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5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주요 내용 -


□ 한랭질환, 전년 동기간 대비 60% 증가

□ 한파 시 실외 활동 자제하고 보온 유지에 각별히 신경써야


□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은 「2022-2023절기 한랭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운영 결과(’22.12.1.~’22.12.14.), 저체온증으로 인한 추정 사망자 4명을 포함하여 총 48명의 한랭질환자가 신고되었다고 밝혔다. 

   * 한랭질환은 추위가 직접 원인이 되어 인체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질환으로, 저체온증, 동상, 동창이 대표적임.


 ○ 현재까지 감시체계로 신고된 한랭질환자(’22.12.1.~’22.12.14.)는 전년 동기간 대비 60% 늘었고, 특히 추정 사망자는 같은 기간 전년 0명에서 올해 4명으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신고 환자 중 절반 가량(52%)은 65세 이상 고령자였고, 저체온증이 83%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 당분간 전국 곳곳에서 강추위가 예상되며, 바람도 강하게 불어 체감온도는 더욱 낮아 매우 추울 것으로 예보(기상청)됨에 따라 한랭질환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갑작스러운 한파 시에는 신체 적응력이 떨어지면서 한랭질환에 취약할 수 있어, 실외 활동을 자제하고, 모자·목도리·장갑 등을 이용하여 보온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 어르신과 어린이는 일반 성인보다 체온 유지에 취약하여 한파 시에는 특히 주의가 필요하며, 난방이 적절하지 않은 실내에서 지내는 경우에도 한랭질환을 주의해야 한다.


 ○ 만성질환자(심뇌혈관, 당뇨병, 고혈압 등)는 급격한 온도 변화에 혈압이 급격히 상승하는 등 증상이 악화되어 위험할 수 있으므로, 한파 시 갑작스러운 추위 노출과 무리한 신체활동을 피해야 한다. 


 ○ 또한, 술을 마시면 신체에 열이 올랐다가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고 추위를 인지하지 못해 위험할 수 있으므로 한파 시에는 과음을 피하고 절주해야 한다.


□ 질병관리청 백경란 청장은 “한랭질환은 사전에 적절한 조치로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한파 대비 건강수칙을 준수해 줄 것”을 당부하며, 


 ○ 특히 “한파에 취약한 노숙인과 독거노인 등 취약계층에 대해 각별한 관심이 필요하다”고 거듭 강조하였다. 


< 한파 대비 건강수칙 >

 ▶ 외출 전

   - 날씨정보(체감온도 등)를 확인하고 추운 날씨에는 가급적 야외활동을 줄입니다. 

 ▶ 외출 시

   - 내복이나 얇은 옷을 겹쳐 입고, 장갑·목도리·모자·마스크로 따뜻하게 입습니다. 

   - 추운 날씨에 옷과 신발이 젖었을 때에는 신속히 마른 옷과 신발로 교체합니다. 

 ▶ 생활 습관

   - 가벼운 실내운동, 적절한 수분섭취와 고른 영양분을 가진 식사를 합니다.

 ▶ 실내 환경

   - 실내는 적정온도를 유지하고 건조해지지 않도록 합니다. 


< 한파 관련 특히 주의가 필요한 경우 >

 ▶ 어르신과 어린이

   - 일반 성인에 비해 체온을 유지하는 기능이 약하므로 한파 시 실외활동을 자제하고 평상시와 외출 시에 보온에 신경쓰세요.

 ▶ 만성질환자(심뇌혈관질환, 당뇨병, 고혈압 등)

   - 급격한 온도 변화에 혈압이 상승하고 증상이 악화되어 위험할 수 있으므로 추위에 갑자기 노출되지 않게 주의하고 무리한 신체활동을 피하세요.

 ▶ 음주

   - 술을 마시면 신체에 열이 올랐다가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지만 추위를 인지하지 못하여 위험할 수 있으므로 추운 날씨에는 음주를 피하세요.

 ▶ 낙상(노인, 영유아, 퇴행성관절염과 같은 만성질환자)

   - 빙판길, 경사지거나 불규칙한 지면, 계단을 피해 가급적 평지나 승강기를 이용하고, 장갑을 착용하여 주머니에서 손을 빼고 활동합니다. 



[ 보건복지부 2022-12-1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373 국립공원 사망사고 절반은 심장돌연사, 가을철 산행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1 2017.09.29
3372 국립공원 이용시 사회적 안전거리 준수와 겨울철 안전사고 대비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20.11.30
3371 국민 10명 중 7명은 아파트 단지 내 보행안전 ‘위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18.05.31
3370 국민신문고 사칭 이메일 주의 당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2.02
3369 국민의 의견을 들어 안전감찰을 추진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5 2018.10.11
3368 국민청원 검사, 시중 모든 '인공눈물' 무균시험 적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5 2020.06.29
3367 국민청원 안전검사제, '노니 분말.환 제품' 조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19.05.02
3366 국세청 사칭, 이메일에 속지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19.06.03
3365 국세청 사칭, 이메일・문자메시지에 속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4.01.10
3364 국외 원숭이두창 대비, 위기경보 “관심단계”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22.06.03
3363 국제거래 소비자의 10% 이상이 소비자피해 경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20.07.29
3362 국표원, 수영복·전격살충기 등 48개 제품 리콜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5 2017.07.18
3361 국표원, 액체괴물·전기매트 등 132개 제품 리콜명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 2018.12.20
3360 국표원, 어린이가방·학용품 등 51개 제품 리콜명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19.02.27
3359 궁금한 독성정보, 톡스인포에서 찾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9 2019.02.22
3358 궁금한 화학안전 정보…'화학물질 종합 포털'에서 해소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4 2017.06.02
3357 규정 미준수 플러그로 감전 및 화재 위험 있는 전기절감기(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1 2022.08.26
3356 규정 미준수 플러그로 감전 및 화재 위험 있는 전기절감기(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4 2022.08.26
3355 규정 미준수 플러그로 감전 및 화재 위험 있는 전기절감기(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22.08.26
3354 규정 준수 문서가 누락된 검정색 구명조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4.06.04
Board Pagination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