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22년 배달업 실태조사 결과 요약>

◈ ’22년 상반기 기준, 소화물배송대행업에 종사하는 배달원 수 237,188명

 * `19.상반기 119,626명에서 `22.상반기 237,188명으로 약 2배 증가

◈ 주문중개형 플랫폼 37개 업체, 배달대행 플랫폼 51개 업체, 각 지역 배달대행 영업점은 총 7,749개소로 파악

◈ 음식배달 종사자는 월 평균 25.3일 근무, 월 평균 보수액 381만원

◈ 배달 종사자의 약 43%는 최근 6개월 內 평균 2건 교통사고 경험

◈ 소비자는 30분 이내 단건 배송을 선호하나, 배달료는 다소 비싸다고 생각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소화물배송대행서비스사업(이하 배달업)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 (조사기관) 한국교통안전공단, NRS / (조사기간) `22.7월 ∼ `22.12월(5개월간)


이번 실태조사는 음식서비스 배달 직종에 근무하는 배달 종사자, 지역 배달대행업체, 배달플랫폼 업체 현황과 종사자 근로여건, 소비자 서비스 이용실태 등 음식배달서비스 전반에 대해 이뤄졌으며, 지난해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 제정(`21.7월 시행) 이후 최초로 진행된 실태조사이다.

[1. 배달업 현황]

배달업에 종사하는 배달원 수*를 살펴본 결과, `19년 상반기 119,626명에서 `22년 상반기 237,188명으로 약 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표준산업분류상 ‘소화물전문운송업’ 이면서 표준직업분류상 ‘배달원’에 속하는 인원에 ‘시도가중값’을 적용하여 산출, 통계청에서 발표한 `22년 상반기 배달원 45만명은 ‘소화물전문운송업’으로 분류하기 전 다른 관련 종사자(우편종사자 등)까지 포함한 수치


업체 현황으로는 주문중개 플랫폼* 37개 업체, 배달대행 플랫폼** 51개 업체가 운영 중이며, 각 지역의 배달대행업체는 전국적으로 7,794개소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 소비자와 음식점 간의 음식주문을 중개하는 플랫폼
** 음식점과 지역 배달대행업체 간의 배달주문을 중개하는 플랫폼


[2. 배달원 설문조사 결과]

배달업 근로여건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주요 6개 도시 배달 종사자 1,200명을 대상으로 면접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안전보건교육) 최초 업무 시작 시, 안전보건교육 이수율은 79%로 비교적 높은 편이나, 대부분(72.2%) 온라인교육으로 이수하고 있었다.

(교통사고경험) 최근 6개월간 배달 종사자 10명 중 4.3명은 교통사고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주요 사고 원인에 대해서는, ‘촉박한 배달시간에 따른 무리한 운전’ (42.8%), ‘상대 운전자의 미숙 또는 부주의’(41.4%), ‘배달을 많이 하기 위한 무리한 운전’(32.2%) 순으로 답하였다.

(근로여건) 종사자는 월 평균 약 25.3일을 일하며 약 381만원을 벌면서, 약 95만원을 보험료, 렌탈료 등으로 지출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하루 평균 배달건수는 주중 37.4건 및 주말 42.3건, 평균 운행거리는 주중 103km 및 주말 117km으로 나타났다.

한편, 근로여건 개선을 위해서는 배달 수수료 체계 개선(43.8%)이 가장 필요하다고 답하였고, 노동자 지위 인정(13.7%), 갑질 완화(12.9%), 위험 보상(12.5%) 등 순으로 뒤를 이었다.

[3. 소비자 설문조사 결과]

음식배달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 1천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달 이용현황) 대부분 배달앱(88%)을 이용하며, 월 3~5회(42%), 1~2회(38%), 6~10회(15%) 순으로 이용빈도가 나타났고, 주로 저녁시간(17~20시)(67%)에 서비스를 이용하였다.

(배달료) 소비자 지불 배달료는 평균 2천원대(57%), 3천원대(31%)로 나타났으며, 음식값의 약 10%를 적정 배달료로 인식하고 있었다.

(서비스형태) 소비자의 66%는 단건 배송을 선호하였으며, 배달 시간으로는 20~30분 내 도착하는 것을 가장 희망(50%)하였다.

(서비스만족도) 신속·편의성, 선택의 다양성 등 대체로 만족(54%)하고 있으며, 높은 배달료에 대해서는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국토교통부 구헌상 물류정책관은 “이번 조사는 표본의 크기, 조사 규모 면에서 다소 아쉬움은 있지만 국토교통부가 배달업에 대해 실시한 첫 실태조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배달업은 형태·규모 면에서 유동성이 큰 시장으로서 정책 추진에 있어 시장 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앞으로 보다 정교한 조사방식을 도입하고 조사항목을 추가하는 등 진일보된 실태조사를 매년 실시하여 정확한 시장 환경 분석을 통해 정책 적정성 및 정확도를 높여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 국토교통부 2022-12-2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85 택시 플랫폼, 택시 호출 취소 수수료 고지 미흡해 개선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1 26
2284 휴가철, 전기차 충전 걱정없이 안심하고 운전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1 70
2283 식용얼음 등 여름철 다소비 식품 수거.검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2 46
2282 민생안정을 위한 청소년 생활 지원금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2 20
2281 경찰청, 「전세사기 전국 특별단속」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6 22
2280 7월 28일부터 마약·약물, 음주, 무면허, 뺑소니 사고 시 운전자 사고부담금이 대폭 상향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6 11
2279 「소규모주택정비법」·「재건축이익환수법」·「국토기본법」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6 14
2278 상장기업 무상증자 관련 투자자 유의사항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6 40
2277 의료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의결 (7.26.)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6 18
2276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7.26.)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6 12
2275 긴급복지 생계지원 대상 한부모에게 아동양육비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6 24
2274 2022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6 19
2273 에어컨, 인터넷교육, 항공서비스 등 전월 대비 상담 증가율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6 16
2272 「맘편한임신」 「행복출산」 신청으로 열차할인 혜택도 누리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6 19
2271 '디지털 공공서식' 15종으로 확대해 데이터 행정 기반 다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6 16
Board Pagination Prev 1 ... 769 770 771 772 773 774 775 776 777 778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