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식약처, 나트륨 줄이기 성공 이어 국민 건강 향한 두 번째 도전, 당류 줄이기 본격 추진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손문기)는 지난 2010년 이후 나트륨 줄이기 정책을 통해 일일 평균 나트륨 섭취량을 약 20%(’10년 4,878mg→’14년 3,890mg) 줄인데 이어 우리 국민의 건강한 식생활을 위한 두 번째 정책으로 당류 줄이기를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식약처는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을 1일 총 에너지 섭취량(열량)의 10% 이내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다양한 세부 전략을 포함하는 「제1차 당류 저감 종합계획(‘16~’20)」을 발표하였다.
* 당류 : 식품 내에 존재하는 모든 단당류와 이당류의 합(식품등의 표시기준)
○ 식약처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우리나라 어린이·청소년·청년층(3∼29세)의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은 ’13년에 이미 섭취기준을 초과하였고, 전체 국민의 가공식품을 통한 평균 당류 섭취량도 ’16년에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 19∼29세 연령층에서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이 '10년에 기준을 처음으로 초과한 이래 ’13년 조사에서는 3∼29세 전 연령층에서 기준을 초과하여 과다 섭취 연령이 점점 확대되는 추세이며, 이 연령층의 약 2명 중 1명(46.3%)이 섭취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어린이·청소년 등을 중심으로 당류 섭취기준을 초과 현상이 심화되는 양상이다.
○ 그 동안 식약처는 당류를 관리하기 위해 음료류 등 가공식품에 대한 영양표시, 어린이기호식품 중 고열량·저영양 식품 판매를 제한하는 정책 등을 실시해 왔으나, 우리 국민의 당류 섭취에 대한 보다 선제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종합계획을 마련하여 추진하기로 하였다.
○ 종합대책의 주요 내용은 ▲국민 개개인의 식습관 개선 및 인식 개선 ▲당류를 줄인 식품을 선택할 수 있는 환경 조성 ▲ 당류 줄이기 추진기반 구축 등이다.

□ 식약처는 나트륨 줄이기 성공사례에 이어 이번 종합계획이 국민 스스로 당류에 대한 인식과 입맛을 개선하고 당류를 줄인 식품들의 생산·유통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 또한 앞으로도 우리 국민의 당류 섭취실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정책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할 계획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6-04-0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78 친환경 야영방법 알려주는 야영학교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1 35
2377 자연공원 내 생활밀착형 규제개선으로 주민불편 없앤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1 51
2376 6월 23일부터 7월 1일까지 6차 긴급고용안정지원금 신규 신청.접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2 31
2375 첨벙, 캠핑, 건강, 사진 등 주제별 '여름 섬'으로 특별한 휴가 떠나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2 50
2374 청년·신혼부부를 위한 매입·전세임대주택 총 7천호 입주자 모집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3 43
2373 코로나로부터 안전한 여름휴가 대책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3 42
2372 고유가, 고물가로 어려움을 겪는 저소득층 지원을 위해 긴급복지지원제도 확대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3 45
2371 2021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고용 현황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3 41
2370 ㈜에센루, 영·유아용 치아발육기 환불조치(리콜)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3 52
2369 핸디형 스팀다리미 비교정보 생산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4 53
2368 통신서비스 중단시, 이용자 피해구제 강화 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4 40
2367 고령층의 중증‧사망 예방을 위해 4차접종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4 47
2366 2022년 고속도로 화물차 사망사고, 일반차량의 2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7 40
2365 분양가상한제 합리화 방안 제도개선 후속조치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7 41
2364 반려견 등록,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7 40
Board Pagination Prev 1 ... 762 763 764 765 766 767 768 769 770 771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