaaS를 구축·운영하는 중계사업자를 공모하여 관련 데이터 표준 및 기반 시스템을 구축한다.

아울러, 통합된 데이터가 다양한 서비스로 제공될 수 있도록 민간 협력 플랫폼 사업자를 공모하여 연내 전국 MaaS 앱을 출시할 예정이다.

* (일정) 공고(1.19~2.17) → 선정(2월末) → 개발(3월~) → 전국 MaaS 앱 출시(12월)


전국 단위 MaaS가 상용화되면 기존의 개별 교통수단으로 구분되어 이동한다는 개념에서 벗어나 모든 교통수단이 하나의 교통수단처럼 매끄럽게 연결되는 패러다임의 변화가 나타나고 정액제, 구독요금제와 같이 다양한 이용자 맞춤형 상품이 출시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이성해 위원장은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여러 교통 서비스가 통합될 수 있는 기초가 마련될 것”이라며, “관광, 숙박, 컨텐츠 등 타분야와의 연계로도 이어져 신산업 활성화 등 다양한 부가가치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국토교통부 2023-01-1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001 하늘길·활주로 정보 한 데 모아…안전성 향상 기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7 51
13000 하늘과 초원이 맞닿은 목장, 양떼와 함께 걸어볼까?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10 38
» 하나의 앱으로 모든 모빌리티 서비스 이용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18 9
12998 하나의 아이디로 온라인 공공서비스 이용 가능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7 13
12997 하나로마트에서도 그린카드 포인트 적립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26 26
12996 필요할 때 빌려쓰는 카셰어링, 임대주택에서 만나보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13 114
12995 필수의약품 공급 안정화를 통한 의료공공성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04 46
12994 필수의약품 공급 안정화를 통한 국민 치료기회 보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07 59
12993 필수약제 공급 지원을 위한 약가 인상 및 중증질환 치료제 보장성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24 9
12992 필수노동자인 대리기사의 단체보험 중복가입 문제를 해소하고, 보험료를 낮춘 개인보험 상품을 출시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29 21
12991 필수노동자 건강권 보호를 위한 맞춤형 건강진단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29 21
12990 필립스코리아 저출력심장충격기 안전사용 안내 및 점검 지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16 57
12989 필리핀으로 가는 하늘길, 더욱 넓어져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2 91
12988 필리핀 중부지역 보홀섬 특별여행주의보 해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19 53
12987 필리핀 여행자 중 두 번째 해외유입 콜레라 발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27 57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