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정부, 건강한 식생활 위해 [국민 공통 식생활 지침] 제정

당뇨, 고혈압을 비롯한 만성질환은 식생활과 밀접한 관계

국민 식생활 개선을 위해 복지부·농식품부·식약처 9가지 수칙 제시

다양한 식품군을 골고루, 설탕·소금은 적게, 단 음료 대신 물을 충분히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손문기)와 공동으로 국민의 건강하고 균형잡힌 식생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국민 공통 식생활 지침]을 제정‧발표했다.

비만, 당뇨, 고혈압 등 만성질환이 증가함에 따라, 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식생활을 개선하기 위해, 그 간 정부에서는 각 부처별로 식생활 지침을 개발·보급하여 왔다.

* 보건복지부 한국인을 위한 식생활 지침(2008∼2011), 농림축산식품부 한국인을 위한 녹색 식생활지침(2010), 식품의약품안전처 당류 줄이기 실천가이드(2014) 등

[국민 공통 식생활 지침]은 정부부처의 분산되어 있는 지침을 종합하여, 바람직한 식생활을 위한 기본적인 수칙을 제시한 것으로,

균형있는 영양소 섭취, 올바른 식습관 및 한국형 식생활, 식생활 안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다.

[국민 공통 식생활지침]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국민 공통 식생활지침

  1. 쌀·잡곡, 채소, 과일, 우유·유제품, 육류, 생선, 달걀, 콩류 등 다양한 식품을 섭취하자
  2. 아침밥을 꼭 먹자
  3. 과식을 피하고 활동량을 늘리자
  4. 덜 짜게, 덜 달게, 덜 기름지게 먹자
  5. 단음료 대신 물을 충분히 마시자
  6. 술자리를 피하자
  7. 음식은 위생적으로, 필요한 만큼만 마련하자
  8. 우리 식재료를 활용한 식생활을 즐기자
  9. 가족과 함께 하는 식사 횟수를 늘리자

이는 영역별로 국민의 주요 건강·영양문제와 식품안전, 식품소비 행태 및 환경 요인 등을 검토하여 도출된 것으로,

  • 인구사회학적 변화 영역에서는, 인구고령화, 만성질환 관련 사회경제적 부담 증가 등 문제를,
    • * 총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 비율(통계청) : ‘15년 13.1%, ’40년 32.3% 전망
    • * 총 진료비 중 65세 이상 진료비(건강보험공단) : ‘06년 25.9% → ’13년 35.5%(18조원)
    • * 비만의 사회적 비용(국민건강보험공단) : 연간 약 6.8조원(’13), 매년 증가
  • 식품 및 영양 섭취 변화 영역에서는 쌀 등 곡류 섭취 감소, 과일·채소 섭취 부족, 당류 섭취 증가, 음료류·주류 섭취 증가, 영양소 부족 및 과잉 등 문제를,
    • * 나트륨 섭취 과다 및 칼슘 섭취 부족, 음료를 통한 당류 섭취 증가 등
  • 식습관 영역에서는 아침식사 결식률 증가, 가족 동반 식사율 감소 등 문제를,
    • * 국민 5명 중 1명 이상이 아침식사를 거르고 있으며, 가족과 저녁식사를 하는 비율이 ‘05년 76%에서 ’14년 66%로 감소

    - 아침식사 결식률 : (‘05년) 19.9%→(‘10년) 21.8%→ (‘12) 23.4% → (‘14) 24.0%

    - 저녁식사 가족동반 식사율 : (‘05년) 76.0% → (’10) 68.0% → (‘12) 66.4% → (’14) 65.8%

  • 신체활동 영역에서는 신체활동 실천율 감소 등 문제를,
    • * 걷기실천율 : (남자) ’05년 62.4% → ’14년 43.1% (여자) ’05년 59.0% → ’14년 40.3%
  • 식품환경 영역에서는 음식물 쓰레기 등 문제를 고려하였다.

특히, 이번 식생활지침에서는 ‘당류’와 관련하여, ‘(4)덜 달게 먹기’, ‘(5)단음료 대신 물을 충분히 마시기’ 2개의 수칙이 포함되었다.

  • 이는 우리 국민의 총 당류 섭취량은 72.1g(2,000kcal 기준 1일 열량의 20% 이내)으로 크게 우려할 수준은 아니나,

    당류의 주요 급원 식품인 음료류 등 가공식품 섭취 증가 등 당류 섭취 실태를 반영한 것이다.

    • * 1일 평균 총당류 섭취량 : (’07) 59.6g → (’10) 70.0g → (’13) 72.1g
    • *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 : (’07) 33.1g → (’10) 42.1g → (’13) 44.7g
    • * 음료류를 통한 당류 섭취량 : (’07) 8.7g → (’10) 13.0g → (’13) 13.9g
      (자료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국민 다소비 식품의 당류 DB확보 및 조사연구. 2015)

(자료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국민 다소비 식품의 당류 DB확보 및 조사연구. 2015)

<1일 당류 섭취기준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총당류 섭취량은 총 에너지 섭취량의 10∼20%(2,000kcal 기준 50∼100g)
단, 첨가당 섭취량은 총 에너지 섭취량의 10% 이내

  • * 총당류 : 식품에 내재하거나 가공, 조리 중 첨가하는 단당류 및 이당류 전체
  • * 첨가당 : 식품의 제조과정이나 조리 시에 첨가하는 당

아울러, 식생활의 서구화, 1인 가구 및 맞벌이 가구 증가 등 사회적 변화를 반영하여, (2)아침밥을 꼭 먹자 (9)가족과 함께 하는 식사 횟수를 늘리자 등의 내용도 포함되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그 간 정부부처에서 산재되어 있던 식생활지침을 아우름으로써, 국민들에게 보다 쉽고 강하게 전달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국민의 식생활에 대한 높은 관심과 넘쳐나는 정보에 비해 실천이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향후 구체적인 실천 전략도 관계 부처와 협력하여 수립·시행해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붙임> 국민 공통 식생활 세부 지침별 참고자료

※ 참고자료 내 통계 관련 문의는 <국민 공통 식생활 지침 제정 연구>를 수행한 한국보건산업진흥원(043-713-8615)으로 문의 주시기 바랍니다.

 

[보건복지부 2016-04-0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291 정부3.0으로 금융사기 피해 크게 줄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03 92
11290 정부3.0으로 과학적 식중독 예방 서비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08 77
11289 정부3.0으로 공공기관까지 원문정보 그대로 공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30 103
11288 정부3.0 ‘행복배달 빨간자전거’ 17명의 생명 구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18 113
11287 정부24‧홈택스 등 주요 공공웹사이트에 민간 전자서명 도입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11 30
11286 정부24, 여권 재발급 온라인 신청 편리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25 17
11285 정부24, 민원서비스 100종 모바일 신청화면 쉽게 바뀐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1.15 14
11284 정부24, 다양한 인증수단으로 쉽고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30 21
11283 정부24 에서 연말정산 증빙서류 무료로 발급 받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15 15
11282 정부,‘마약류 범죄근절 종합대책’발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27 136
11281 정부, 통신비 부담 경감 대책 차질없이 추진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14 57
11280 정부, 취득세 중과 완화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21 7
11279 정부, 취득세 중과 완화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22 8
11278 정부, 전국 폭염 위기경보“주의”단계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13 21
11277 정부, 전국 폭염 위기경보“경계”단계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0 91
Board Pagination Prev 1 ...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