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경찰, 112신고 출동 체계 개선,

선택과 집중으로 긴급 사건에 총력대응

- 비긴급 신고는 긴급 신고 처리 후 출동,

상담·민원성 신고는 출동하지 않고 해당 기관 등 인계 -

경찰청에서는 지난 3월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112신고 출동 정책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였다.

먼저 경찰이 112신고 경중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하고 출동하는 정책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81.8%가 찬성한다고 답하였다.

한편, 112신고 경험이 있는 국민들은 112신고 현장 조치와 관련하여 가장 큰 불만 사항으로 현장 지연 도착을 꼽았다.

긴급 신고에 대한 신속한 출동 시간 기준에 대해서는 ‘5분 이내라고 응답한 국민이 56.6%로 과반수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는 ‘10분 이내’(20.4%), ‘3분 이내’(15.2%), ‘7분 이내(4.6%) 순이였다.

반면, 국민 4명 중 1(24.9%)생활 불편을 해결하기 위해 112로 신고해야 된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국민 5명 중 1(20.1%)경찰 관련 민원·상담이 필요한 경우에도 112를 이용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경찰은 개선된 112신고 대응 체계가 정착하기 위해서는 성숙한 신고 문화 확산과 함께 국민 협조가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특히, “112신고를 하였지만 비긴급 신고로 분류되어 경찰 출동이 다소 지연되더라도 이는 긴급 신고를 우선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부득이한 조치임을 양해바란다고 당부했다.

경찰청은 112신고 개선 체계가 성공적으로 정착하고, 상담·민원성 신고로 인한 경찰력 낭비를 막기 위한 홍보활동을 병행할 방침이다.

특히, 110(국민권익위원회 운영), 120(지자체 운영), 182(경찰청 운영) 등 민원·상담 신고창구를 널리 알려 생활불편 신고나 경찰 관련 민원 신고가 112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경찰청 관계자는 경찰과 관련이 없는 생활민원 사항은 110번이나 120, 경찰 관련 민원사항은 182번에 전화할 것을 강조하면서 출동 사건이 줄고 비긴급 신고에 대한 출동 부담이 덜어지는 만큼, 긴급신고 현장대응 골든타임을 사수하기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할 것을 국민들에게 약속드린다고 밝혔다.

담당: 생활안전과 경정 류미진(02-3150-2643)

[사이버경찰청 2016-03-3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715 취약계층 난방비지원금, 보조금24에서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7 6
13714 행안부, 2023년 상가·오피스텔 등 건축물의 시가표준액 의견청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14 6
13713 질병관리청, ‘로타바이러스 백신’ 무료 접종 첫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16 6
13712 스포츠 경기장 내 ‘장애인 편의시설‘ 관리 강화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16 6
13711 인스턴트 커피, 모바일상품권 관련 상담 전월 대비 증가율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17 6
13710 사물함 속 추억의 우유는 옛말, 이제는 가정에서 골라 먹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0 6
13709 엠폭스 위기경보 수준 ‘주의’에서 ‘관심’으로 하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1 6
13708 어린이 스포츠 안전모 비교정보 생산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1 6
13707 2022년 출생·사망통계(잠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2 6
13706 자율주행에 필요한 정밀도로지도, 일반국도까지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6 6
13705 고령자, 식품첨가물 섭취 평가 결과..안전한 수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17 6
13704 강아지·고양이와 함께하는 해외여행, 이렇게 준비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26 6
13703 컴포트화, 발이 받는 압력과 착용 만족감에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26 6
13702 리츠, 자율성 높이고 투자자 보호는 두텁게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30 6
13701 지하철역 AED 설치 여부와 위치 등 안내 강화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27 6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