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이하‘장애인차별금지법’) 시행령」일부 개정령안을 마련하여 11월 18일(금)부터 12월 28일(수)까지 40일간 입법예고 한다고 밝혔다.

  ○ 2021년 7월, 장애인차별금지법 개정으로 무인정보단말기(이하 ‘키오스크’)나 이동통신단말장치에 설치되는 응용소프트웨어(이하 ‘모바일앱’) 등의 제공자와 제공기관에 대해 장애인의 키오스크나 모바일앱 이용이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당한 편의를 제공할 의무를 규정하였다. 

  ○ 이번 장애인차별금지법 시행령 개정은 법률 개정안이 2023년 1월 28일 시행될 예정임에 따라 법률이 정한 정당한 편의의 구체적 내용과 단계적 시행을 위한 시행범위를 구체화하기 위해 추진된다. 

    * 장애인차별금지법 개정(2021년 7월 27일 개정, 2023년 1월 28일 시행)에 따라, 키오스크 및 모바일앱에 대한 장애인 접근성을 위해 필요한 정당한 편의의 구체적 내용과 단계적 시행범위를 대통령령으로 정하도록 함

□ 이번 장애인차별금지법 시행령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키오스크】

  ○ 적용 대상 키오스크는 무인발권기, 무인주문기, 무인결제기, 종합정보시스템 등 16종*이다. 

    * 「장애인․고령자 등의 정보 접근 및 이용 편의 증진을 위한 고시(이하 ‘고시’)」에 따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정한 정부 우선구매 대상 지능정보제품 

  ○ 키오스크는 고시에 따른 접근성 검증기준을 준수한 제품으로, 장애 유형에 따른 불편 사항을 고려한 정당한 편의가 제공되도록 설치, 운영되어야 한다.

    - 휠체어 이용 장애인을 위해서 휠체어가 접근 가능하고 휠체어 발판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 등이 확보되어야 하고, 시각장애인을 위해 전면에 점형 블록이 설치되거나 음성안내가 제공되어야 한다.

    - 키오스크 사용 중 오류가 발생하거나 문의 사항이 있을 때를 대비해 장애 유형에 따른 의사소통 수단, 즉 수어, 문자, 음성 등을 통해 운영자 등과 의사소통할 수 있는 중계수단도 제공되어야 한다.

  ○ 한편, 최근 관련 기술 동향, 특히 시각장애인에 특화된 소프트웨어 상용화 추이 등을 감안하여, 모바일앱 등을 통해 키오스크를 원격제어할 수 있는 보조적 수단을 두게 하는 등 기기의 전면교체 없이도 최대한 접근성이 확보될 수 있는 별도의 조치를 하도록 권고하였다.

    - 사용자 휴대폰에 있는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 기능을 활용해 개인이 보유한 휴대폰과 이용하고자 하는 키오스크를 연결한 후 음성 읽기 기능이 있는 모바일앱을 통해 키오스크 상 문자를 음성으로 읽어낼 수 있는 기술이 현재 상용화 단계에 있다.

  ○ 바닥면적의 합계가 50제곱미터 미만인 소규모 시설의 경우, 모바일앱과 키오스크를 연계하는 등의 보조적 수단 또는 상시 지원 인력이 있어 장애인의 키오스크 이용을 돕기 위한 조치가 제공되는 경우 법률상 정당한 편의를 제공한 것으로 본다.
  ○ 이번 조치는 제공기관 등의 준비기간 및 현장의 적용가능성 등을 고려해 기관의 유형 및 규모 등에 따라 3단계로 구분하여, 공공기관부터 우선 시행하도록 하고 민간부문은 규모에 따라 순차적으로 시행한다.


    <1단계:’24.1.28>공공·교육·의료·금융기관, 이동·교통시설 등 → <2단계:’24.7.28>문화·예술사업자, 복지시설, 상시 100인 이상 사업주 → <3단계:’25.1.28>관광사업자, 체육시설, 상시 100인 미만 사업주
     ※ 바닥면적 50㎡미만 시설은 보조적 수단 제공 등 별도의 조치를 한 경우 정당한 편의를 제공한 것으로 봄
 

  - 단, 이 법의 시행일(2023년 1월 28일) 이전 설치된 키오스크는, 2026년 1월 28일부터* 관련 의무를 적용하고, 법률 시행일 이후에 설치되었으나 개정 법률 적용일 이전에 이미 설치된 키오스크의 경우에도 2026년 1월 28일부터 관련 의무를 적용한다.


    * 통상 설치․운영자가 기기를 직접 구매하기보다는 대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대여기간이 2~3년인 점을 감안하여 경과규정 마련

【모바일앱】
  ○ 모바일앱은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워치 등에 탑재되는 응용소프트웨어로, 키오스크와 마찬가지로 고시에 따른 접근성 준수 설계지침을 준수하여야 한다.  

    - 모바일앱에는 장애인에 대한 접근성 지침의 준수 여부, 설치 및 이용에 필요한 설명 정보, 문제 발생 시 수어·문자·음성 등을 통해 의사소통할 수 있는 서비스 등이 제공되어야 한다.

  ○ 적용 시기는, 3단계로 구분하여, 공공기관부터 우선 시행하고 민간부문은 규모에 따라 순차적으로 시행한다.


    <1단계:’23.7.28>공공·교육·의료기관, 이동·교통시설 등 → <2단계:’24.1.28>복지시설, 상시 100인 이상 사업주 → <3단계:’24.7.28>문화·예술․관광사업자, 체육시설, 상시 100인 미만 사업주

    - 단, 해당 업계의 준비기간 등을 고려하여, 개정 법률이 시행되는 2023년 1월 28일 이전 배포된 모바일앱에 대해서는, 개정법률 적용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이를 적용하고, 시행일 이후에 배포되었으나 개정법 적용일 이전에 배포된 모바일앱은 적용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규정을 적용한다.

□ 보건복지부 염민섭 장애인정책국장은 “최근 키오스크 및 무인점포가 확대되고 있는 만큼, 이번 개정으로 장애인의 일상생활 속 불편이 해소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며, 

  ○ “정부는 안정적 제도 시행 및 관련 법령 적용에 혼선이 없도록 장애계 및 관련 업계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여 개정안을 확정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 이번 개정령안에 대하여 의견이 있는 개인 또는 단체는 2022년 12월 28일(수)까지 보건복지부 장애인권익지원과로 의견을 제출하면 된다.

  ○ 개정안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보건복지부 누리집(홈페이지) (www.mohw.go.kr) → 정보 → 법령 → “입법·행정예고 전자공청회”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의견 제출방법(우편) >

 ○ 제출처
   - 주소: (30113) 세종특별자치시 도움4로 13, 정부세종청사 10동 6층보건복지부 장애인권익지원과
    * 전화: (044) 202–3312, 3301, FAX : (044) 202–3961

 ○ 기재사항
   - 입법예고 사항에 대한 의견(찬반 여부와 그 사유)
   - 성명(법인ㆍ단체는 법인ㆍ단체명과 그 대표자의 성명), 주소 및 전화번호
   - 기타 참고사항 등

 ※ 통합입법예고시스템(http://opinion.lawmaking.go.kr)을 통해 의견제출 가능
 


[ 보건복지부 2022-11-1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748 휴대전화 부정가입(대포폰) 방지를 위한 운전면허증 진위확인서비스 시행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6 343
13747 휴대전화 본인인증시 불필요한 광고 동의 주의 필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12 135
13746 휴대전화 무선충전기 구입 시, KC마크 확인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26 86
13745 휴대전화 개통할 때에도 개인정보 보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9 68
13744 휴대전화 가족결합 할인도 공공 마이데이터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19 22
13743 휴대용 칫솔살균기 비교정보 생산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21 118
13742 휴대용 초음파흡입기 부당광고 150건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11 65
13741 휴대용 스피커, 음향품질 제품별 차이 있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30 267
13740 휴대용 선풍기내 충전지의 안전확인신고 여부 등 조사결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30 111
13739 휴대용 빔프로젝터, 영상·음향품질 등 주요 성능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20 13
13738 휴대용 부탄가스 가격 담합, 과징금 약 309억 원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15 200
13737 휴게음식점 등“유기농”허위표시 일제단속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14 146
13736 휴가철에도 경찰의 음주단속은 계속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14 21
13735 휴가철에 발열 등 의심증상이 있으면 즉시 검사받아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8.10 57
13734 휴가철, 전기차 충전 걱정없이 안심하고 운전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1 5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