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국민건강영양조사 기반의 비만 심층보고서」를 발간한다고 밝혔다.  


□ 보고서의 내용은 성인(만19세 이상) 비만 주요 지표*의 ’08년(연중조사 전환 시기) 이후 장기간의 추이 및 관련요인, 코로나19 유행 전‧후의 변화이며,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비만(체질량지수 25kg/m2이상), 2단계이상(체질량지수 30kg/m2이상) 비만 유병률 위주로 요약


[1] 남자의 비만 유병률 추이 및 관련요인 (2008~2021년)



 ○ 성인(만19세이상) 남자는 전 연령에서 ’08년 이후 매년 비만 유병률이 약 2%씩, 2단계이상 비만 유병률은 약 6%씩 증가하고 있다(붙임 1 참고).

‧ (비만 유병률) 남자 ’08년 35.9% → ’21년 44.8%, 연간퍼센트변화량 2.1%

‧ (2단계이상 비만 유병률) 남자 ’08년 4.1% → ’21년 7.6%, 연간퍼센트변화량 6.3%


     * 비만 관련요인 분석 대상자 차이로 일부 연도는 「국민건강통계」 결과와 차이가 있음.

  - 코로나19 유행 전(’18-’19년)과 유행 후(’20-’21년)를 비교하면, 비만은 30-49세에서 증가 폭이 컸고, 2단계이상 비만은 40-49세에서 증가가 뚜렷하였다.


  *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는 진하게 표시


  - 비만 관련요인은 전 연령에서 공통으로 “높은 교육수준, 사무직, 고위험음주”이며,


  - 19-39세는 흡연, 근력운동 미실천, 40-59세는 근력운동 미실천, 지방 과잉 섭취, 앉아서 보내는 시간(8시간 초과)이 추가적으로 비만과 관련이 있었다(붙임 2 참고).



[2] 여자의 비만 유병률 추이 및 관련요인 (2008~2021년)



 ○ 성인(만19세이상) 여자의 비만은 남자에 비해 큰 변화는 없었으나, 2단계이상 비만 유병률은 ’08년 이후 매년 3.1%씩 증가하였다(붙임 1 참고).


  - 특히 19-39세는 비만(연 2.0% 증가)뿐만 아니라, 2단계이상 비만(’14년 이후 연 10.3% 증가) 증가가 뚜렷하였다.

‧ (비만 유병률) 여자 ’08년 26.4% → ’21년 29.5%, 연간퍼센트변화량 0.6%

‧ (2단계이상 비만 유병률) 남자 ’08년 3.7% → ’21년 6.3%, 연간퍼센트변화량 3.1%


     * 비만 관련요인 분석 대상자 차이로 일부 연도는 「국민건강통계」 결과와 차이가 있음.


  - 여자의 코로나19 유행 전(’18-’19년)․후(’20-’21년)의 연령별 비만은 남자와는 다르게 전 연령에서 변화가 없었다.


 ○ 여자의 비만 관련요인은 전 연령에서 공통적으로, “낮은 교육 및 소득수준”이 높게 나타나 남자와는 차이가 있었고,


  - 19-39세는 흡연, 40-59세는 고위험음주, 근력운동 미실천, 낮은 식생활 질(식생활평가지수), 60대이상은 근력운동 미실천, 앉아서 보내는 시간(8시간 초과)이 추가적으로 비만과 관련이 있었다(붙임 2 참고).



□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비만은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이며,” 


 ○ “남자의 모든 연령층에서 비만이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관심과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 아울러 “비만 관련요인은 남녀간에 차이가 있어, 이를 고려하여 차별화한 관리 대책이 필요하며,


  - 비만 증가가 뚜렷한 남자 30~40대, 여자 20~30대를 대상으로 고위험음주, 신체활동 미실천, 식생활 불균형 등 건강행태 개선을 위한 적극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질병관리청은 건강조사 결과가 국가 건강정책 마련의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23년에는 음주행태, 당뇨병 주제의 심층보고서를 지속 발간할 예정이며, 


 ○ 상세한 결과는 국가건강조사 분석 보고서인「국민건강통계플러스」를 통해 ’23년 1월 공개 예정이며, 질병관리청 및 국민건강영양조사 누리집*에서 내려받아 활용할 수 있다.

    * 질병관리청(http://www.kdca.go.kr), 국민건강영양조사(https://knhanes.kdca.go.kr)



[ 질병관리청 2022-12-3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164 초고속인터넷 등 유선 상품도 사업자 전환 쉬워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20 20
12163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인터넷 설치’ 만족도 높고 ‘요금 및 부가혜택’ 만족도 낮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24 18
12162 초고속 블렌더, 분쇄성능·소음 등에서 성능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16 82
12161 초고가 아파트 주택구입목적 담보대출 금지조치의 재건축,재개발 사업장 적용 관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23 41
12160 초·중학교 입학생은 필수예방접종 완료하고 입학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9 31
12159 초·중·고 학생들 인플루엔자감염 주의당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7 69
12158 초6, 중1 여학생, 겨울방학 때 암 예방접종 받으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23 92
12157 초.중학교 입학생은 필수예방접종 완료하고 입학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08 18
12156 초.중등학교 학부모부담 교육비 신용카드로 납부 가능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25 26
12155 체험형 팝업스토어, 소비자에게 불리한 환불 규정 개선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8 16
12154 체지방을 줄이는 올바른 방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8.21 19
12153 체중계, 체중·체지방률 정확도 등 품질에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17 60
12152 체육시설·공공주차장 예약이 필요할 땐 공유누리를 찾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12 7
12151 체외진단용 의료기기 임상시험 '피험자 동의면제 요건 안내서’ 발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19 30
12150 체외수정 시 이식 배아 수 최대 5개에서 3개로 줄인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3 152
Board Pagination Prev 1 ...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