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6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한국소비자원(원장 장덕진)과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한겨울로 접어들며 스키썰매 겨울 스포츠 이용자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안전사고 예방각별한 주의를 요청하였다.

최근 36개월(19.1~22.6) 동안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으로 접수된 겨울 스포츠 관련 안전사고 1,033건을 분석한 결과, 스키(ski)42.8%(442)로 가장 많고 스노보드(snowboard) 32.5%(336), 스케이트(skate) 16.4%(169), 눈썰매 5.9%(61) 순이었다.

연령대별로는 스키스케이트 안전사고전 연령대에서 골고루 발생했으며, 스노보드 10대에서 40대까지 주로 발생하였으며, 상대적으로 쉽게 탈 수 있는 눈썰매10세 미만60세 이상에서 주로 발생하였다.

원인별로는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사고89.6%(926)로 가장 많았고, 부딪힘 사고 5.1%(53)이며, 날카로운 스케이트 날에 다치는 등의 사고2.7%(28)나 발생하였다.

 

증상별로는 근육인대다치는 사고50.5%(522)로 가장 많았고, 뇌진탕과 타박상 29.5%(305), 피부와 피하조직 손상15.9%(164)를 차지하였다.

 

주로 다치는 부위를 살펴보면, 28.9%(299)로 가장 많았고, 머리얼굴 24.7%(255), 엉덩이다리24.5%(253) 순이었다.

미끄러운 얼음과 눈 위에서 활동하는 겨울 스포츠를 안전하게 즐기려면 다음과 같은 사항에 유의하도록 한다.

<스키, 스노보드>

스키스노보드타기 전에충분한 준비운동으로 무릎, 손목, 발목 등의 관절근육부드럽게 풀어주고 이완시킨다.

안전모와 스포츠용 장갑, 보호대, 보안경 자신에게 맞는 보호장비 착용철저히 한다.

넘어질 때 몸충격덜어 줄 수 있도록 안전하게 넘어지는 요령익히고, 넘어졌을 때주변 사람 부딪히기 쉬우니 즉시 안전한 곳으로 나온다.

스키 활주로자신의 실력에 맞는 코스(course)를 선택하고, 특히 초보자는 반드시 기초 강습 받은 뒤 이용하도록 한다.

<스케이트>

스케이트장에서는 정해진 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어린이는 전용 스케이트장이용하고, 안전모와 무릎보호대착용한다.

스케이트의 날(엣지) 부분은 만지지 말고, 옮길 때날카로운 부분이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주의한다.

<눈썰매, 얼음썰매>

썰매장에서 썰매를 타고 내려 올 때는 안전요원의 지시에 따라 먼저 출발한 사람과거리유지하여 충돌사고예방한다.

유아는 반드시 보호자와 함께 이용하고, 아이와 함께 탈 때썰매뒷부분에 앉는다.

썰매를 타고 내려올 때, 자칫 안전울타리 등과 충돌할 수 있으므로 끝나는 지점에서는 속도낮춰 적절히 썰매를 멈춘다.

또한, 보호자안전요원이 없는 호수, 비탈면 등에서 썰매타거나 얼음 위에서 노는 것 매우 위험하니 함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한국소비자원과 행정안전부는 겨울 스포츠를 즐길 때는 자신의 실력맞는 코스를 선택하고 무엇보다 무리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안전모보호대 안전장구를 꼼꼼히 챙겨 불의의 사고를 예방하여야 한다.”고 전했다.



[ 한국소비자원 2022-12-2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379 "원금과 고수익을 동시에 보장" 한다고 유혹하는 유사수신 업체 투자권유를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0 2020.11.23
4378 히터 팬 고장으로 과열 및 화재 우려 있는 Brod & Taylor 식품건조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6 2023.09.07
4377 히스타민이 고함유된 Pelazza Anchovy 통조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3.08.17
4376 흰 가루가 발생하는 (주)보니코리아의 아웃라스트 소재 섬유제품, 사용 자제 촉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27 2017.06.23
4375 흙먼지털이 시설에 설치된 공기분사기에 대한 안전관리 강화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1 2021.03.25
4374 흉터 치료, 지방감소 표시.광고 제품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7 2021.05.13
4373 휴대폰 할인마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7 2022.05.03
4372 휴대폰 텔레마케팅 사기판매 이용자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3 2023.01.25
4371 휴대폰 케이스 일부에서 카드뮴과 납 다량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0 2017.08.24
4370 휴대폰 앱을 이용한 신종 보이스피싱 사례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6 2019.04.18
4369 휴대폰 사기판매 이용자 피해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22.08.08
4368 휴대폰 사기 판매 예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4 2021.10.05
4367 휴대전화發 불법도박 이미지스팸 주의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6 2018.02.13
4366 휴대용 수소흡입기, 질병·질환 치료 등 부당광고 조심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1 2023.03.16
4365 휴대용 선풍기 안전하게 사용하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02 2017.08.03
4364 휴대용 가스레인지 관련 사고 26%는 봄철에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5 2021.04.02
4363 휴대기기에 사용되는 충전지 안전성 조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5 2017.09.14
4362 휴가철 캠핑 시 축산물 부패·변질에 유의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11 2016.08.08
4361 휴가철 숙박, 여행, 항공 소비자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9 2018.07.25
4360 휴가철 맞이하여 어린이·청소년 물놀이 안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8 2017.07.1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