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국세청(청장 김창기)2023.1.1.부터 시행하는 2023년 오피스텔 및 상업용 건물에 대한 기준시가 고시하기 전에

11.18.()부터 12.8.()까지 기준시가()을 공개하여 가격 열람소유자이해관계인 의견을 듣고자 하며, 해당 의견 검토 후 평가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12.30.() 최종 고시예정입니다.

이번 고시 대상은 <전국 오피스텔> <수도권(서울·인천·경기), 5대 광역시(대전·광주·대구·부산·울산), 세종특별자치시에 소재하는 일정 규모(3,000또는 100) 이상의 구분 소유된 상업용 건물>이며

오피스텔 고시 대상 지역은 기존 수도권, 5대 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전국으로 확대되었습니다.


                                                     < 2023년 기준시가() 고시 대상 >

                                                                                                                                                                     (, )

구 분

오피스텔

상업용 건물

복합용 건물*

동수

호수

동수

호수

동수

호수

동수

호수

합계

오피스텔

상업용건물

총계

31,764

2,162,068

12,018

353,492

11,583

874,227

8,163

934,349

800,915

133,434

수도권

20,651

1,641,067

5,743

156,036

8,899

717,939

6,009

767,092

654,495

112,597

광역시 및 세종

8,675

384,291

3,837

60,746

2,684

156,288

2,154

167,257

146,420

20,837

그 외 지역

2,438

136,710

2,438

136,710

-

-

-

-

-

-

 

* 복합용 건물: 1동의 건축물 내 오피스텔과 상업용 건물이 모두 있는 건축물

 

2023년 시행 기준시가 고시() 개요


국세청장은 매년 1회 이상 오피스텔 및 상업용 건물(이에 딸린 토지 포함)의 토지와 건물 가액을 일괄하여 호별 당 기준시가를 산정·고시하고 있으며

이번 고시 대상은 2022.9.1.기준으로 조사한 <전국 오피스텔> <수도권, 5대 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에 소재하는 일정 규모(3,000또는 100) 이상의 구분 소유된 상업용 건물>입니다.

기준시가상속증여세 양도소득세를 과세할 때 시가를 알 수 없는 경우 활용되며, 취득세재산세 등 지방세 종합부동산세와 건강보험료 등 사회보험료 부과에는 활용되지 않습니다.

가격 열람 및 의견 제출 방법


가격 열람 방법

국세청 누리집(www.nts.go.kr) 초기화면(우측) 알림판 2023년 오피스텔 및 상업용 건물 기준시가 고시 전 가격 열람 및 의견제출배너에 접속하거나

국세청 홈택스(www.hometax.go.kr) 기준시가 조회화면* 하단2023년 오피스텔 및 상업용 건물 기준시가 고시 전 가격 열람 및 의견제출배너에 접속하여

* (접근경로) 홈택스 조회/발급 기타 조회 > 기준시가 조회 상업용 건물/오피스텔

-열람하고자 하는 건물의 소재지 입력하면 해당 동호의 기준시가()열람할 수 있습니다.


의견 제출 방법

고시될 기준시가이의가 있으면 기준시가 고시 전 가격열람 및 의견 제출조회화면에서 온라인으로 제출하거나,

-같은 화면에서 의견 제출서서식내려 받아 관할 세무서에 우편 또는 직접 방문하여 제출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의견 제출은 11.18.()부터 12.8.()까지 가능하며 제출한 의견은 별도심의를 거쳐 12.30.()까지 개별 통지할 예정입니다.

기준시가 가격 열람 및 의견 제출 등의 편의 제공을 위하여 안내전화(1644-2828)12.8.()까지 운영합니다.



[ 국세청 2022-11-1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10 차량충돌제어 등 21개 신기술 선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1 76
1909 차례 상 생선, 쉽게 구별할 수 있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18 13
1908 차로이탈경고장치 등 첨단안전장치 비용 80% 지원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07 28
1907 차로이탈경고장치 등 첨단안전장치 비용 80%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07 34
1906 차로이탈경고장치 보조금 위·수탁 차주 직접 신청하고 받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12 27
1905 차로이탈경고장치 의무 장착 · 보조금 지원 대상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02 23
1904 차로이탈경고장치 창작 대상 ‘길이 9m 이상’으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18 41
1903 차명거래 시 무조건 계좌주에 세금부과는 부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31 79
1902 차세대 ‘어디가’ 개통, 대입정보 검색부터 상담까지 한 번에 이용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05 13
1901 차세대 사건 처리 및 분쟁조정 통합시스템 오픈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02 35
1900 차세대 사회보장정보시스템 1차 개통 (9.6. 오전 9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06 26
1899 차세대 사회보장정보시스템 개통(2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05 6
1898 차세대 전자여권 올해 12.21.(화)부터 전면 발급 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11 12
1897 차세대 전자여권에 출생지 표기 가능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16 10
1896 차아염소산수 살균·소독제 일부 제품, 기준·규격에 부적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24 14
Board Pagination Prev 1 ... 789 790 791 792 793 794 795 796 797 798 ... 921 Next
/ 9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