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한국소비자원은 Beg & Barker 반려견 간식에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이 있어 미국에서 리콜되고 있다는 정보가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 접수됨에 따라 국내 유통 여부를 조사했다.
조사 결과, 국내 온라인 쇼핑몰에 동일한 제품이 게시·판매되고 있어 소비자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판매차단 등의 조치를 권고하였으며, 이에 해당 사업자는 제품의 판매를 차단(2022.7.19.기준)하였다.
 

<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반려견 간식 판매차단 안내 >


1. 대상 제품
- 제품 상세 정보


브랜드

Beg & Barker

제품명

Chicken Breast Strips

용량

10oz

소비기한

2023.6.6.~2023.6.23.

배치번호

전체

UPC

8 50025 54610 2

제품 사진
이미지 출처 : FDA
(https://www.fda.gov/)

 다운로드.png

 다운로드 (1).png


2. 조치 사유
- 해당 제품의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이 있어 미국에서 리콜됨.
* 농림축산식품부 고시 사료 등의 기준 및 규격’ [별표16]사료 내 유해물질의 범위 및 허용기준에 따라 살모넬라는 불검출되어야 함.
** 살모넬라균은 제품을 먹는 반려견과 해당 제품을 취급한 사람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음.특히 제품 또는 제품에 노출된 표면과 접촉한 뒤 손을 철저히 씻지 않으면 더욱 위험함. 살모넬라균에 감염된 사람은 메스꺼움, 구토, 설사 또는 혈변, 복부 경련 및 발열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음. 제품과 접촉한 뒤 해당 증상을 보이는 소비자는 의사와 상담해야 함. 살모넬라균에 감염된 반려견은 무기력증, 설사 또는 혈변, 발열 및 구토를 보일 수 있음. 제품을 섭취한 뒤 반려견이 해당 증상을 보이면 수의사와 상담해야 함.
 
3. 기 조치 사항
- 해당 제품을 취급한 국내 오픈마켓 사이트에 판매 차단 조치
해당 제품의 수입사는 확인되지 않음.
 
4. 소비자 유의사항 및 조치 방법
- 제품을 보유하고 있는 소비자는 즉시 급여를 중단하고 제품을 폐기할 것
- 수입·판매사가 확인되는 경우 연락을 통해 교환, 환급 등의 조치를 받을 것
* (리콜회사 연락처) Stormberg Foods, Tel : (919) 947-6011e-mail : stormbergship@gmail.com




[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위해정보알림/위해정보 처리속보 2022-08-2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589 PlayMaty 자석완구 흡입 시 질식·장 천공 위험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18.03.21
3588 VTech 딸랑이 삼킬 경우 질식 위험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5 2018.03.21
3587 Disney 색연필에 납 성분이 과다 함유되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7 2018.03.21
3586 Dynamic 문신잉크(Black)에 발암성분이 포함되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18.03.21
3585 California Basics 건강기능식품(Zero For Him),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18.03.21
3584 Vornadobaby 전기히터(Sunny CS Nursery Space Heater), 모터마운트 파손돼 화재 위험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4 2018.03.21
3583 생애주기별 감염병 관리, 예방이 최선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1 2018.03.22
3582 전국 미세먼지 나쁨 예보, 노약자·임산부·기저질환자는 더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8 2018.03.23
3581 2017년 소비자 위해동향 분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18.03.27
3580 한 번의 클릭, 피해는 평생 갈 수 있습니다. -’17년 인터넷상 불법 금융광고 적발현황 및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8 2018.03.29
3579 「고위험 ETF 은행신탁상품」 투자 관련 소비자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4 2018.03.29
3578 치아 투명교정, 부실진료 관련 소비자불만 크게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18.03.29
3577 본격적인 봄, 4월에는 이런 재난안전사고를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0 2018.03.29
3576 질병관리본부, 비브리오패혈증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1 2018.03.29
3575 만성콩팥병 환자 중 건강한 비만 환자도 콩팥기능 악화될 위험 높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2 2018.03.29
3574 봄 나들이철 위험 신고 안전신문고로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5 2018.04.02
3573 “ 휴대폰 사기판매 피해 주의! ”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18.04.03
3572 봄철 축제 기본질서 지키며 안전하게 즐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9 2018.04.05
3571 봄 나들이 갈 때 교통안전도 챙기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18.04.06
3570 식약처, 아세트아미노펜 함유 서방형 제제에 대한 안전성 강화 조치 발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6 2018.04.06
Board Pagination Prev 1 ...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