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공공아이핀 사용자는 늦어도 4월 말까지는 재인증을 받아야 공공아이핀을 계속 사용할 수 있다.

행정자치부는 오는 30일까지 공공아이핀 사용자를 대상으로 재인증 절차를 진행한다. 기존에는 공공아이핀을 한번 발급받으면 평생 쓸 수 있었으나, 공공아이핀의 부정발급과 도용방지 등을 위해 작년 5월 1일 재인증 제도를 도입하여 시행 중에 있다.

재인증은 공공아이핀 누리집(홈페이지·www.gpin.go.kr) 또는 지역별 주민센터를 방문하면 쉽게 받을 수 있다.

재인증 절차는 공공아이핀 누리집을 방문해 ‘아이핀 재인증’ 메뉴에서 공인인증서로 본인 확인을 한 후, 패스워드를 변경하면 완료된다.

공인인증서가 없어 온라인 발급이 어려운 이들은 가까운 주민센터를 방문해 본인의 신분증을 제시하면 재인증을 할 수 있다. 주민센터 방문이 번거로운 분들은 공공아이핀 누리집에서 공인인증서 대신 본인과 동일세대원의 주민등록증 발급일자를 입력하면 재인증이 가능하다.

아울러, 행자부는 지난 해 3월 공공아이핀 부정발급 사고를 계기로 마련한 「공공아이핀 부정발급 재발방지 종합대책」이 차질없이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먼저, 부정 발급된 80만여 건의 공공아이핀은 사고 발생 즉시 모두 삭제 조치했으며, 부정 발급된 아이핀을 이용한 사용내역도 관련 기관의 협조를 받아 필요한 조치를 하였다.

사고의 원인이 되었던 공공아이핀 시스템 상의 취약점을 보완하였고, 성능이 떨어지는 노후 장비도 모두 교체 완료하였다.

과도한 발급 시도 등 부정발급 징후나 과도한 인증 시도 등 도용 징후에 대한 조기경보체제를 도입하는 등 관제를 강화하였고, 작년 실시한 시스템 정밀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금년 중 부정사용방지시스템(FDS)을 도입해 사용자 보호를 한 층 강화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행자부는 보안 강화를 위하여 금년 상반기 중으로 공공아이핀 이용 시에도 민간아이핀 3사(나이스, 서신평, KCB)와 같이 2차 인증을 의무화할 예정이다.

2차 인증이란 기존의 아이디/패스워드 외에 추가로 두 번째 패스워드를 입력토록 하는 방식으로, 2차 패스워드, 일회용 패스워드(OTP) 등 2차 인증방식 중에 하나를 사전에 선택한 후, 2차 패스워드를 입력하거나 스마트폰 앱으로 제공되는 OTP를 입력하면 된다. OTP는 현재 금융권에서 많이 활용되는 실시간 1회용 패스워드로 보안 기능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아울러, 감사원 감사에서 지적한 아이핀 불법거래 및 부정사용 사례와 관련하여 행자부와 방송통신위원회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을 통해 아이핀 불법거래 사이트를 중점 모니터링하여 불법거래 확인 즉시 이를 삭제·차단 조치하고 있다.

또한, 공공아이핀 가입 후 사망한 사람에 대하여는 매월 확인하여 탈퇴 조치하고 있으며, 만 14세 미만 가입자의 법정대리인 확인 절차도 개선하였다. 먼저 법정대리인이 부모인 경우에는 온라인(주민등록 전산망)으로 확인하고 있으며, 그 외의 법정대리인은 직접 주민센터를 방문·확인 받도록 하여 실제 법정대리인인지 확인 절차를 강화하였다.

강성조 행정자치부 개인정보보호정책관은 “이번 재인증과 지속적인 제도 개선을 통해 보다 안전하게 공공아이핀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토록 할 것”이라며, “다시금 부정발급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공공아이핀 관리에 철저를 기하겠다.”라고 밝혔다.

담당 : 개인정보보호정책과 소진숙 (02-2100-4109)

 

[행정자치부 2016-04-1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19 年 1%대 초저금리 디딤돌 생애최초구입자 대출 등 출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25 139
2518 모든 드론을 한곳에! Go~~ Drone!!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25 94
2517 어린이 홍삼음료에 홍삼 성분 있지만 함량은 천차만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25 101
2516 치매보험 관련 불합리한 관행 개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25 79
2515 포르투갈로 가는 하늘길 활짝 열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24 112
2514 농식품부, 2015 식품산업 원료소비 실태조사 결과 발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24 97
2513 식약처, 사전 및 응급 피임제 분류 현행 유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23 84
2512 지난해 바이오의약품 수출 급증으로 무역수지 흑자 전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23 84
2511 「알레르기성 결막염」, 10대 미만 연령대가 가장 많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23 83
2510 아동복지법 시행령·시행규칙 개정안 입법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23 145
2509 빨리 찾아온 무더위,건강관리 이렇게 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23 95
2508 ’16년 6월~’16년 8월 전국 86,304세대 아파트 입주 예정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23 85
2507 신종 대포통장 모집 수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23 108
2506 '나인봇원 프로' 외발전동휠 무상교환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20 190
2505 생활 속 의약외품 바르게 알고 사용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20 112
Board Pagination Prev 1 ... 753 754 755 756 757 758 759 760 761 762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