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식품의약품안전처

보 도 참 고 자 료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식약처슬로건_국문만사용.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67pixel, 세로 151pixel

보도 일시

배포 즉시

배포일

2022. 8. 29.(월)

담당 부서

식품안전정책국

책임자

 

손영욱

(043-719-2851)

식품안전인증과

담당자

사무관

이제명

(043-719-2854)

<식품안전 공공데이터 활용>

효율적인 해썹 관리를 위한 위해요소 분석정보 제공 확대

- 식품원료별 위해요소 분석 정보집개정‧발간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 이하 해썹) 적용업체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위해요소 분석*에 대한 자료를 제공효율적인 해썹 운영이 가능하도록 돕는 식품원료별 위해요소 분석 정보집을 8월 29일 개정‧발간합니다.

    * 해썹 적용업체는 시험검사 등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여 위해요소 분석(위해요소 도출, 심각성·발생가능성 평가 등)을 하여야 하며, 그에 따라 중요관리점을 결정

 ㅇ 이번 정보집 개정은 보다 많은 식품 영업자가 정보집 내의 분석자료를 참고해 위해요소 분석(위해요소 도출, 발생가능성 평가)을 손쉽게 수*할 수 있도록 위해요소 분석 정보제공 대상 품목을 확대**하기 위해 마련됐습니다.

    * 해썹 적용업체가 각 원료별 시험‧검사 자료 등 직접 시험‧검사해 수집했던 정보를 정보집 내의 자료로도 대체 가능

   ** (기존) 과자류, 떡류, 인삼‧홍삼음료, 배추김치 4개 품목의 위해요소 분석 자료 수록(개정) 빵류, 면류, 과채주스, 기타수산물가공품 4개 폼목의 위해요소 분석 자료 추가 수록

주요 개정 내용은 해썹 의무적용 대상인 빵류 등 4개 품목을 제조하는 업소에서 주로 사용하는 원료의 생물학적‧화학적‧물리적 위해요소에 대하여 식품안전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분석한 자료 추가 최신정보를 반영한 위해요소 발생가능성 평가 자료 현행화 등입니다.

 

 ① 빵류 등 4개 품목의 ▲원료별 위해요소 분석내용(Hazard Analysis) ▲국내‧외 식품의 기준‧규격 ▲위해요소에 대한 국내 시험‧검사 결과 분석 ▲국‧내외 식중독 발생사례 등 위해정보 등을 추가했습니다.

   - 국내‧외 식품 위해정보와 시험‧검사 결과 등 약 480만 건의 공공데이터를 활용원료별 위해요소의 도출 항목발생가능성을 분석했습니다.

   - 아울러, 이 분석자료에 대해 학계‧산업계 등 전문가의 자문과 분석정보 제공 대상 업체(빵류 등 4개 품목 제조업체)의 의견을 수렴해 객관성과 수용성을 높였습니다.

 또한 국내‧외 위해정보, 시험‧검사 결과 등 최신정보 사항을 반영 기존에 제공한 과자류 등 4개 품목의 원료별 위해요소 분석자료 중 발생가능성 평가 자료를 현행화했습니다.

식약처는 이번에 개정‧발간한 정보집을 통해 업체가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해썹을 운영하는데 도움이 되고, 사전 식품안전관리 체계를 강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ㅇ 또한 해썹 적용 업체의 원료별 위해요소 분석에 대한 어려움을 덜어주고 소규모 영세업체의 경제적 부담전문 인력 부족 문제를 해소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해썹 운영 내실화를 위해 공공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식품유형‧원료별 위해요소 분석 정보를 확대 제공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습니다.

 ㅇ 자세한 내용은 식약처 누리집(www.mfds.go.kr > 자료실 > 안내서/지침)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누리집(www.haccp.or.kr > 고객센터 > 자료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 파일 참고 바랍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22-08-2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725 배달앱 분야 자율규제 방안 이행점검 및 재검토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23 25
6724 배달앱 등록 야식업체 합동 기획 감시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18 91
6723 배달대행 플랫폼 사업자 배달기사 간 계약서 자율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21 23
6722 배달 종사자의 산재 사고 예방을 위해 “이륜차 사고 위험 지역 알리미”도입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7 22
6721 배달 음식에도 위생등급 광고 허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28 30
6720 배달 음식 업체 및 장례식장 내 식품 취급 업체 점검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22 147
6719 방화문, 단열재 등 공급·시공 절차 대폭 강화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25 25
6718 방통위“청소년의 보행 중 스마트폰 안전사고 예방 앞장선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09 41
6717 방통위-EBS <라이브 특강> 서비스 포털로 확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5 67
6716 방통위,「정보이용료 알리미서비스」취약계층 확대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5 55
6715 방통위,“청소년 몸캠피싱 방지 서비스”보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02 20
6714 방통위, 통신요금 할인 혜택을 알려드립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22 9
6713 방통위, 코로나19 위기상황 이용 식품 등 허위·과장광고 스팸문자 대량 전송 업체 등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15 82
6712 방통위, 지자체와 협력하여 시·청각장애인용 TV 보급 확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02 61
6711 방통위, 이동통신 피해구제 절차를 알려드립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29 26
Board Pagination Prev 1 ... 473 474 475 476 477 478 479 480 481 482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