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응급환자의 적기 이송 및 효율적 치료를 위한 병원전(前) 중증도 분류 도입

 

□ 보건복지부와 소방청(청장 이흥교), 대한응급의학회(이사장 최성혁),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센터장 김성중)는 오는 8월 29일(월)부터 9월 30일(금)까지 한국형 병원전(前) 중증도 분류* 체계 2차 시범사업을 경기북부 11개 소방서 및 충남 천안·아산지역 3개 소방서 등 총 14개 소방서를 대상으로 실시한다고 밝혔다.

   * Prehospital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이하 ‘Pre-KTAS’) : 병원 전단계에서 환자의 위급 정도에 따라 1(소생 :매우중증)∼5등급(비응급 :매우경증)으로 분류 

 ○ 현재도 119구급대에서 응급환자를 병원으로 이송할 때 환자 상태를 평가하고 응급, 비응급, 잠재응급 등의 중증도 분류를 시행하고 있으나, 병원 중증도분류(KTAS) 분류기준과 달라 병원전단계와 병원단계의 환자 중증도 분류가 통일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있었다.

   <응급환자에 대한 119구급대와 KTAS 분류 비교>

119 구급대 분류

KTAS 분류

응급

불안정한 활력징후 등

Level 1

소생 : 심정지, 중증외상 등

준응급

수시간내 처치가 필요한 경우

Level 2

긴급 : 호흡곤란, 토혈 등

잠재응급

()응급 해당 X, 응급실 진료 필요

Level 3

응급 : 경한 호흡부전 등

대상외

응급환자 이송이 아닌 경우

Level 4

준응급 : 착란, 요로감염 등

사 망

명백한 사망징후 또는 의심 경우

Level 5

비응급 : 상처소독, 약처방 등

 

 ○ 특히 2021년도에 코로나19 환자가 급증하면서 대형병원 응급실이 포화상태가 되고, 이로 인해 구급차가 중증응급환자를 제때 이송하지 못하는 사례가 자주 발생하자, 복지부·소방청·대한응급의학회 등은 ‘중증응급환자 응급의료체계 개선’ 대책으로 환자의 중증도 분류를 일원화하고 환자등급에 따라 적절하게 분산 이송하는 정책을 본격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 이에 보건복지부는 소방청 및 대한응급의학회(KTAS위원회)와 2021년 12월부터 한국형 병원전(前) 중증도 분류(Pre-KTAS) 도입을 위하여 3개월의 사전 준비 시간을 거쳐, 올해 3월 한국형 병원전(前) 중증도 분류(Pre-KTAS) 앱을 개발하고 5월부터 6월까지 경기·충남의 6개 소방서에서 1차 시범사업을 실시하였다.

 ○ 1차 시범사업은 한국형 병원전(前) 중증도 분류(Pre-KTAS) 타당성 검증 및 현장 구급대원이 사용하는 앱(App)의 개선이 목적이었으며, 이번 2차 시범사업에서는 본격적으로 119구급대원이 한국형 병원전(前) 중증도 분류(Pre-KTAS)를 활용하여 이송병원을 선정할 계획이다. 

□ 보건복지부 박향 공공보건정책관은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상급 응급의료센터나 응급실의 과밀화를 해소하고 효율적 치료로 보다 선진화된 응급의료 체계로 한 발 더 나아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라면서

 ○ “이송단계에서 환자를 병원전(前) 중증도 분류기준으로 이송하도록 정착하기 위해서는 의료기관 및 국민들의 협조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하였다.
 
□ 이흥교 소방청장은 “119구급대원의 환자 중증도 평가 및 이송병원 선정의 전문성을 인정해주실 것을 요청드리며, 한국형 병원전(前) 중증도 분류(Pre-KTAS)로 분류된 중증환자에 대해 의료기관이 적극적으로 수용해줄 것”을 당부했다.
 

[보건복지부 2022-08-2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698 추석맞아 국립공원 야생화 꽃길 21곳 추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07 10
12697 [금융꿀팁 200선] 131번_사례로 알아보는 불법채권추심 대응방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29 10
12696 주정차위반과태료 등 세외수입 24시간 채팅로봇으로 상담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0.06 10
12695 정부합동으로 ‘식품안전’ 관련 공익침해행위 집중신고 기간 운영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0.31 10
12694 11월 24일부터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1.01 10
12693 대형 경유차 질소산화물 정밀검사로 초미세먼지 저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1.30 10
12692 해외제출용 여권사실증명도 온라인으로 쉽고 빠르게 - 여권사실증명 4종 서비스시작, 직접 방문 불편 없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05 10
12691 여권발급 진행상황, 이제 카카오톡에서 확인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09 10
12690 고향사랑 기부금 “고향사랑e음”으로 기부해 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12 10
12689 성인 남자의 비만 유병률, 매년 2.1%씩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30 10
12688 반려동물 사체 매장·투기는 불법, 반려동물 양육자의 45.2%가 몰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11 10
12687 12개 업종 표준대리점계약서 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18 10
12686 “휴대전화 스팸, 이제 앱에서 간편하게 신고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20 10
12685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부당광고 모니터링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6 10
12684 2023년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 기본계획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9 10
Board Pagination Prev 1 ...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