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주요 내용 -

 

쯔쯔가무시증 환자의 약 70% 이상이 10~11월에 집중 발생 

   * 202241(43) 대비 42(117)에 환자 약 3배 증가

 야외활동 시 진드기 물림 주의 및 예방수칙을 준수하기

 야외활동 후 1~3주 이내 발열, 발진 등 증상이 나타나면, 의료기관 방문 및 치료받기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은 본격적인 단풍철이 다가옴에 따라 야외활동 시 쯔쯔가무시증 예방수칙의 준수를 당부하였다.

 

 쯔쯔가무시증은 진드기 매개 감염병 중 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제3급 법정감염병으로,

 

  - 털진드기 유충에 물리면 1~3(잠복기) 이내 고열, 오한, 근육통, 발진 등의 증상과 물린 부위에 가피(검은딱지)가 생기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쯔쯔가무시증 매개 털진드기의 유충이 왕성히 활동하는 시기인 9월부터 11월까지 개체 수가 증가하고, 쯔쯔가무시증 환자도 약 70% 이상이 10월과 11월에 집중 발생한다.

 

 

올해는 쯔쯔가무시증 환자가 42주차(10.9~10.15)에 전 주 대비 172% 증가*하기 시작하여, 11월까지 환자가 집중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더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붙임 1 참고).

    * 20224143202242117(172.1% 증가)

 

<그림연도별, 월별 쯔쯔가무시증 환자 발생현황(20172021)

 

 

아울러 쯔쯔가무시증은 감염 초기에 적절한 항생제 치료 시 완치가 가능하여, 무엇보다 신속한 진단과 조기 치료가 중요하므로,

 

 야외활동 후 1~3주 이내 발열, 발진, 오한 등 증상이 나타나면,

 

  -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의료진에게 진드기 물림이나 야외활동력을 알리고, 필요시 적시에 치료받아야 한다.

 

 

질병관리청 백경란 청장은 가을철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쯔쯔가무시증의 관리를 위해 환자 발생 감시, 역학조사 및 매개체 감시를 수행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쯔쯔가무시증에 감염되지 않기 위해서는 진드기 물림 주의 및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고,” 

 

  - “코로나19 및 감기 초기증상과 증상이 유사하므로, 아프면 빨리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적기에 진료받을 수 있도록 국민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하였다


<쯔쯔가무시증 예방수칙>


○ 농작업 또는 야외활동 전

 - 작업복과 일상복 구분하여 입기

 - 진드기에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복장* 갖춰입기

    * 밝은 색 긴소매 옷, 모자, 목수건, 양말, 장갑 등

 - 농작업 시에는 소매를 단단히 여미고 바지는 양말 안으로 집어넣기 

 - 진드기 기피제 사용하기


○ 농작업 또는 야외활동 중

 - 풀밭에 앉을 때 돗자리 사용하기

 - 풀숲에 옷 벗어놓지 않기, 풀밭에서 용변 보지 않기

 - 등산로를 벗어난 산길 다니지 않기

 - 기피제의 효능 지속시간을 고려하여 주기적으로 사용하기


○ 농작업 또는 야외활동 후

 - 귀가 즉시 옷은 털어 세탁하기 

 - 샤워하면서 몸에 벌레 물린 상처(검은 딱지 등) 또는 진드기가 붙어있는지 확인하기

 - 의심 증상 발생 즉시 보건소 또는 의료기관 방문하여 진료받기




[ 보건복지부 2022-10-2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211 SLV 스탠드조명, 감전 위험으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19.02.07
3210 Soom 타히니 소스, 살모넬라균 오염 위험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7 2019.02.07
3209 Sprayology 천연치료제, 미생물 감염 위험으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2 2019.02.07
3208 World Famous Tattoo Ink 문신잉크, 발암 물질 허용기준 초과 검출되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1 2019.02.07
3207 건강기능식품 명현반응이라는 말에 속지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19.02.11
3206 갑작스런 한파, 노년층 한랭질환 특히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6 2019.02.11
3205 가정 내 운동기구로 인한 어린이 안전사고 다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5 2019.02.11
3204 전동형 개인 이동수단, 안전관리 강화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7 2019.02.14
3203 씰리침대 라돈 검출 관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4 2019.02.14
3202 금속 이물 혼입 수입 과자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19.02.14
3201 일부 스퀴시 완구 제품에서 유해 휘발성유기화합물 방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2 2019.02.21
3200 잔류농약 기준 초과 수입 마늘쫑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19.02.22
3199 궁금한 독성정보, 톡스인포에서 찾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9 2019.02.22
3198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 안전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0 2019.02.25
3197 씻은 채소는 반드시 냉장보관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8 2019.02.26
3196 바디미스트 제품, 알레르기 유발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19.02.26
3195 시중 유통 가공식품 중 착색료 사용 안전한 수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9.02.27
3194 국표원, 어린이가방·학용품 등 51개 제품 리콜명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2 2019.02.27
3193 신학기 학교생활 시작, 인플루엔자·홍역·수두 등 감염병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19.02.27
3192 이동통신서비스 관련 고령소비자 피해 지속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0 2019.02.27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