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스마트기기 이용자가 증가하면서 국내 모바일 게임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으나, 게임사업자들의 이용자 권익 보호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자들이 모바일 게임 서비스 종료 사실을 적극적으로 고지하지 않거나, 무제한 아이템 환불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하지 않아 소비자 불만의 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 매출액 : ’20128,009억 원 ’201323,277억 원 ’201429,136억 원 ’201535,916억 원(E)

(한국콘텐츠진흥원, 2015 대한민국 게임백서 총론)

게임서비스 종료 정보, 모바일 게임 이용자 3명 중 1명은 알지 못해1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 모바일 게임 서비스 이용자 300*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서비스 종료 실을 사전에 잘 몰랐다는 응답이 34.3%(103)에 달했다. 또한 일부 모바일 게임사들은 이용약관에 서비스 종료 30일 전에만 홈페이지 등에 종료 사실을 게시하면 그 의무를 다한 것으로 규정하고 있어 종료 고지가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최근 1년 이내 무료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소비자 중 아이템 등을 유료로 구매하고 게임서비스 종료를 경험한 이용자(’15.12)

한편, 모바일 게임 서비스 종료 후 유료 아이템에 대해 환불을 요구한 이용자는 9.0%(27)에 불과했다. ‘환불을 요구하지 않은’ 91.0%(273)는 그 이유로 환불금액적어서’ 34.1%(93), ‘환불절차가 복잡해서’ 30.8%(84), ‘게임서비스 종료 사실을 몰라서’ 23.8%(65), ‘고객센터와 연락이 어려워서6.2%(17) 등을 꼽았다.

게임 서비스 종료 전 할인 이벤트 지양해야

모바일 게임 이용 중 할인 프로모션 등의 이벤트가 있은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서비스 료를 경험한 적이 있다는 응답이 38.3%(115)를 차지하였다. 이 중 이벤트 후 ‘10내에 서비스 종료 안내를 받은 이용자는 34.8%(40)였고, 이벤트 중 유료 이템을 매한 이용자도 58.3%(67)에 달했다. 이러한 할인이벤트에서 아이템을 유료로 구매한 경우 서비스 종료와 함께 이용이 불가능해져 결국 소비자피해로 이어진다.

무제한 아이템에 대한 상세 환불기준 필요

상당수 모바일 게임사들은 영구’, ‘무제한’, ‘기간에 정함이 없는아이템(이하 무제한 이템’)에 대해 게임서비스 종료일까지를 그 사용기간으로 정하고 있어, 무제한 아이템이라고 하더라도 서비스 종료가 예정되는 순간 사용기간이 있는 아이템으로 성격이 바뀌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무제한 아이템이라 하더라도 구입시점에 따라 그 사용기간이 천차만별이어서 소비자 불만의 한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올해 공정위 업무보고 핵심과제인 소비자가 신뢰하고 거래할 수 있는 시장기반 조성의 일환으로 모바일 게임 서비스의 일방적인 종료로 인해 소비자들이 피해를 입지 도록 ▲현재 사업자 홈페이지·공식카페·게임서비스 내에서만 고지되는 서비스 종료 사실을 스마트폰 푸시 알림·SMS·전자우편 등 보다 적극적인 방법으로 소비자에게 알리고 ▲무제한 아이템'은 최대 이용기간을 정해 이를 기준으로 환급기준 등 보상책을 마련하도록 업계에 촉구할 예정이다.

 

[한국소비자원 2016-04-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330 무더운 여름철 급증하는 ‘열사병 등 폭염관련 질환’ 주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2 69
6329 무더운 날씨에 온열질환자 6월부터 발생하여 8월초 피크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15 86
6328 무더운 날씨, 이물 발생에 주의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13 84
6327 무단점유·누락된 공유재산 철저히 찾아낸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07 99
6326 무단 증축 건축물 26년 지나서 한 행정처분은 잘못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21 88
6325 무너지는 새해 건강결심, 다시 한 번 시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18 31
6324 무급휴직 지원금 요건 완화(무급휴직 90일 → 30일) 등 근로자의 고용유지 지원을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22 51
6323 무공해차 이제 그린카드로 충전하고, 탄소중립 실천 혜택도 받아가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07 6
6322 무거운 가방 호텔에서 맡기고 출국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7 11
6321 무, 저해지보험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해 소비자 보호와 보험사 건전성 유지 측면에서 상품설계를 합리적으로 개선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08 5
6320 무(저)해지환급금 보험의 상품 구조를 개선하고, 보험약관 이해도 평가 대상에 상품설명서를 추가하였습니다. - 보험업감독규정 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18 8
6319 무(無)장애 공원, 장애인 편의성 제고 노력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24 87
6318 몽골 하늘길 활짝, 인천-울란바타르 독점노선 해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26 9
6317 못난이 농산물, 맛·식감 및 가격 만족도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10 30
6316 몸은 멀리 있어도 마음을 모아 추모의 뜻 전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18 9
Board Pagination Prev 1 ... 493 494 495 496 497 498 499 500 501 502 ... 919 Next
/ 9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