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22년 배달업 실태조사 결과 요약>

◈ ’22년 상반기 기준, 소화물배송대행업에 종사하는 배달원 수 237,188명

 * `19.상반기 119,626명에서 `22.상반기 237,188명으로 약 2배 증가

◈ 주문중개형 플랫폼 37개 업체, 배달대행 플랫폼 51개 업체, 각 지역 배달대행 영업점은 총 7,749개소로 파악

◈ 음식배달 종사자는 월 평균 25.3일 근무, 월 평균 보수액 381만원

◈ 배달 종사자의 약 43%는 최근 6개월 內 평균 2건 교통사고 경험

◈ 소비자는 30분 이내 단건 배송을 선호하나, 배달료는 다소 비싸다고 생각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소화물배송대행서비스사업(이하 배달업)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 (조사기관) 한국교통안전공단, NRS / (조사기간) `22.7월 ∼ `22.12월(5개월간)


이번 실태조사는 음식서비스 배달 직종에 근무하는 배달 종사자, 지역 배달대행업체, 배달플랫폼 업체 현황과 종사자 근로여건, 소비자 서비스 이용실태 등 음식배달서비스 전반에 대해 이뤄졌으며, 지난해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 제정(`21.7월 시행) 이후 최초로 진행된 실태조사이다.

[1. 배달업 현황]

배달업에 종사하는 배달원 수*를 살펴본 결과, `19년 상반기 119,626명에서 `22년 상반기 237,188명으로 약 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표준산업분류상 ‘소화물전문운송업’ 이면서 표준직업분류상 ‘배달원’에 속하는 인원에 ‘시도가중값’을 적용하여 산출, 통계청에서 발표한 `22년 상반기 배달원 45만명은 ‘소화물전문운송업’으로 분류하기 전 다른 관련 종사자(우편종사자 등)까지 포함한 수치


업체 현황으로는 주문중개 플랫폼* 37개 업체, 배달대행 플랫폼** 51개 업체가 운영 중이며, 각 지역의 배달대행업체는 전국적으로 7,794개소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 소비자와 음식점 간의 음식주문을 중개하는 플랫폼
** 음식점과 지역 배달대행업체 간의 배달주문을 중개하는 플랫폼


[2. 배달원 설문조사 결과]

배달업 근로여건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주요 6개 도시 배달 종사자 1,200명을 대상으로 면접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안전보건교육) 최초 업무 시작 시, 안전보건교육 이수율은 79%로 비교적 높은 편이나, 대부분(72.2%) 온라인교육으로 이수하고 있었다.

(교통사고경험) 최근 6개월간 배달 종사자 10명 중 4.3명은 교통사고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주요 사고 원인에 대해서는, ‘촉박한 배달시간에 따른 무리한 운전’ (42.8%), ‘상대 운전자의 미숙 또는 부주의’(41.4%), ‘배달을 많이 하기 위한 무리한 운전’(32.2%) 순으로 답하였다.

(근로여건) 종사자는 월 평균 약 25.3일을 일하며 약 381만원을 벌면서, 약 95만원을 보험료, 렌탈료 등으로 지출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하루 평균 배달건수는 주중 37.4건 및 주말 42.3건, 평균 운행거리는 주중 103km 및 주말 117km으로 나타났다.

한편, 근로여건 개선을 위해서는 배달 수수료 체계 개선(43.8%)이 가장 필요하다고 답하였고, 노동자 지위 인정(13.7%), 갑질 완화(12.9%), 위험 보상(12.5%) 등 순으로 뒤를 이었다.

[3. 소비자 설문조사 결과]

음식배달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 1천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달 이용현황) 대부분 배달앱(88%)을 이용하며, 월 3~5회(42%), 1~2회(38%), 6~10회(15%) 순으로 이용빈도가 나타났고, 주로 저녁시간(17~20시)(67%)에 서비스를 이용하였다.

(배달료) 소비자 지불 배달료는 평균 2천원대(57%), 3천원대(31%)로 나타났으며, 음식값의 약 10%를 적정 배달료로 인식하고 있었다.

(서비스형태) 소비자의 66%는 단건 배송을 선호하였으며, 배달 시간으로는 20~30분 내 도착하는 것을 가장 희망(50%)하였다.

(서비스만족도) 신속·편의성, 선택의 다양성 등 대체로 만족(54%)하고 있으며, 높은 배달료에 대해서는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국토교통부 구헌상 물류정책관은 “이번 조사는 표본의 크기, 조사 규모 면에서 다소 아쉬움은 있지만 국토교통부가 배달업에 대해 실시한 첫 실태조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배달업은 형태·규모 면에서 유동성이 큰 시장으로서 정책 추진에 있어 시장 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앞으로 보다 정교한 조사방식을 도입하고 조사항목을 추가하는 등 진일보된 실태조사를 매년 실시하여 정확한 시장 환경 분석을 통해 정책 적정성 및 정확도를 높여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 국토교통부 2022-12-2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15 「카드수수료 종합개편방안(11.26)」에 따른 카드사 고비용 마케팅 관행 개선 기본방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30 14
2614 ‘18.12월1일부터 단체실손의료보험과 개인실손의료보험간 연계제도가 시행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28 14
2613 방문판매법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28 14
2612 금융꿀팁 200선 - 알아두면 유익한 보험상품 공시제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23 14
2611 2017년 심장정지환자 생존율, 2006년 대비 4배 증가(관계부처 합동)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21 14
2610 군사시설로 인한 국민 불편 정부가 나서서 해결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20 14
2609 개인사업장이 법인으로 전환돼도 사업내용 변동 없다면 산재보험 계승된 것으로 봐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19 14
2608 2일부터 ‘사람도 동물도 안전한 도로’ 위한 찻길사고 예방 캠페인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01 14
2607 산업안전보건법 전부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31 14
2606 나날이 증가하는 보험사기, 적발의 key는 내부자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29 14
2605 생후 6개월~12세 어린이 52.6%, 만 65세 이상 어르신 76.8% 인플루엔자 접종 마쳐, 늦어도 11월까지는 예방접종 완료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25 14
2604 금융꿀팁 200선 - 100 보험대리점을 통한 보험가입시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25 14
2603 대출받은 후 14일 이내 취소하고 싶다면 대출 청약철회권을 적극 활용하세요[금융꿀팁 152]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16 13
2602 화물, 제대로 안 묶으면 단속 걸린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16 13
2601 2024년 1월 인구동향(출생, 사망, 혼인, 이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27 13
Board Pagination Prev 1 ... 742 743 744 745 746 747 748 749 750 751 ... 921 Next
/ 9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