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지난 8년간 사회경제적 비용*이 가장 많이 발생한 건강위험 요인은 비만으로, 그 동안 2.22배 증가하여 흡연(1.62) 및 음주(1.56)보다 증가 폭보다 컸다.
* 연도별(금액) : (’05) 13.5조 → (’07) 17.5 → (’09) 20.5 → (’11) 21.6 → (’13) 23.3
특히 비만의 경우 각 종 성인병(당뇨, 고혈압 등)의 원인이 되며, 아동의 비만율은 사회적 큰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 초중고등학생 비만율 : (’10) 14.3% → (’12) 14.7 → (’14) 15.0
** 주 1회 이상 패스트푸드 섭취 : 초등 61.4% → 중등 72.1 → 고등 74.3
*** 아침식사 미섭취(초등) : (’10) 3.5% → (’12) 3.9 → (’14) 4.2
이에 농림축산식품부(이한 농식품부, 장관 이동필)는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을 위해서는 아동의 눈높이에 맞춤 식생활교육 뿐만 아니라 아동 교육할 예비교사의 식생활교육 역량강화가 필요함에 따라 “식생활교육 교과목 확대 운영*”을 통해 교사 임용이후 초등학교에서의 바른 식생활식습관 교육 활성화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15.2학기(9∼12월) 7개교에서 시범실시 후 ’16년도에는 8개교에서 12학기로 확대운영
작년 식생활교육 수강생(655명) 대상, 강의 사전사후 설문조사 결과 인지도지식실천 부문 등에서 교육 후 전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이처럼 교대에서 개설운영하는 “식생활교육 강좌*”는 전공필수 또는 선택(교양) 과목(1~3학점 부여)으로 농업농촌의 가치와 연계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제공을 통해 예비교사의 식생활교육 역량 강화로 미래세대의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 학교명(과목명/학점) : 서울(생활과학/2), 춘천(현대인의 식생활/2), 공주(초등실과교육/3), 광주(조리과학과 환경/3), 전주(초등실과교육연구/3), 진주(초등식생활교육/3), 제주(초등식생활교육/3), 대구(초등식품조리교육의이론/3)
또한 청년 중심의 바른 식생활식문화 범국민 가치확산을 위해 “대학생 동아리 서포터즈”를 운영(16.5~12월)할 계획이다.
식생활교육 관련 동아리의 재능기부를 활용하여 취약계층 대상 찾아가는 식생활교육, 우리 농산물 소비촉진 활동, 식생활 연구모임 및 바른 식생활 홍보·캠페인 등 참신한 아이디어를 발굴하여 지원할 계획이다(10개 동아리)
농식품부 허태웅 유통소비정책관은 학교에서 영양건강 교육뿐만 아니라 농업농촌 가치와 연계한 생애주기별 맞춤형 식생활교육을 통해 우리 농산물의 소비가 촉진되며
또한 동아리 활동 지원사업을 통해 대학생들이 생활속에서 실천가능한 바른 식생활 관련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발굴되어 정부 3.0취지에 맞게 수요자 중심의 식생활교육이 활성화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 2016-04-0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215 국민연금법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11.23.)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23 7
9214 국민연금법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6.14.)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14 327
9213 국민연금법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6.22.)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22 12
9212 국민연금법 일부개정법률안 등 보건복지부 소관 10개 법안, 9월 28일 국회 본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29 39
9211 국민연금액, 기초연금액 3.6% 더 받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09 8
9210 국민연금에 대한 국민의 의견을 듣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28 28
9209 국민연금의 장애급여 혜택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25 368
9208 국민은 알기 쉽고 재활용은 잘 되고…분리배출 안내서 나온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18 46
9207 국민의 권익을 두텁게 보호하기 위해「자동차보험 표준약관」을 개선하였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30 34
9206 국민의 나트륨.당류 섭취 실태분석 결과 발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30 13
9205 국민의 눈높이 수준으로 '정보공개법' 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7 35
9204 국민의 사회서비스 만족도 높아, 88.0점으로 전년 대비 1.2점 상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4 62
9203 국민의 소리에 담긴 생활 속 불편, 얼마나 개선되었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2 21
9202 국민의 아이디어로 교통 데이터에 날개를 달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02 7
9201 국민의 억울함 풀어준 ‘솔로몬의 지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11 56
Board Pagination Prev 1 ...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