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손문기)는 ‘15년 식품 이물 신고건수가 총 6,017건으로 해마다 감소하는 추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 최근 5년간 이물 신고건수는 ‘11년 7,491건에서 ‘15년 6,017건으로 20% 감소하였으며, 식품 생산․수입량의 증가를 고려하면 이물 신고건수가 35%(’14년 기준) 이상 감소된 것으로 추정된다.
* 이물발견 신고건수(건) : ’11년 7,491→’12년 6,540→’13년 6,435→’14년 6,419→’15년 6,017
* 식품 생산·수입량 : ’11년 28백만톤 → ’14년 37백만톤 → ’15년 38백만톤(추정치)
○ 이는 식품업체 이물보고 의무화 제도 도입(‘10년) 이후, 정부의 적극적인 원인조사 및 업계의 이물혼입 재발방지를 위한 공정개선등의 노력으로 풀이된다.

□ 지난해 식품 이물을 ▲원인규명 ▲이물 종류 ▲식품유형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원인규명 결과 제조단계 혼입 481건(11.1%), 소비·유통단계 혼입 1,199건(27.7%), 오인신고 650건(15.0%), 판정불가 1,998건(46.2%)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물분실, 소비자 조사 거부 등 조사 자체가 불가한 경우(1,689건)도 있었다.
- 특히, 오인신고는 주로 소비자가 커피믹스에 원료 등이 뭉쳐 있는 것을 벌레로 신고하거나 야채호빵에 들어있는 건조야채를 노끈으로 신고하는 등 원재료를 이물로 오인․혼동하여 신고한 경우로 확인되었다.
○ 이물 종류별로는 벌레(2,251건, 37.4%) > 곰팡이(622건, 10.3%) > 금속(438건, 7.3%) > 플라스틱(285건, 4.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살아있는 벌레는 대부분 소비자가 식품을 보관‧취급하는 과정 중에 혼입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곰팡이는 유통 중 용기·포장 파손 또는 뚜껑 등에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 식품유형별로는 면류(823건, 13.7%) > 과자류(774건, 12.9%) > 커피(654건, 10.9%) > 빵·떡류(451건, 7.5%) > 음료류(354건, 5.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식품유형별로 가장 많이 발생한 이물은 면류, 과자류, 커피는 벌레였으며 음료류 및 빵‧떡류는 곰팡이였다.

□ 식약처는 앞으로 이물 혼입원인 판정기준을 보다 명확히 하고, 이물을 신고한 소비자에게 이물이 혼입된 원인을 소비․유통․제조단계별로 상세히 알릴 계획이다.
○ 또한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이물관리 네트워크‘ 운영을 활성화하여 이물혼입 방지를 위한 교육 실시와 업체의 이물 저감화 우수사례를 지속적으로 공유할 예정이다.
- 이를 위해 식품 이물별 특징과 이물 판별법 200건을 수록한 「식품 중 이물 판별 가이드라인」을 4월 중 개정・발간한다.
* 식약처 홈페이지(http://mfds.go.kr→법령・자료→법령정보→지침・가이드라인・해설서)에 게시

□ 식약처는 이물 원인조사를 원활히 하기 위해서 소비자가 이물을 발견하여 신고할 경우 신고 제품과 해당 이물을 반드시 조사 공무원에게 인계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또한 주로 비닐류로 포장되는 식품인 면류, 과자, 커피, 시리얼 등은 화랑곡나방(쌀벌레) 애벌레가 제품의 포장지를 뚫고 침입할 수 있으므로 밀폐용기에 보관하거나 냉장·냉동실 등 저온 보관해야 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6-04-0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600 경찰청, 「전세사기 전국 특별단속」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6 22
11599 민생안정을 위한 청소년 생활 지원금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2 20
11598 식용얼음 등 여름철 다소비 식품 수거.검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2 46
11597 휴가철, 전기차 충전 걱정없이 안심하고 운전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1 70
11596 택시 플랫폼, 택시 호출 취소 수수료 고지 미흡해 개선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1 26
11595 식약처, 의약품 불법 구매자 처벌제도 본격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1 20
11594 코로나19 재유행 대비 방역·의료 대응 추가대책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1 19
11593 26일부터 제주공항 도착승객 “빈손여행”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1 16
11592 현대·비엠더블유 제작결함에 대한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1 7
11591 2021년 다단계판매업자 주요정보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1 9
11590 7월 22일부터 8월 10일까지 하계 휴가철 특별교통대책 시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0 22
11589 21일부터 색약·색맹 등 색각이상자용 지도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0 12
11588 모바일 알뜰교통카드 전국 어디서나 마일리지 적립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0 21
11587 생활 어려운 국가·독립유공자, 기초연금 받을 가능성 커져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19 32
11586 장애인등편의법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19 15
Board Pagination Prev 1 ...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