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국민건강영양조사 기반의 비만 심층보고서」를 발간한다고 밝혔다.  


□ 보고서의 내용은 성인(만19세 이상) 비만 주요 지표*의 ’08년(연중조사 전환 시기) 이후 장기간의 추이 및 관련요인, 코로나19 유행 전‧후의 변화이며,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비만(체질량지수 25kg/m2이상), 2단계이상(체질량지수 30kg/m2이상) 비만 유병률 위주로 요약


[1] 남자의 비만 유병률 추이 및 관련요인 (2008~2021년)



 ○ 성인(만19세이상) 남자는 전 연령에서 ’08년 이후 매년 비만 유병률이 약 2%씩, 2단계이상 비만 유병률은 약 6%씩 증가하고 있다(붙임 1 참고).

‧ (비만 유병률) 남자 ’08년 35.9% → ’21년 44.8%, 연간퍼센트변화량 2.1%

‧ (2단계이상 비만 유병률) 남자 ’08년 4.1% → ’21년 7.6%, 연간퍼센트변화량 6.3%


     * 비만 관련요인 분석 대상자 차이로 일부 연도는 「국민건강통계」 결과와 차이가 있음.

  - 코로나19 유행 전(’18-’19년)과 유행 후(’20-’21년)를 비교하면, 비만은 30-49세에서 증가 폭이 컸고, 2단계이상 비만은 40-49세에서 증가가 뚜렷하였다.


  *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는 진하게 표시


  - 비만 관련요인은 전 연령에서 공통으로 “높은 교육수준, 사무직, 고위험음주”이며,


  - 19-39세는 흡연, 근력운동 미실천, 40-59세는 근력운동 미실천, 지방 과잉 섭취, 앉아서 보내는 시간(8시간 초과)이 추가적으로 비만과 관련이 있었다(붙임 2 참고).



[2] 여자의 비만 유병률 추이 및 관련요인 (2008~2021년)



 ○ 성인(만19세이상) 여자의 비만은 남자에 비해 큰 변화는 없었으나, 2단계이상 비만 유병률은 ’08년 이후 매년 3.1%씩 증가하였다(붙임 1 참고).


  - 특히 19-39세는 비만(연 2.0% 증가)뿐만 아니라, 2단계이상 비만(’14년 이후 연 10.3% 증가) 증가가 뚜렷하였다.

‧ (비만 유병률) 여자 ’08년 26.4% → ’21년 29.5%, 연간퍼센트변화량 0.6%

‧ (2단계이상 비만 유병률) 남자 ’08년 3.7% → ’21년 6.3%, 연간퍼센트변화량 3.1%


     * 비만 관련요인 분석 대상자 차이로 일부 연도는 「국민건강통계」 결과와 차이가 있음.


  - 여자의 코로나19 유행 전(’18-’19년)․후(’20-’21년)의 연령별 비만은 남자와는 다르게 전 연령에서 변화가 없었다.


 ○ 여자의 비만 관련요인은 전 연령에서 공통적으로, “낮은 교육 및 소득수준”이 높게 나타나 남자와는 차이가 있었고,


  - 19-39세는 흡연, 40-59세는 고위험음주, 근력운동 미실천, 낮은 식생활 질(식생활평가지수), 60대이상은 근력운동 미실천, 앉아서 보내는 시간(8시간 초과)이 추가적으로 비만과 관련이 있었다(붙임 2 참고).



□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비만은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이며,” 


 ○ “남자의 모든 연령층에서 비만이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관심과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 아울러 “비만 관련요인은 남녀간에 차이가 있어, 이를 고려하여 차별화한 관리 대책이 필요하며,


  - 비만 증가가 뚜렷한 남자 30~40대, 여자 20~30대를 대상으로 고위험음주, 신체활동 미실천, 식생활 불균형 등 건강행태 개선을 위한 적극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질병관리청은 건강조사 결과가 국가 건강정책 마련의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23년에는 음주행태, 당뇨병 주제의 심층보고서를 지속 발간할 예정이며, 


 ○ 상세한 결과는 국가건강조사 분석 보고서인「국민건강통계플러스」를 통해 ’23년 1월 공개 예정이며, 질병관리청 및 국민건강영양조사 누리집*에서 내려받아 활용할 수 있다.

    * 질병관리청(http://www.kdca.go.kr), 국민건강영양조사(https://knhanes.kdca.go.kr)



[ 질병관리청 2022-12-3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710 토지수용은 깐깐해지고, 재산권 보호은 두터워지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0 63
12709 토지소유자 주소 달라도 토지합병 가능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18 9
12708 토요타, 포드, 벤츠, FCA, BMW 리콜실시(총 29개 차종 5,137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22 27
12707 토요타, 재규어랜드로버, 포르쉐, 다임러트럭 리콜 실시(총 7개 차종 6,288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6 100
12706 토요타, 벤츠, 혼다, 만트럭 등 자동차 및 건설기계 리콜 실시 [총 23개 차종 49,360 대, 건설기계 8개 모델 694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07 14
12705 토양·지하수의 소중함 느껴봐요…청소년 여름캠프 모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06 53
12704 테이크아웃 원두커피, 카페인 함량 정보제공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06 35
12703 테슬라·현대·포드 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04 28
12702 테슬라·아우디·범한·할리데이비슨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18 39
12701 테슬라, 만트럭, 비엠더블유, 두카티 결함시정(리콜) 실시[총 4개사 2,530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18 15
12700 테슬라 · 기아 · 현대 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21 15
12699 텀블러 13개 제품 비교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05 31
12698 터널공사, 공사비 빼돌리기 심각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11 128
12697 터널 조명 개선으로 운전자 피로감 없앤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13 37
12696 터널 안 교통사고, 최근 5년간 3,218건, 인명피해 7,472명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5 18
Board Pagination Prev 1 ...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