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박봉균)는 정부 3.0 “빅데이터를 활용한 과학적 행정구현”을 위하여, WTO/SPS 협정에 따라 새로운 검역병해충 제도를 도입한 1996년 이후 지난 20년간(1996년~2015년) 수입식물 검역과정에서 검출된 병해충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발표하였다.
지난 20년간 수입된 농림산물 46,937천건에 대한 검역을 실시한 결과, 우리나라의 농림산업과 자연환경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병해충 1,607종이 검출된 92,658건에 대해 소독, 폐기 또는 반송 조치하여 국내유입을 차단하였다.

병해충 검출건수는 수입건수 증가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였으나, 검출률은 1990년대(3.0%~10.6%)에 비해 2000년대 중반이후 0.4% 이하로 유지되어 수입식물의 식물위생상태가 전반적으로 좋아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입되는 식물의 유형에 따라 구분하여 살펴보면, 과실채소 등 비재식용(非栽植用) 식물의 병해충 검출률은 2008년 이후 감소추세이나, 묘목구근 등 재식용(栽植用) 식물의 검출률은 2011년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어 재식용 식물을 통한 해외병해충 유입위험도가 증가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묘목류의 검역조치가 필요한 병해충 검출률은 2012년 이후 점점 증가[4.6%('12)→10.8%('15)]하고 있으며, 이는 병해충 검출률이 높은 폴리시아스묘목, 행복나무묘목 등 동남아시아산 관엽식물의 수입건수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국가별 병해충 검출률은 말레이시아가 16.2%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필리핀(14.6%), 남아프리카공화국(6.8%), 인도네시아(4.0%) 순이었음
한편 병해충 검출건수는, 수입 건수가 많은 중국(검출건수 13,245건)과 필리핀(검출건수 27,586건)에서 수입되는 농림산물에서 병해충 검출건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음
농림축산검역본부 관계자는 “최근 농산물 수입증가 및 품목 다양화에 따라 병해충 검출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병해충 정착 위험이 높고, 검출률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재식용식물에 대한 사전 위험도 경감방안을 마련하는 등 해외병해충이 국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안전관리를 더욱 강화해나가는 한편, 유입시 조기탐지 및 확산 차단을 위한 국가단위 공동대응 등 생물안보체계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 2016-04-0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780 자유여행 액티비티 예약사이트 관련 소비자불만 급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27 22
5779 국내 판매 주류 20개 중 1개 제품만 영양성분 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27 9
5778 새 학기는 “시세 반값” 기숙사형 청년주택에서 시작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30 40
5777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결함시정(리콜) 실시[총 6개 차종 642,272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30 38
5776 ’19.12.30.부터 카드 자동납부 목록을 한 번에 조회하고, 상호금융조합 출자금,배당금을 계좌이체로 받을 수 있게 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30 18
5775 장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의결 (12.30)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30 30
5774 내년부터 주택 매매시 취득세 제도가 달라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30 14
5773 국립공원, 해맞이·해넘이 명소 10곳 선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30 15
5772 우리 집 실내 공기질 ‘매뉴얼 보고 직접 관리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30 9
5771 새해에도 포용적 주거금융 지원을 확대해 나가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30 8
5770 「2020년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 책자 발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30 35
5769 내년부터 달라지는 지방세 주요 개정내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30 18
5768 골칫거리 취급받던 작업복 세탁, 공동세탁소에서 해결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30 11
5767 자동차 교환·환불 중재, 인터넷으로 편리하게 신청하세요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02 13
5766 새해 주거급여, 더 많은 분들께 더 많은 혜택을 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02 10
Board Pagination Prev 1 ... 536 537 538 539 540 541 542 543 544 545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