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앙골라 여행 시 황열 감염 주의

  • ☞ 앙골라 등 황열 발생국 여행 시 출국 10일전에 반드시 황열 예방접종 필수
  • ☞ 여행 중 모기기피제, 긴 옷으로 모기 회피
  • ☞ 귀국 후 6일 이내 의심증상 발생시, 의료기관 진료 받고 여행력 알릴 것
  • ☞ 황열 예방접종 후 14일간 헌혈 금지, 귀국후 1달간 헌혈 금지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기석)는 최근 앙골라에서 황열(Yellow Fever)이 유행하고 있어, 앙골라 방문 시 감염에 주의할 것을 당부하였다.

앙골라에서는 올해 3월 28일 기준으로 수도 루안다를 포함하여 12개주에서 확진환자 375명(사망 168)이 발생한 상황으로,

올해 1월 이후 환자발생이 증가하면서 유행이 지속되고 있고, 특히 수도 루안다에서 다수의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확진 281명, 사망 129명).

황열은 황열 바이러스를 보유한 모기에 물려 감염되는 질환으로 발열, 두통 등 가벼운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10-20%는 중증으로 진행하여 사망할 수 있는 질환이므로 방문 시 주의가 필요하다,

* 수혈 등 혈액을 통한 전파는 가능하나, 일상적인 접촉으로 사람간 전염은 안됨

* 우리나라는 현재까지 유입 사례 없음

황열은 예방접종을 통해 예방이 가능하고, 다수의 아프리카 황열 발생국들은 예방접종증명서가 없으면 입국이 불가능하므로,

반드시 출국 전에는 황열 유행지역을 확인하고, 출국하기 10일전에는 예방접종을 받고,

<황열 예방접종>

  • (시행기관) 검역소, 국립중앙의료원, 국제공인예방접종지정기관 20개소

    * 지정기관 : 해외여행질병정보센터홈페이지(http://travelinfo.cdc.go.kr) 참조

  • (접종시기) 항체가 생기는데 최소 10일이 필요하므로, 출국하기 10일전에 접종
  • (주의사항) 접종 후 2주 동안 헌혈을 하지 말아야 함

현지에서는 긴 옷을 입고 모기기피제를 사용하며, 방충망이 있는 숙소를 이용하는 등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하며

귀국 시 의심증상이 있으면 반드시 검역관에게 알리고, 귀국 후 6일 이내에 의심증상이 생기면 의료기관 진료를 받으며, 해외여행력을 알려줄 것과 1달간 헌혈을 금지할 것을 권고하였다.

또한 의료진들은 발열 환자 진료시 해외여행력 문진 등을 통한 황열, 지카바이러스, 뎅기열, 메르스 등 해외 감염병 발생 가능성을 확인해줄 것을 재차 당부하였다.

※ 최근 중국 여행객이 앙골라에 예방접종 없이 입국하려다 공항에서 접종(3.7) 후 항체형성(10일 소요)이 안된 상태에서 황열 증상이 발현(3.11) 되어 귀국(3.12) 후 황열로 진단된 사례 있음

* ‘16년 중국 황열 해외유입사례 6건 모두 앙골라 여행력 있음

<붙임>

  1. 황열 질병 개요
  2. 2016년 국내외 황열 발생현황
  3. 황열 예방접종 안내
  4. 행동수칙
  5. 황열 Q&A

[보건복지부 2016-03-3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99 유통기한 변조 조미김 제품 회수 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26 313
2398 0~2세반 대상 맞춤형 보육, 7월 1일부터 시행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26 170
2397 사회복지사 자격정지.취소 등 사회복지사업법 시행령시행규칙 개정안 입법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26 199
2396 퇴장방지의약품 최저 가격 보장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26 180
2395 다카타社 에어백 리콜 독려와 아우디, 폭스바겐 총 2,617대(3개 차종) 리콜 실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26 126
2394 금감원-대부금융협회, 무등록 대부업체 발 못 붙이게 대출중개사이트 개선키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26 194
2393 2016년 3월 소비자상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25 142
2392 가정의 달 대비 어린이 기호식품 합동 점검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25 180
2391 국민연금의 장애급여 혜택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25 368
2390 딱딱 소리나는「턱관절장애」20대 여성 환자수 많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25 171
2389 말라리아 위험지역 여행 시, 감염 주의 당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25 131
2388 이제 인터넷「복지로」를 통해 복지급여 계좌변경 등, 복지서비스 민원도 신청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25 140
2387 식약처, 인체조직 폐기절차 간소화 등 안전관리 체계 합리적 개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22 175
2386 식약처, 의료용 빅데이터와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적용 의료기기 허가심사 기본방안 마련 예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22 628
2385 식품 관련 법령 이렇게 달라집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22 137
Board Pagination Prev 1 ... 761 762 763 764 765 766 767 768 769 770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