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5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주요 내용 -


□ 한랭질환, 전년 동기간 대비 60% 증가

□ 한파 시 실외 활동 자제하고 보온 유지에 각별히 신경써야


□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은 「2022-2023절기 한랭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운영 결과(’22.12.1.~’22.12.14.), 저체온증으로 인한 추정 사망자 4명을 포함하여 총 48명의 한랭질환자가 신고되었다고 밝혔다. 

   * 한랭질환은 추위가 직접 원인이 되어 인체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질환으로, 저체온증, 동상, 동창이 대표적임.


 ○ 현재까지 감시체계로 신고된 한랭질환자(’22.12.1.~’22.12.14.)는 전년 동기간 대비 60% 늘었고, 특히 추정 사망자는 같은 기간 전년 0명에서 올해 4명으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신고 환자 중 절반 가량(52%)은 65세 이상 고령자였고, 저체온증이 83%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 당분간 전국 곳곳에서 강추위가 예상되며, 바람도 강하게 불어 체감온도는 더욱 낮아 매우 추울 것으로 예보(기상청)됨에 따라 한랭질환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갑작스러운 한파 시에는 신체 적응력이 떨어지면서 한랭질환에 취약할 수 있어, 실외 활동을 자제하고, 모자·목도리·장갑 등을 이용하여 보온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 어르신과 어린이는 일반 성인보다 체온 유지에 취약하여 한파 시에는 특히 주의가 필요하며, 난방이 적절하지 않은 실내에서 지내는 경우에도 한랭질환을 주의해야 한다.


 ○ 만성질환자(심뇌혈관, 당뇨병, 고혈압 등)는 급격한 온도 변화에 혈압이 급격히 상승하는 등 증상이 악화되어 위험할 수 있으므로, 한파 시 갑작스러운 추위 노출과 무리한 신체활동을 피해야 한다. 


 ○ 또한, 술을 마시면 신체에 열이 올랐다가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고 추위를 인지하지 못해 위험할 수 있으므로 한파 시에는 과음을 피하고 절주해야 한다.


□ 질병관리청 백경란 청장은 “한랭질환은 사전에 적절한 조치로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한파 대비 건강수칙을 준수해 줄 것”을 당부하며, 


 ○ 특히 “한파에 취약한 노숙인과 독거노인 등 취약계층에 대해 각별한 관심이 필요하다”고 거듭 강조하였다. 


< 한파 대비 건강수칙 >

 ▶ 외출 전

   - 날씨정보(체감온도 등)를 확인하고 추운 날씨에는 가급적 야외활동을 줄입니다. 

 ▶ 외출 시

   - 내복이나 얇은 옷을 겹쳐 입고, 장갑·목도리·모자·마스크로 따뜻하게 입습니다. 

   - 추운 날씨에 옷과 신발이 젖었을 때에는 신속히 마른 옷과 신발로 교체합니다. 

 ▶ 생활 습관

   - 가벼운 실내운동, 적절한 수분섭취와 고른 영양분을 가진 식사를 합니다.

 ▶ 실내 환경

   - 실내는 적정온도를 유지하고 건조해지지 않도록 합니다. 


< 한파 관련 특히 주의가 필요한 경우 >

 ▶ 어르신과 어린이

   - 일반 성인에 비해 체온을 유지하는 기능이 약하므로 한파 시 실외활동을 자제하고 평상시와 외출 시에 보온에 신경쓰세요.

 ▶ 만성질환자(심뇌혈관질환, 당뇨병, 고혈압 등)

   - 급격한 온도 변화에 혈압이 상승하고 증상이 악화되어 위험할 수 있으므로 추위에 갑자기 노출되지 않게 주의하고 무리한 신체활동을 피하세요.

 ▶ 음주

   - 술을 마시면 신체에 열이 올랐다가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지만 추위를 인지하지 못하여 위험할 수 있으므로 추운 날씨에는 음주를 피하세요.

 ▶ 낙상(노인, 영유아, 퇴행성관절염과 같은 만성질환자)

   - 빙판길, 경사지거나 불규칙한 지면, 계단을 피해 가급적 평지나 승강기를 이용하고, 장갑을 착용하여 주머니에서 손을 빼고 활동합니다. 



[ 보건복지부 2022-12-1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373 자전거 안전하게 즐기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1 2020.07.10
3372 자전거 사고로 인한 응급 환자 발생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5 2017.05.22
3371 자전거 사고 6월에 가장 많아 안전수칙 준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2 2020.06.04
3370 자외선 차단 효과가 미흡한 Bondi Sands 자외선 차단 로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 2024.04.03
3369 자연재난 대비 풍수해보험 미리 가입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5 2019.03.21
3368 자연연소 주의사항 표시가 없는 Walrus Oil 가구광택제 4종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21.03.18
3367 자속 지수가 높고 크기가 작아 질식 위험 있는 자석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22.03.14
3366 자석이 분리되어 삼킬 경우 질식 위험있는 Hysagtek 볼펜 회수 및 환불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22.02.09
3365 자석 이물 혼입 가능성 있는 HiPP 과일주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0.17
3364 자석 삼킴 우려 있는 Magnetic Robot Building Block Set 자석 블록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2 2023.01.16
3363 자석 삼킴 우려 있는 350pcs Magnetic Building Block Set 자석 블록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1 2023.01.16
3362 자석 부품의 높은 자속 지수 및 작은 크기로 인해 질식의 위험 있는 Leehur 슬라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0 2022.02.09
3361 자동차 정비업체 이용 시 보험사기에 연루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3.10.11
3360 자동차 재생에어백 운전자 안전 위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9 2021.03.09
3359 자동차 이용 중 손가락·머리 끼임 등 안전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0 2017.12.04
3358 자동차 이동 시 어린이 안전 관련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19.08.27
3357 자동차 완구[Reassembly Screw Car], 질식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18.04.12
3356 자동차 동반석 등받이 지나치게 눕히면 사고 시 상해 위험 높아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9 2022.03.17
3355 자동차 금융사기 관련 소비자 유의사항 안내 및 피해 예방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3.07.31
3354 자동심장충격기 관련 의무교육·설치 확대 필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18.01.31
Board Pagination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