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16년 2월 항공운송시장은 국제 및 국내 여객이 전년 동월 대비 크게 증가하여 강한 상승세를 지속했다.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2016년 2월 국제여객 및 국내여객은 전년 동월대비 각각 15.7%, 14.6% 증가했고, 항공화물은 전년대비 2.2% 감소했다고 밝혔다.

* 항공여객(만 명) : 537(’12.2) → 557(’13.2) → 604(’14.2) → 705(’15.2) → 813(’16.2)
* 항공화물(만 톤) : 28(’12.2) → 25(’13.2) → 27(’14.2) → 30(’15.2) → 29(’16.2)


국제선 여객은 저비용항공사 중심의 신규노선 및 운항 확대, 저유가에 따른 국제선 유류할증료 면제로 인한 항공여행 비용절감 효과, 일본, 유럽 등 내국인 해외여행 수요증가 등으로 전년 동월대비 15.7% 상승하면서 585만 명을 기록했다.

* 국제여객(만 명) : 375(’12.2) → 402(’13.2) → 431(’14.2) → 506(’15.2)→ 585(’16.2)


지역별로는 내국인 여행수요 증가 등으로 일본(30.5%), 대양주(21.8%), 동남아(14.8%) 노선실적이 크게 증가하면서 국제선 여객성장을 견인했다.

공항별로는 국제선 여객 비율이 가장 높은 인천과 김해 공항이 각각 14.1%, 44.1% 증가하였고, 대구(95.8%), 제주(17.0%) 공항이 운항 증가와 함께 전년 동월대비 여객 실적이 성장세를 나타냈다.

국적 대형항공사의 국제선 여객은 전년 동월대비 10.8% 증가했고, 국적 저비용항공사의 실적은 전년 동월대비 61.1% 증가했으며, 국적사 분담률은 65.1%를 기록했다.(대형국적사 46.7%, 저비용항공사 18.3%)

* 저비용항공사 분담률(%) : 6.4(’12.2) → 9.9(’13.2) → 12.5(’14.2) → 13.2(’15.2) → 18.3(’16.2)


국내선 여객은 저비용항공사의 정기노선 확대, 제주 인구유입 확대 및 관광수요 증가 등으로 전년 동월대비 14.6% 증가를 기록했다.

* 국내여객(만 명) : 162(’12.2) → 155(’13.2) → 174(’14.2) → 199(’15.2) → 228(’16.2)


공항별로는 정기편 운항이 확대된 청주(53.2%)·김해(24.5%)·제주(16.0%) 공항에서 두 자리 수 이상의 실적 증가를 보였으며, 김포공항은 전년 동월대비 9.9% 성장했다.

항공사별로는 국적 대형항공사의 국내여객 운송량은 101만 명으로 전년 동월대비 3.7% 증가하였고, 저비용항공사는 127만 명으로 전년 동월대비 24.9% 증가와 함께 55.8%의 분담률을 기록했다.

* 저비용항공사 분담률(%) : 41.9(’12.2) → 46.3(’13.2) → 46.8(’14.2) → 51.2(’15.2) → 55.8(’16.2)


항공화물은 최근 미주노선을 중심으로 항공 수출입 물량이 감소하고 국내선 물동량도 감소하면서 전년 동월대비 2.2% 하락했다.

* 항공화물(만 톤) : 28(’12.2) → 25(’13.2) → 27(’14.2) → 30(’15.2) → 29(’16.2)


국제화물의 경우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수출입 부진 등 항공 수출입 물량 감소와 함께 전년 동월대비 2.1% 감소한 26만 톤을 나타냈다.

* 국제화물(만 톤) : 26(’12.2) → 23(’13.2) → 25(’14.2) → 27(’15.2) → 26(’16.2)


국토교통부는 3월부터 동계성수기가 끝나고 북핵 도발로 인한 한반도 긴장고조, IS의 브뤼셀 공항테러 등의 영향으로 성장세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항공화물의 경우 신규 스마트폰 출시와 함께 무선통신기기 및 반도체 장비 중심의 항공수출입 물동량 증가가 전망되고, 중국, 베트남, 뉴질랜드와의 신규 발효 FTA(’15.12.20)가 긍정적 영향을 미칠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다만, 환율과 금리변화, 중국과 미국 등 세계경기 변동과 주변국과의 정치적 관계 및 정책 변화, 북핵 및 미사일 문제, 지카 전염병 확산 등 국내외 요인이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 2016-03-2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10 거리두기 해제 후, 보행자 교통안전에 적신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13 59
2409 입국 전·후 검사 및 18세미만 접종 완료 기준 개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13 58
2408 국민비서 채팅로봇(챗봇)으로 지식재산권 상담해드려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16 51
2407 밀키트 비교정보 생산 결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17 53
2406 황색포도상구균 검출된 '쥐치포'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18 86
2405 실손보험, 학원 서비스 등 전월 대비 상담 증가율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18 51
2404 현대·기아·벤츠·포르쉐·아우디 등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19 52
2403 번호판 영치·무단방치·불법개조 없는 “안전한 도로환경 조성” 함께 해 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19 58
2402 “더 가까이, 국민 속으로”, 용산공원에 초대합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19 53
2401 「재난적의료비 지원에 관한 법률」일부개정안 입법예고(5.20.~6.29)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19 50
2400 고령층의 중증·사망 예방을 위해 4차접종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19 53
2399 일부 베이킹파우더 제품, 올바른 권장사용량 표시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19 55
2398 소중한 일상을 지키기 위해 재난 시 행동요령을 익혀두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19 51
2397 급가속 등 위험운전 행동이 교통사고 가능성 높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20 52
2396 코로나19 확진자 격리 의무 지속 격리의무 전환 여부에 대한 기준 마련하여 4주 후 재평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20 52
Board Pagination Prev 1 ... 756 757 758 759 760 761 762 763 764 765 ... 921 Next
/ 9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