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피부 재생, 주름 개선 등을 위해 주사기, 미세 바늘 등을 활용피부 내주입해 사용하는 의약품·의료기기에 대한 사용 시 주의사항 구별 방법 등 안전 사용 정보를 제공합니다.

식약처는 최근 시중에서 의약품 또는 의료기기로 허가받지 않은 제품피부 재생, 주름 개선 등목적으로 판매*되고 있어 소비자각별한 주의와 이러한 제품을 구매하지 말 것당부했습니다.

* 미세한 침·바늘 등이 부착된 회전식 원통(롤러) 등과 함께 제공해 피부 내로 주입해 사용하는 제품인 것처럼 판매

주름 개선 을 목적으로 피부에 주입해 사용하는 의약품·의료기기가 일명 스킨부스터로 유명세를 타며 시중에서 허가받지 않은 제품을 스킨부스터 제품으로 광고·판매하는 경우가 있음

특히 화장품인체바르고 문지르거나 뿌리는 방법으로 사용하는 물품으로 피부 내주입사용하면 안 됩니다.

사용 시 주의사항

병원 등 의료기관에서 피부 재생, 주름 개선 등의 목적으로 피부 내 시술 시 식약처로부터 허가를 받은 의약품·의료기기사용해야 합니다.

- 허가된 의약품·의료기기에 대한 제품별 상세 정보는 식약처 누리집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의약품·의료기기 허가 정보 확인 방법

 

(의약품) 의약품안전나라(https://nedrug.mfds.go.kr) 의약품 등 검색

상세검색 창에 '제품명‘, ’업체명‘, ’효능·효과'란 등에서 검색

(의료기기) 의료기기 전자민원창구(https://emed.mfds.go.kr) 정보마당 제품정보방 업체/제품정보 제품정보 창에 '품목조건''품목분류명(한글)'로 선택하고 조직수복용생체재료또는 조직수복용재료로 검색

의약품·의료기기아닌 제품 피부 내 주입하는 방식으로 사용하는 경우 피부 염증·흉터·감염 등 다양한 부작용·후유증발생할 위험이 있습니다.

의약품, 의료기기 및 화장품 구별 방법

피부 재생, 주름 개선 등의 목적으로 피부 내주입사용하는 제품의약품 또는 의료기기로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 의약품·의료기기작용원리, 사용 목적·방법 등에 따라 분류되며, 식약처제품별안전성·유효성, 품질, 무균 관리 등을 심사허가·관리하고 있습니다.

- 제품 포장에 의약품, 의료기기라고 표시되어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한편 화장품은 인체를 청결, 미화하고 피부나 모발의 건강을 유지하거나 증진하는 목적으로 사용합니다.

- 또한 바르거나 문지르는 등의 방법으로 사용하므로 피부 내에 주입해 사용하는 것은 화장품이 아닙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국민이 안전하게 의료제품을 사용하는 데 도움이 되는 유용한 정보들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의약품·의료기기 허가받지 않은 제품피부 내에 주사할 수 있는 것으로 광고·표시하거나 효과가 있는 것처럼 유통·판매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엄정히 대응하겠습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3-01-0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980 짝퉁‘홍삼원’제품 제조.판매업자 적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1 135
12979 휴대용 칫솔살균기 비교정보 생산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21 134
12978 정수기 렌탈서비스 만족도, 청호나이스(주)·코웨이(주)가 가장 높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14 134
12977 세탁물 손상 원인, 세탁 과실보다 품질 하자가 더 많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04 134
12976 국민연금과 개인·퇴직연금정보, 4월부터는 한 곳에서 조회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01 134
12975 벤츠 차량 제원 미통보 관련 검찰고발 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9 134
12974 '15년 주택매매거래량은 전국 119.4만 건으로 '06년 이후 최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12 134
12973 2016년 식.의약품 안전정책 이렇게 달라집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29 134
12972 '15.8월 전월세 거래량은 11.7만 건으로 전월 대비 4.3% 감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5 134
12971 번호판 영치된 차량의 의무보험 미가입 과태료 면제 추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5 134
12970 11개 온라인 공무원 시험 교육사이트의 전자상거래법 위반 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04 134
12969 방문판매 직후 사용 유도한 진공청소기 청약철회 가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6 134
12968 권익위, 보험금 지급 조사 관련 ‘위임장 사용’ 안내 의무화 권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6 134
12967 임의단체 계좌 관련 금융소비자 유의사항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7 134
12966 설 연휴 기간 감염병 발생 주의 당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3 134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