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응급환자의 적기 이송 및 효율적 치료를 위한 병원전(前) 중증도 분류 도입

 

□ 보건복지부와 소방청(청장 이흥교), 대한응급의학회(이사장 최성혁),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센터장 김성중)는 오는 8월 29일(월)부터 9월 30일(금)까지 한국형 병원전(前) 중증도 분류* 체계 2차 시범사업을 경기북부 11개 소방서 및 충남 천안·아산지역 3개 소방서 등 총 14개 소방서를 대상으로 실시한다고 밝혔다.

   * Prehospital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이하 ‘Pre-KTAS’) : 병원 전단계에서 환자의 위급 정도에 따라 1(소생 :매우중증)∼5등급(비응급 :매우경증)으로 분류 

 ○ 현재도 119구급대에서 응급환자를 병원으로 이송할 때 환자 상태를 평가하고 응급, 비응급, 잠재응급 등의 중증도 분류를 시행하고 있으나, 병원 중증도분류(KTAS) 분류기준과 달라 병원전단계와 병원단계의 환자 중증도 분류가 통일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있었다.

   <응급환자에 대한 119구급대와 KTAS 분류 비교>

119 구급대 분류

KTAS 분류

응급

불안정한 활력징후 등

Level 1

소생 : 심정지, 중증외상 등

준응급

수시간내 처치가 필요한 경우

Level 2

긴급 : 호흡곤란, 토혈 등

잠재응급

()응급 해당 X, 응급실 진료 필요

Level 3

응급 : 경한 호흡부전 등

대상외

응급환자 이송이 아닌 경우

Level 4

준응급 : 착란, 요로감염 등

사 망

명백한 사망징후 또는 의심 경우

Level 5

비응급 : 상처소독, 약처방 등

 

 ○ 특히 2021년도에 코로나19 환자가 급증하면서 대형병원 응급실이 포화상태가 되고, 이로 인해 구급차가 중증응급환자를 제때 이송하지 못하는 사례가 자주 발생하자, 복지부·소방청·대한응급의학회 등은 ‘중증응급환자 응급의료체계 개선’ 대책으로 환자의 중증도 분류를 일원화하고 환자등급에 따라 적절하게 분산 이송하는 정책을 본격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 이에 보건복지부는 소방청 및 대한응급의학회(KTAS위원회)와 2021년 12월부터 한국형 병원전(前) 중증도 분류(Pre-KTAS) 도입을 위하여 3개월의 사전 준비 시간을 거쳐, 올해 3월 한국형 병원전(前) 중증도 분류(Pre-KTAS) 앱을 개발하고 5월부터 6월까지 경기·충남의 6개 소방서에서 1차 시범사업을 실시하였다.

 ○ 1차 시범사업은 한국형 병원전(前) 중증도 분류(Pre-KTAS) 타당성 검증 및 현장 구급대원이 사용하는 앱(App)의 개선이 목적이었으며, 이번 2차 시범사업에서는 본격적으로 119구급대원이 한국형 병원전(前) 중증도 분류(Pre-KTAS)를 활용하여 이송병원을 선정할 계획이다. 

□ 보건복지부 박향 공공보건정책관은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상급 응급의료센터나 응급실의 과밀화를 해소하고 효율적 치료로 보다 선진화된 응급의료 체계로 한 발 더 나아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라면서

 ○ “이송단계에서 환자를 병원전(前) 중증도 분류기준으로 이송하도록 정착하기 위해서는 의료기관 및 국민들의 협조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하였다.
 
□ 이흥교 소방청장은 “119구급대원의 환자 중증도 평가 및 이송병원 선정의 전문성을 인정해주실 것을 요청드리며, 한국형 병원전(前) 중증도 분류(Pre-KTAS)로 분류된 중증환자에 대해 의료기관이 적극적으로 수용해줄 것”을 당부했다.
 

[보건복지부 2022-08-2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791 1월 배추, 양파, 차·음료 가격 많이 올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23 127
11790 한국소비자원, 소비자 체감 지표 활용 연구논문 공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23 114
11789 펜션 복층·계단에서 추락사고 주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23 339
11788 [보도자료] 풀무원 두부 가격인상 적정성 분석 결과 발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23 162
11787 과태료 부과 등 리콜이행 강제수단이 강화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23 97
11786 올해 전국 표준지공시지가 4.47% 상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23 101
11785 어려운 세금문제, 마을세무사에게 물어보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23 104
11784 국립서울병원, 국민 정신건강을 책임지는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재탄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23 117
11783 최근 뎅기열 신고 증가에 따른 감염 주의 당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24 97
11782 자궁경부암은 20세부터, 간암은 매 6개월마다 검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24 104
11781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성과 나도록 꼼꼼히, 끝까지 챙긴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24 104
11780 봄 개학맞이 학교매점 및 학교 주변 조리·판매업소 위생 점검 사전 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24 98
11779 2016년 1월 소비자상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25 99
11778 2015년 심사진료비 총 66조원, 전년 대비 6.5%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25 97
11777 4월부터 국민연금 급여액 평균 2,360원, 기초연금·장애인연금 1,410원 인상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25 109
Board Pagination Prev 1 ...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