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손문기)는 ‘15년 식품 이물 신고건수가 총 6,017건으로 해마다 감소하는 추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 최근 5년간 이물 신고건수는 ‘11년 7,491건에서 ‘15년 6,017건으로 20% 감소하였으며, 식품 생산․수입량의 증가를 고려하면 이물 신고건수가 35%(’14년 기준) 이상 감소된 것으로 추정된다.
* 이물발견 신고건수(건) : ’11년 7,491→’12년 6,540→’13년 6,435→’14년 6,419→’15년 6,017
* 식품 생산·수입량 : ’11년 28백만톤 → ’14년 37백만톤 → ’15년 38백만톤(추정치)
○ 이는 식품업체 이물보고 의무화 제도 도입(‘10년) 이후, 정부의 적극적인 원인조사 및 업계의 이물혼입 재발방지를 위한 공정개선등의 노력으로 풀이된다.

□ 지난해 식품 이물을 ▲원인규명 ▲이물 종류 ▲식품유형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원인규명 결과 제조단계 혼입 481건(11.1%), 소비·유통단계 혼입 1,199건(27.7%), 오인신고 650건(15.0%), 판정불가 1,998건(46.2%)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물분실, 소비자 조사 거부 등 조사 자체가 불가한 경우(1,689건)도 있었다.
- 특히, 오인신고는 주로 소비자가 커피믹스에 원료 등이 뭉쳐 있는 것을 벌레로 신고하거나 야채호빵에 들어있는 건조야채를 노끈으로 신고하는 등 원재료를 이물로 오인․혼동하여 신고한 경우로 확인되었다.
○ 이물 종류별로는 벌레(2,251건, 37.4%) > 곰팡이(622건, 10.3%) > 금속(438건, 7.3%) > 플라스틱(285건, 4.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살아있는 벌레는 대부분 소비자가 식품을 보관‧취급하는 과정 중에 혼입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곰팡이는 유통 중 용기·포장 파손 또는 뚜껑 등에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 식품유형별로는 면류(823건, 13.7%) > 과자류(774건, 12.9%) > 커피(654건, 10.9%) > 빵·떡류(451건, 7.5%) > 음료류(354건, 5.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식품유형별로 가장 많이 발생한 이물은 면류, 과자류, 커피는 벌레였으며 음료류 및 빵‧떡류는 곰팡이였다.

□ 식약처는 앞으로 이물 혼입원인 판정기준을 보다 명확히 하고, 이물을 신고한 소비자에게 이물이 혼입된 원인을 소비․유통․제조단계별로 상세히 알릴 계획이다.
○ 또한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이물관리 네트워크‘ 운영을 활성화하여 이물혼입 방지를 위한 교육 실시와 업체의 이물 저감화 우수사례를 지속적으로 공유할 예정이다.
- 이를 위해 식품 이물별 특징과 이물 판별법 200건을 수록한 「식품 중 이물 판별 가이드라인」을 4월 중 개정・발간한다.
* 식약처 홈페이지(http://mfds.go.kr→법령・자료→법령정보→지침・가이드라인・해설서)에 게시

□ 식약처는 이물 원인조사를 원활히 하기 위해서 소비자가 이물을 발견하여 신고할 경우 신고 제품과 해당 이물을 반드시 조사 공무원에게 인계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또한 주로 비닐류로 포장되는 식품인 면류, 과자, 커피, 시리얼 등은 화랑곡나방(쌀벌레) 애벌레가 제품의 포장지를 뚫고 침입할 수 있으므로 밀폐용기에 보관하거나 냉장·냉동실 등 저온 보관해야 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6-04-0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25 물놀이 시 콘택트렌즈 가급적 자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30 81
1024 음식점을 운영하는 맥주 제조업체 지도 점검 실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30 65
1023 식약처, 여름철 식품안전 대책 발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30 67
1022 위해우려 화장품 신속한 회수·폐기 체계 마련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30 68
1021 두부, 어묵 및 식용유지 제조업체 위생점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30 86
1020 장기요양수급자, 우수 요양기관 선택 ‘더’ 쉬워진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30 77
1019 도로명주소로 주문하니 빠른 배송은 기본, 상품권은 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30 74
1018 경부고속도로 교통정체, 크게 개선된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30 67
1017 편의점 PB제품, NB제품에 비해 20% 이상 저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30 78
1016 통장기반 금융거래 관행 등 혁신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30 79
1015 공익신고 보상금 3억 5천여만 원··· 전년 대비 70.7% 증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30 75
1014 ‘환불 방해에 불만 감추기’, 화장품 쇼핑몰 제재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30 65
1013 무등록 주류제조업체가 생산한 주류 제품 회수 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9 75
1012 부적합 인체조직 폐기절차 마련 등 안전관리 강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9 73
1011 금속 이물 혼입 수입 건강기능식품 회수 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9 86
Board Pagination Prev 1 ... 853 854 855 856 857 858 859 860 861 862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