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3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주요 내용 -


□ 올해 베트남,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뎅기열 환자 발생 급증

 ○ 국내 유입된 뎅기열 환자는 2022.10월까지 59명으로 전년(‘21년 3명) 대비 급증


□ 동남아 지역 방문 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입국 후 뎅기열 의심되면 의료기관에서 신속한 진단 및 치료 당부 



□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은 최근 베트남 등 방문 후 뎅기열에 감염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동남아시아 출국을 준비하는 국민들에게 뎅기열에 감염되지 않도록 예방주의를 당부하였다.


 ○ 뎅기열은 매년 전 세계적으로 100개 이상 국가에서 1억 명 이상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세계보건기구(WHO) 보고에 따르면 전 세계 뎅기열 발생이 국제교류 활성화 등으로 지난 20년 동안 8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특히 올해는 동남아를 중심으로 뎅기열이 급증하고 있으며, 주요 국가별로는 2022년 9월 기준 베트남 224,771명, 필리핀 160,956명, 태국 19,484명, 인도네시아 94,355명이 발생 보고되었다.[붙임2 참조] 


□ 국외 뎅기열 발생이 급증하는 상황과 더불어 최근 우리나라에서 해외방문이 활성화됨에 따라 위험 국가로부터 유입되는 뎅기열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 9월 기준 내국인 입국자수(법무부) : 2021년 795,175명 / 2022년 3,180,698명(300%증가)


 ○ 우리나라 뎅기열 환자는 매년 해외유입으로 지속 발생 중이며, 지난 2년간 해외방문 감소로 환자발생이 급감한 이후 올해 다시 증가 추세에 있다.


  - 10월 31일 기준 총 59명 환자가 해외유입으로 신고되었으며, 추정감염국가는 베트남 21명, 필리핀 6명, 태국 6명, 인도네시아 6명, 인도 5명, 싱가포르 4명 순으로 베트남에서 가장 많은 환자가 유입되었다. 


연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10.*

환자수()

252

165

255

313

171

159

273

43

3

59

* 2022.10.31.신고보고 기준(잠정통계) 


- 이 중 2명은 국립부산․김해공항검역소에서 수행 중인 「해외유입 모기매개감염병 조기발견 사업(7.20.~11.30.)」과 관련하여 입국자 중 유증상자 대상 스크리닝 검사를 통해 확인된 사례로 각각 베트남과 태국에서 유입되었다.



 ○ 최근 6년간(2017년~2022년 10월) 신고된 뎅기열 환자(708명) 중 동남아시아에서 감염된 사례(611명)가 전체의 86.3%를 차지하고 있어, 올해 뎅기열 유입국가 현황은 예년과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뎅기열 해외유입 국가(‘17-’22.10, 2인 이상 기준)



□ 뎅기열은 뎅기 바이러스에 감염된 숲모기에 물려 감염되고, 3~14일의 잠복기를 거쳐 갑작스런 고열, 두통, 발진, 근육통 등 증상이 나타나며, 환자 중 약 5%는 중증 뎅기 감염증(뎅기쇼크증후군, 뎅기출혈열)으로 사망할 수 있다.


 ○ 뎅기열은 현재 예방백신 및 치료제가 없으므로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 만약 뎅기열 위험국가에서 모기물림 후 2주 이내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의료진에게 최근 방문력을 알리고 신속한 진단 및 치료를 받아야 한다.


□ 이에 질병관리청은 베트남 등 뎅기열 위험지역의 방문을 계획하고 있는 국민들에게 다음과 같은 예방수칙을 숙지해 줄 것을 각별히 당부하였다.



< 뎅기열 예방수칙 >


 ①  방문 전 

  - 방문지역별 주의해야 할 감염병 정보 확인하기

     * 질병관리청 누리집(kdca.go.kr)→감염병→해외감염정보→국가별감염병예방정보

  - 모기 예방법을 숙지하고 모기기피 용품* 및 상비약 준비하기

     * 모기 기피제, 모기장, 모기향, 밝은색 긴팔 상의 및 긴 바지 등


 ②  방문 중 

  - 모기가 많이 있는 ‘풀 숲’ 및 ‘산 속’ 등은 가급적 피하기

  - 외출 시 긴 팔 상의와 긴 바지를 착용하고, 모기 기피제 사용하기

  - 모기는 어두운 색에 유인되므로, 활동 시 밝은 색 옷 착용하기

  - 방충망 또는 모기장이 있고 냉방이 잘 되는 숙소에서 생활하기


 ③  방문 후

  - 귀국 후 2주 이내 의심증상(발열, 두통, 근육통, 관절통, 발진 등)이 발생하면 가까운 의료기관 방문하기

  - 의료기관 방문 시 의료진에게 최근 해외 방문력을 알려주기

  - 헌혈 보류기간(4주) 동안 헌혈을 금지하기 



[ 질병관리청 2022-11-0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373 국내외 유명 투자전문가를 사칭하는 채팅App(오픈채팅방)의 해외주식 매수추천에 유의해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 2024.06.18
4372 더위 시작, 올여름 에어컨과 선풍기 안전 사용으로 화재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 2024.06.17
4371 알레르기 유발물질 미표시한 “곡류가공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4.06.14
4370 피해다발업체 - 위잇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4.06.14
4369 프탈레이트를 과다 함유한 무선 스피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 2024.06.12
4368 표시 미흡으로 제품을 삼킬 위험이 있는 에센셜 오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4.06.12
4367 케이블이 파손되어 낙상할 위험이 있는 짚라인 키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4.06.12
4366 전기 감전 위험이 있는 YAMAHA 어댑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 2024.06.12
4365 자전거 운행 중 낙상 위험이 있는 Delta 스템 라이저(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 2024.06.12
4364 알레르기 유발물질이 미표시된 Mt. Elephant 팬케이크 믹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4.06.12
4363 부품을 삼킬 시 질식 위험이 있는 유모차용 모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 2024.06.11
4362 부착 성능이 미흡한 스포츠용 신체 보호대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 2024.06.11
4361 부속품을 삼킬 시 질식 및 사망 위험이 있는 쌓기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 2024.06.11
4360 보존료를 함유한 파인애플 젤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 2024.06.11
4359 해외구매대행 프로폴리스 구입 시 소비자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4 2024.06.11
4358 이른 더위 이어져, 열사병, 열탈진 등 온열질환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4.06.11
4357 보존료를 함유한 그라비올라 젤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4.06.10
4356 발화 위험이 있는 Paock 휴대용 축전기 큐브(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6.10
4355 발화 위험이 있는 Paock 휴대용 축전기 큐브(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6.10
4354 리튬이온배터리 과열로 화재 발생 위험있는 유아용 스피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6.1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