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야외 활동이 많은 가을철(9~11)을 맞아 기온이 올라가는 낮에는 식중독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 있어 조리식품 보관개인위생 관리에 주의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최근 5년간(’17~’21) 평균 식중독 발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일교차가 큰 가을철 발생한 식중독 환자1,836명으로 고온다습한 여름철(6~8) 다음으로 식중독 환자가 많이 발생했습니다.

- 특히 살모넬라균*에 의한 식중독이나 겨울에 비해 가을철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살모넬라균 : , 오리 등 가금류와 돼지 등 동물의 장내나 자연에 널리 퍼져있는 식중독균

가을철 아침과 저녁은 쌀쌀하지만 낮에는 식중독균증식할 정도로 기온이 높아 음식상온에서 장시간 보관하는 등 식품 보관에 부주의하거나 개인위생소홀히 하면 식중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식품이 살모넬라 등 식중독균에 오염되어도 냄새나 맛의 변화가 없는 경우가 많아 육안으로는 오염 여부를 판별할 수 없으므로 식중독 예방 6대 수칙에 따른 사전 위생관리 식중독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손 씻기) 식중독 예방의 가장 기본원칙은 개인위생 관리 손 씻기 실천가장 중요합니다.

- 음식을 조리하기 전, 화장실 사용 후, 달걀육류 등을 만진 다음에는 비누 등 손 세정제를 이용해 손 씻기 요령*에 따라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깨끗하게 씻어야 합니다.

* 손씻기 요령 : 거품내기 깍지끼고 비비기 손바닥, 손등 문지르기 손가락 돌려닦기 손톱으로 문지르기 흐르는 물로 헹구기 물기닦기

- 특히 야외 활동 시 손 씻기를 위한 물과 비누 사용이 어려운 경우에는 식약처에서 의약외품으로 허가받은 손소독제사용하여 청결하게 관리합니다.

- 참고로 1015일은 세계 손 씻기의 날로 식중독 예방을 위한 올바른 손 씻기의 생활화가 필요합니다.

(익혀먹기끓여먹기) 육류, 가금류, 달걀 등은 내부까지 충분히 가열조리(중심온도 75, 1분 이상)한 후 섭취합니다.

- 가을철 식중독의 주요 원인 살모넬라균은 자연계에 널리 퍼져있어 식재료에서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어려우나 열에는 약해 가열·조리로 충분히 예방할 수 있습니다.

- 또한 식수생수 또는 끓인 물을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세척소독) 식재료는 흐르는 물로 깨끗이 세척하고 육류, 가금류 등을 세척한 물이 다른 식재료에 튀지 않도록 주의하며, 동일한 싱크대 사용 시 채소, 육류, 어류, 가금류 순으로 세척하고 사용한 싱크대는 세제로 세척 후 소독제로 소독해야 합니다.

(구분사용) 도마는 채소용, 육류용, 어류용 등 식재료별구분해 사용하고, 달걀육류 등 냉장고 보관할 때는 조리없이 그대로 섭취하는 채소 등직접 닿지 않도록 주의하여 교차오염방지하도록 합니다.

(보관온도 등) 육류, 달걀 등을 구입할 때는 장보기 마지막구입하고, 조리하기 전까지 냉장고 보관합니다. 특히 달걀과 알가공품 등은 살모넬라 오염 우려가 상대적으로 높아 취급보관에 많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 달걀구입할 때는 껍질균열없고 가능하면 냉장고보관된 것을 구입합니다.

- 김밥 재료를 준비할 때는 달걀지단, 햄 등 가열조리가 끝난 식재료와 단무지, 맛살 등 조리 없이 그대로 섭취하는 식재료맨손으로 만지지 않아야 하고, 모든 재료를 충분히 익히고 식힌 후 용기에 담아야 합니다.

- 햇볕이 드는 차량 내부, 트렁크 등 비교적 온도가 높은 곳에서 김밥 등 조리식품을 2시간 이상 방치하면 식중독균 증식 위험 있으므로, 야외 활동을 할 때는 아이스박스 등을 이용해 10이하로 보관운반합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국민의 안전한 식생활을 위해 계절별 주요 식중독정보제공하고 식중독 예방실천 방법을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등 식중독 예방을 위한 사전 안전관리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2-10-1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829 (주)쿠첸 프리미엄 Auto 분유포트 무상조치 실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0 2019.04.11
3828 요가매트 일부 제품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등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9 2017.08.29
3827 에어바운스 사용 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8 2019.08.13
3826 Hill's Pet Nutrition 개사료, 개 기능 장애 유발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8 2019.04.11
3825 취미·레저용 드론, 안전기준 마련 시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7 2017.08.01
3824 식품에 소비자 안전을 위한 주의사항 표시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6 2017.09.29
3823 2017년 2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46 2017.04.03
3822 옥상 외식시설(루프탑), 난간 낮아 안전사고 위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5 2017.11.30
3821 Muscle Moose 에너지드링크(Moose Juice), 비타민 B6 상한섭취량 초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4 2017.10.31
3820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10.21.∼2016.10.27.)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44 2016.10.31
3819 기아자동차(주) 쏘렌토 차량 인터쿨러 누유 관련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1 2019.07.22
3818 이른 더위에도 식중독 없이 안전하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1 2017.05.23
3817 방문판매 교육서비스, 위약금 과다 등 계약해지 관련 피해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0 2017.08.28
3816 다운이불, 표시부적합에 따른 환급·교환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39 2017.01.17
3815 Gia Russa 옷 조임끈이 틈에 끼어 목졸림 위험 있어 Nununu 아동용 상의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8 2020.02.14
3814 Super Jumper 트램펄린, 낙상 위험이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8 2019.09.23
3813 블루보틀(Blue bottle) 커피원두, 캔 뚜껑 개봉 시 다칠 우려가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8 2019.09.23
3812 슬라임 부재료 파츠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기준초과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8 2019.07.23
3811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7.1.20.∼2017.2.2.)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38 2017.02.06
3810 유해물질 검출된 '갤럭시 프로 다크브라운' 문신용 염료 회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38 2016.10.21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