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주요 내용 -


□ 추석 명절 연휴 기간 내 다소 높은 기온과 습도가 예상되며, 가족, 친지의 방문 증가에 따른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집단발생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개인위생 및 예방수칙 준수 당부


 ○ (주요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및 주의 사항) 

  - (살모넬라균 감염증) 계란 등 관련 식재료의 올바른 보관 및 조리수칙 준수

  - (비브리오패혈증) 고위험군의 대상 주의 요청


 ○ (개인 위생 및 예방수칙) 흐르는 물에 비누로 자주 손씻기, 올바른 식재료 보관, 설사 증상이 있는 경우 조리하지 않기, 위생적 음식 조리 및 안전한 물과 음식 섭취 



□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은 추석 명절 연휴 동안 가족, 친지, 지인간 교류가 증가하고, 연휴기간 내 평균 최고 기온이 28℃를 상회할 것이 예상됨에 따라, 물과 식품으로 인한 감염병 발생*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음식이 위생적으로 조리되지 않거나 장시간 상온 보관되는 등 부적절하게 관리되는 경우, 공동섭취로 인한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집단발생이 우려됨.


□ 특히, 올해는 살모넬라균 감염증 발생이 과거 5년 대비 약 19.7% 증가해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 일반적으로 살모넬라균 감염증은 살모넬라균에 오염된 계란, 우유, 육류 및 가공품을 섭취할 경우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관련 식재료를 냉장 보관해야 하며, 안전한 조리수칙의 준수로 교차오염을 방지해야 한다.


  - 평소 달걀은 껍질이 손상되지 않은 것을 사용하되, 껍질을 깬 후에는 빠른 시간 내에 충분히 가열‧조리해야 하며. 


  - 계란 겉표면에 살모넬라균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계란을 만진 이후에는 손을 씻어야 한다.


□ 또한 비브리오패혈증은 매년 8월~10월에 환자가 많이 발생하며,


 ○ 만성간질환, 당뇨병 등의 기저질환자와 같은 고위험군* 의 경우에는 치명률이 50% 전‧후로 매우 높기 때문에, 고위험군은 수산물을 반드시 익혀 먹고, 피부에 상처가 있는 경우에는 바닷물과의 접촉을 피해야 한다.

    * 비브리오패혈증 고위험군 : 간 질환자, 당뇨병 등 만성질환자, 알코올중독자, 부신피질호르몬제나 항암제 복용 중인 자, 악성종양, 재생불량성 빈혈, 백혈병 환자, 장기이식환자, 면역결핍 환자


□ 질병관리청 백경란 청장은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예방을 위해 손씻기를 자주 하는 등 개인위생과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해 줄 것”을 강조하였다.


 ○ 아울러 “음식섭취 후 24시간 이내 수차례 설사 증상이 있는 경우 즉시 의료기관의 진료를 받고, 2인 이상 집단 설사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보건소로 신고할 것”을 당부하였다.


<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예방수칙 >

-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손씻기

- 음식은 충분히 익혀 먹기

- 물은 끓여 마시기

- 채소‧과일은 깨끗한 물에 충분히 씻어 먹기

- 설사 증상이 있는 경우에 조리하지 않기

- 위생적으로 조리하기

   * 칼, 도마 조리 후 소독, 생선‧고기‧채소 등 도마 분리 사용 등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858 직장 내 괴롭힘은 무료교육으로 예방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01 17
11857 직장 내 괴롭힘, ‘근로복지넷’에서 무료 상담 받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17 16
11856 직장 건강보험료 정산제도 개선으로 한꺼번에 내는 부담 완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31 94
11855 직영주차장 무료이용 등 추석연휴 국립공원 이용 지원 대책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26 7
11854 직업계고 입학부터 취업까지, 모든 정보는「하이파이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19 54
11853 직류전원장치, 유아용모자 등 중점관리대상 품목 42개 리콜명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07 122
11852 직거래장터에서 제수용품 저렴하게 구입하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3 58
11851 직거래를 통한 지역농업 활성화 기반 마련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1 70
11850 직거래 여부·중개사 소재지 등 실거래가 정보 공개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01 18
11849 지하철역 AED 설치 여부와 위치 등 안내 강화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27 6
11848 지하철 승강장 초미세먼지 농도, 쉽게 확인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30 21
11847 지하철 디지털 성범죄, 빅데이터로 잡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06 14
11846 지하철 2호선,‘통장매매 등’불법금융예방 동영상 방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31 53
11845 지하역사 미세먼지, 엄격하게 관리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23 45
11844 지하수 미등록시설 자진신고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02 14
Board Pagination Prev 1 ...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