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국민건강영양조사 기반의 비만 심층보고서」를 발간한다고 밝혔다.  


□ 보고서의 내용은 성인(만19세 이상) 비만 주요 지표*의 ’08년(연중조사 전환 시기) 이후 장기간의 추이 및 관련요인, 코로나19 유행 전‧후의 변화이며,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비만(체질량지수 25kg/m2이상), 2단계이상(체질량지수 30kg/m2이상) 비만 유병률 위주로 요약


[1] 남자의 비만 유병률 추이 및 관련요인 (2008~2021년)



 ○ 성인(만19세이상) 남자는 전 연령에서 ’08년 이후 매년 비만 유병률이 약 2%씩, 2단계이상 비만 유병률은 약 6%씩 증가하고 있다(붙임 1 참고).

‧ (비만 유병률) 남자 ’08년 35.9% → ’21년 44.8%, 연간퍼센트변화량 2.1%

‧ (2단계이상 비만 유병률) 남자 ’08년 4.1% → ’21년 7.6%, 연간퍼센트변화량 6.3%


     * 비만 관련요인 분석 대상자 차이로 일부 연도는 「국민건강통계」 결과와 차이가 있음.

  - 코로나19 유행 전(’18-’19년)과 유행 후(’20-’21년)를 비교하면, 비만은 30-49세에서 증가 폭이 컸고, 2단계이상 비만은 40-49세에서 증가가 뚜렷하였다.


  *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는 진하게 표시


  - 비만 관련요인은 전 연령에서 공통으로 “높은 교육수준, 사무직, 고위험음주”이며,


  - 19-39세는 흡연, 근력운동 미실천, 40-59세는 근력운동 미실천, 지방 과잉 섭취, 앉아서 보내는 시간(8시간 초과)이 추가적으로 비만과 관련이 있었다(붙임 2 참고).



[2] 여자의 비만 유병률 추이 및 관련요인 (2008~2021년)



 ○ 성인(만19세이상) 여자의 비만은 남자에 비해 큰 변화는 없었으나, 2단계이상 비만 유병률은 ’08년 이후 매년 3.1%씩 증가하였다(붙임 1 참고).


  - 특히 19-39세는 비만(연 2.0% 증가)뿐만 아니라, 2단계이상 비만(’14년 이후 연 10.3% 증가) 증가가 뚜렷하였다.

‧ (비만 유병률) 여자 ’08년 26.4% → ’21년 29.5%, 연간퍼센트변화량 0.6%

‧ (2단계이상 비만 유병률) 남자 ’08년 3.7% → ’21년 6.3%, 연간퍼센트변화량 3.1%


     * 비만 관련요인 분석 대상자 차이로 일부 연도는 「국민건강통계」 결과와 차이가 있음.


  - 여자의 코로나19 유행 전(’18-’19년)․후(’20-’21년)의 연령별 비만은 남자와는 다르게 전 연령에서 변화가 없었다.


 ○ 여자의 비만 관련요인은 전 연령에서 공통적으로, “낮은 교육 및 소득수준”이 높게 나타나 남자와는 차이가 있었고,


  - 19-39세는 흡연, 40-59세는 고위험음주, 근력운동 미실천, 낮은 식생활 질(식생활평가지수), 60대이상은 근력운동 미실천, 앉아서 보내는 시간(8시간 초과)이 추가적으로 비만과 관련이 있었다(붙임 2 참고).



□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비만은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이며,” 


 ○ “남자의 모든 연령층에서 비만이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관심과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 아울러 “비만 관련요인은 남녀간에 차이가 있어, 이를 고려하여 차별화한 관리 대책이 필요하며,


  - 비만 증가가 뚜렷한 남자 30~40대, 여자 20~30대를 대상으로 고위험음주, 신체활동 미실천, 식생활 불균형 등 건강행태 개선을 위한 적극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질병관리청은 건강조사 결과가 국가 건강정책 마련의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23년에는 음주행태, 당뇨병 주제의 심층보고서를 지속 발간할 예정이며, 


 ○ 상세한 결과는 국가건강조사 분석 보고서인「국민건강통계플러스」를 통해 ’23년 1월 공개 예정이며, 질병관리청 및 국민건강영양조사 누리집*에서 내려받아 활용할 수 있다.

    * 질병관리청(http://www.kdca.go.kr), 국민건강영양조사(https://knhanes.kdca.go.kr)



[ 질병관리청 2022-12-3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704 연 2만 원으로 화재 등 피해 보장하는 '재난희망보험' 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8.31 10
12703 고향가는 길, 안전하고 편리하게 다녀오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07 10
12702 안전하고 건강하게 추석연휴 보내는 방법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07 10
12701 추석맞아 국립공원 야생화 꽃길 21곳 추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07 10
12700 [금융꿀팁 200선] 131번_사례로 알아보는 불법채권추심 대응방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29 10
12699 주정차위반과태료 등 세외수입 24시간 채팅로봇으로 상담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0.06 10
12698 정부합동으로 ‘식품안전’ 관련 공익침해행위 집중신고 기간 운영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0.31 10
12697 11월 24일부터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1.01 10
12696 대형 경유차 질소산화물 정밀검사로 초미세먼지 저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1.30 10
12695 해외제출용 여권사실증명도 온라인으로 쉽고 빠르게 - 여권사실증명 4종 서비스시작, 직접 방문 불편 없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05 10
12694 여권발급 진행상황, 이제 카카오톡에서 확인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09 10
12693 고향사랑 기부금 “고향사랑e음”으로 기부해 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12 10
» 성인 남자의 비만 유병률, 매년 2.1%씩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30 10
12691 반려동물 사체 매장·투기는 불법, 반려동물 양육자의 45.2%가 몰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11 10
12690 12개 업종 표준대리점계약서 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18 10
Board Pagination Prev 1 ...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