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은 올해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4.11.) 및 경보 발령(7.23.) 이후 국내 첫 일본뇌염 의사환자(추정환자)가 확인됨에 따라 모기물림 예방수칙 준수 등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첫 의사환자는 70대 남성으로 강원도 소재 농장에 방문한 후 819일부터 발열, 의식변화, 복통 등 뇌염증상으로 입원치료를 받고 있다.

 

- 보건환경연구원 및 질병관리청 검사를 통해 뇌척수액 및 혈액에서 특이항체가 검출됨에 따라 96일 추정환자로 진단되었으며, 추후 회복기 혈청을 이용해 확인진단을 진행할 예정이다.


[ 진단을 위한 검사 기준 ]

확인진단 - 검체(혈액, 뇌척수액)에서 일본뇌염 바이러스 분리

- 회복기 혈청의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해 4배 이상 증가

- 검체(혈액, 뇌척수액)에서 특이 항체 검출하거나 특이 유전자 검출

추정진단 : 검체(혈액, 뇌척수액)에서 ELISA를 이용하여 특이 IgM 항체 검출


일본뇌염은 바이러스를 가진 작은빨간집모기에 물린 경우 감염되며, 대부분 증상이 없거나, 모기에 물린 후 5~15일 이내

   발열 및 두통 등이 나타난다.

그러나 감염된 250명 중 1명은 고열, 발작, 목 경직, 경련, 마비 등 치명적인 급성뇌염으로 진행되고, 이 중 20~30%는 사망

   할 수 있다.

 

- 뇌염의 경우 회복되어도 환자의 30~50%는 신경학적, 인지적 또는 행동학적 합병증을 가진다.

 

최근 5년간 국내 일본뇌염으로 신고된 환자 총 90명에 대한 역학조사 결과, 88에게서 발열, 의식변화, 뇌염증상, 두통 등 증상

   나타났으며, 46(51.1%)은 합병증을 겪었고, 16(17.8%)은 사망하였다.


 1. 최근 5년간 일본뇌염 환자 수 및 사망자 수(사망률)

연도

합계

2017

2018

2019

2020

2021

환자수()

90

9

17

34

7

23

사망자수()

16

2

1

6

2

5

사망률(%)

17.8

22.2

5.9

17.6

28.6

21.7

 

2. 최근 5년간 일본뇌염 환자 중 유증상자(88) 증상별 분포(다발생 순, 중복응답)

증상

발열

의식변화

뇌염증상

두통

구토

경련

근육통

복통,설사

80

72

53

37

15

12

11

7

 

3. 최근 5년간 일본뇌염 환자 중 합병증(46) 증상별 분포(다발생 순, 중복응답)

증상

인지장애

마비

운동장애

언어장애

발작

정신장애

18

12

11

10

5

5


일본뇌염을 전파하는 작은빨간집모기는 논이나 동물축사, 웅덩이 등에 서식하는 암갈색의 소형 모기로, 주로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하는 특성을 지닌다.

 

일반적으로 6월 남부지역(제주, 부산, 경남 등)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우리나라 전역에서 관찰되며, 7~9월에 매개모기의

   밀도가 높아지고 10월 말까지 관찰된다.

 

따라서 일본뇌염 매개모기가 활동하는 시기 동안에는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하고, 모기 매개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모기매개감염병 예방수칙>

 

 첫째야외 활동 시 밝은 색의 긴 바지와 긴 소매의 옷을 입어 피부노출을 최소화하고, 모기가 흡혈하지 못하게 품이 넓은 옷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둘째, 노출된 피부나 옷신발 상단양말 등에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고야외 활동 시 모기를 유인할 수 있는 진한 향수나 화장품 사용은 자제하는 것이 좋다.

 

 셋째가정 내에서는 방충망을 정비하고캠핑 등으로 야외 취침 시에도 텐트 안에 모기기피제가처리된 모기장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넷째매개모기 유충의 서식지가 될 수 있는 집주변의 웅덩이막힌 배수로 등에 고인 물을 없애서모기가 서식하지 못하게 한다.

 

 

또한 일본뇌염은 효과적인 예방백신이 있으므로, 국가예방접종 지원대상 아동(200911일 이후 출생)의 경우             표준예방접종 일정에 맞춰 접종하고,


구 분

일본뇌염 예방접종 실시기준

불활성화 백신

5회 접종

12(생후 1223개월, 1개월 간격)

3(2435개월, 2차 접종 11개월 후), 4(6), 5(12)

약독화 생백신

2회 접종

12(생후 1235개월, 12개월 간격)


성인 중에서는 논 또는 돼지 축사 인근 등 일본뇌염 매개모기 출현이 많은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사람과 일본뇌염 유행국가*로 여행 계획이 있는 사람 중 과거 일본뇌염 예방접종 경험이 없는 고위험군**에 대해 접종할 것을 권장한다.

* 일본뇌염 유행국가 : 오스트레일리아, 방글라데시, 브루나이, 미얀마, 캄보디아, 중국, ,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라오스, 말레이시아, 네팔, 파키스탄, 파푸아뉴기니, 필리핀, 러시아, 사이판, 싱가포르, 스리랑카, 대만, 태국, 베트남, 동티모르 등

** 국가예방접종 지원대상 외에 일본뇌염 예방접종을 희망하는 경우, 의료기관에서 유료접종(접종 백신 및 횟수 등은 의사와 상담 후 결정)

 

백경란 질병관리청장, “국내 첫 일본뇌염 의사환자가 확인된 만큼, 매개모기가 유행하는 10월말까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며, 예방접종 대상자는 해당 기준에 따라 접종해주실 것을 당부드린다.”고 밝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289 페룰(Ferrule) 부식으로 낙상 위험 있는 Wild Country 클라이밍 장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23.04.18
3288 포장 미흡으로 세균 번식 가능성 있는 콘바텍 Duoderm 습윤밴드 회수 및 환불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21.11.29
3287 에틸렌옥사이드 성분 함유된 Bonneterre Lait de coco cuisine 조리용 음료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21.10.08
3286 해외직구식품, 위해성분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21.09.17
3285 '클로로퀸' 코로나19 치료.예방 효과 입증되지 않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21.01.05
3284 한국소비자원을 사칭한 스미싱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20.09.08
3283 유해물질 함유된 Bloodline 문신잉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20.02.17
3282 열대과일 '리치' 공복에 섭취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19.06.17
3281 지역축제 안전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19.04.04
3280 환자안전사고, 대부분 보건의료인의 부주의로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18.10.25
3279 Arctic Cat Wildcat ATV, 배기가스 열에 의한 화재 위험 있어 무상수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18.07.19
3278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치료제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17.08.23
3277 황색포도상구균 검출된 '치즈케이크'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5 2022.03.25
3276 위드펫 / WithPet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5 2021.10.18
3275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Mr Porky Prime Cut Scrachings 돼지껍데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5 2021.10.14
3274 어린이, 고령자의 가정 내 안전사고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5 2020.03.12
3273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5 2019.10.29
3272 인터넷교육서비스, 6개월 이상 장기계약 피해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5 2019.04.23
3271 여드름약 '이소트레티노인' 사용 전 임신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5 2019.04.16
3270 독초와 산나물, 혼동하지 마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4 2023.04.14
Board Pagination Prev 1 ...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