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앙골라 여행 시 황열 감염 주의

  • ☞ 앙골라 등 황열 발생국 여행 시 출국 10일전에 반드시 황열 예방접종 필수
  • ☞ 여행 중 모기기피제, 긴 옷으로 모기 회피
  • ☞ 귀국 후 6일 이내 의심증상 발생시, 의료기관 진료 받고 여행력 알릴 것
  • ☞ 황열 예방접종 후 14일간 헌혈 금지, 귀국후 1달간 헌혈 금지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기석)는 최근 앙골라에서 황열(Yellow Fever)이 유행하고 있어, 앙골라 방문 시 감염에 주의할 것을 당부하였다.

앙골라에서는 올해 3월 28일 기준으로 수도 루안다를 포함하여 12개주에서 확진환자 375명(사망 168)이 발생한 상황으로,

올해 1월 이후 환자발생이 증가하면서 유행이 지속되고 있고, 특히 수도 루안다에서 다수의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확진 281명, 사망 129명).

황열은 황열 바이러스를 보유한 모기에 물려 감염되는 질환으로 발열, 두통 등 가벼운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10-20%는 중증으로 진행하여 사망할 수 있는 질환이므로 방문 시 주의가 필요하다,

* 수혈 등 혈액을 통한 전파는 가능하나, 일상적인 접촉으로 사람간 전염은 안됨

* 우리나라는 현재까지 유입 사례 없음

황열은 예방접종을 통해 예방이 가능하고, 다수의 아프리카 황열 발생국들은 예방접종증명서가 없으면 입국이 불가능하므로,

반드시 출국 전에는 황열 유행지역을 확인하고, 출국하기 10일전에는 예방접종을 받고,

<황열 예방접종>

  • (시행기관) 검역소, 국립중앙의료원, 국제공인예방접종지정기관 20개소

    * 지정기관 : 해외여행질병정보센터홈페이지(http://travelinfo.cdc.go.kr) 참조

  • (접종시기) 항체가 생기는데 최소 10일이 필요하므로, 출국하기 10일전에 접종
  • (주의사항) 접종 후 2주 동안 헌혈을 하지 말아야 함

현지에서는 긴 옷을 입고 모기기피제를 사용하며, 방충망이 있는 숙소를 이용하는 등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하며

귀국 시 의심증상이 있으면 반드시 검역관에게 알리고, 귀국 후 6일 이내에 의심증상이 생기면 의료기관 진료를 받으며, 해외여행력을 알려줄 것과 1달간 헌혈을 금지할 것을 권고하였다.

또한 의료진들은 발열 환자 진료시 해외여행력 문진 등을 통한 황열, 지카바이러스, 뎅기열, 메르스 등 해외 감염병 발생 가능성을 확인해줄 것을 재차 당부하였다.

※ 최근 중국 여행객이 앙골라에 예방접종 없이 입국하려다 공항에서 접종(3.7) 후 항체형성(10일 소요)이 안된 상태에서 황열 증상이 발현(3.11) 되어 귀국(3.12) 후 황열로 진단된 사례 있음

* ‘16년 중국 황열 해외유입사례 6건 모두 앙골라 여행력 있음

<붙임>

  1. 황열 질병 개요
  2. 2016년 국내외 황열 발생현황
  3. 황열 예방접종 안내
  4. 행동수칙
  5. 황열 Q&A

[보건복지부 2016-03-3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83 [금융꿀팁] (146) 신입사원의 금융상품 현명하게 가입하기(시리즈 제2편 예적금)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0 24
4882 시각장애인 혼자서도 금융상품 가입 가능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19 24
4881 ‘전세사기 피해자 서울보증(SGI) 대환대출’조기 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30 24
4880 호우와 태풍 풍수해보험으로 미리 대비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22 24
4879 잔류농약 기준 초과 검출된 수입 ‘아보카도’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1 24
4878 고용.산재보험 보수총액신고 3월 15일까지, 건설업 등 자진신고 사업장 3월 31일까지 보험료 신고.납부해야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6 24
4877 진로탐색.경력개발부터 취업까지 한 번에 해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2 24
4876 일회용기의 미세플라스틱, 다회용기보다 최대 4.5배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8 24
4875 학대 피해장애인 인도기관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8 24
4874 취업준비생들의 관심이 쏠리는 자격 등급별 TOP5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7 24
4873 보건복지부,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 행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1 24
4872 2023년도 가구당 슬레이트 지붕 철거비 지원규모 2배로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7 24
4871 공공분양주택 뉴:홈 사전청약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1 24
4870 청년 구직활동 돕는 법령 일괄 정비안, 12.19일부터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19 24
4869 미등록 전자지급결제대행 관련 불법행위 엄단 및 소상공인 유의사항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02 24
Board Pagination Prev 1 ... 595 596 597 598 599 600 601 602 603 604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