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국민권익위원회 2016-03-28]
 
“국민이 직접 만드는 정책,「국민생각함」개통”
국민주도형 정책참여 활성화를 위해 권익위-행자부 MOU 체결
□ 다수인의 집단지성을 활용하여 민·관이 함께 행정·제도의 문제에 대한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정책으로 실현시킬 수 있는 국민참여 플랫폼「국민생각함(idea.epeople.go.kr)」이 개통된다.
○「국민생각함」은 모바일 인터넷 확산 및 SNS 대중화 등 정보통신기술(ICT) 사용환경 변화에 따라 국민이 보다 쉽고 재미있게 행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국민권익위원회가 개발한 새로운 소통 플랫폼의 이름이다.
□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성영훈, 이하 권익위)와 행정자치부(장관 홍윤식, 이하 행자부)는 3월 28일 한국프레스센터(서울 중구 소재)에서 국민과 관계공무원 등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국민생각함」의 개통을 알리는 국민참여 행사를 개최했다.
○ 기존의 참여 창구가 정책공급자인 정부 위주의 딱딱하고 어렵게 운영되어 국민들의 활용과 참여가 저조했던 데 비해,
「국민생각함」은 다수인의 의견을 통해 아이디어의 숙성을 꾀하고, 정책과 제도로 발전되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논의의 흐름과 결과물을 쉽게 확인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며, 국민이 직접 토론주제를 자유롭게 발제하게 하여 정책수요자가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운영된다.
또한, 하나의 주제에 대해 대화(제안·토론), 투표, 설문 3가지 기능을 복합적으로 구성하여 활용할 수 있고(내용에 맞는 기능을 선택), 이를 통해 정책의 “제안→설계→집행→평가·환류”의 전 과정을 한 눈에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참여자 등을 대상으로 정책반영과정을 지속적으로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브랜드 로고
생각의 3단계
생각의 3단계로 문제의 발견에서 해결까지!
이번 개통식에서는 정부 각 기관의 소통업무 관계자 및 일반 국민들이 참석하여 국민참여 플랫폼「국민생각함」의 주요 기능을 직접 활용하여 정책결정 과정에 참여해 보는 시간도 가졌다.
에스컬레이터 두 줄 서기 캠페인’, ‘독서실 허가 기준’ 등 국민들이 생활 속에서 불편을 겪거나 달라진 시대에 맞지 않는 규정을 개선하는 과정을 「국민생각함」을 활용하여 재구성해 보고 실제「국민생각함」을 활용하여 토론과 투표를 실시하기도 하였다.
특히, ‘독서실 허가 기준’ 사례는 국민신문고 민원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발굴된 사례로써, 오늘 개통식 이후에도 4월 6일까지 「국민생각함」에서 국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제도개선 타당성을 검토할 계획이다.
□ 아울러, 이번 행사에서는「국민생각함」을 기반으로 한 국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권익위와 행자부 간 업무협약 체결도 이루어졌다.
국민참여 플랫폼 구축 과정에서도 양 기관은 국민소통 포털을 운영기관과 정부3.0 총괄기관으로서 협업관계를 유지해 왔으며, 이번 개통식을 계기로 정책 과정에의 국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법령 정비 및 제도 운영, 관련 시스템 간 연계체계 구축, 홍보 활동 등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상호 협력할 예정이다.
□ 권익위 성영훈 위원장은 “플랫폼의 실 사용자인 여러 정부기관과 국민들에게「국민생각함」을 소개하고 직접 사용해볼 수 있도록 하는 유익한 시간이 되었다”며, “플랫폼을 통해 국민과 소통하는 정부가 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행자부 김성렬 차관은 “과거에는 정부가 정책과정에서 주도적 역할을 했다면, 앞으로는 국민이 정책과정에 직접 참여해서 주도하는 방향으로 전환해야한다”며, “행자부는 정책 제안부터 설계, 집행, 평가 전 과정을 연결해서 국민이 참여하는 제도를 만들고 지원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참고
 
국민생각함 소개
□ 추진목적
모바일 인터넷, SNS 대중화 등 ICT 환경변화에 따라 정책수요자가 보다 쉽게 행정에 참여할 수 있는 새로운 소통창구의 필요성 증대
○ 정부를 능가하는 민간의 지식 활용, 다양한 정책수요자·이해관계자와의 토론, 투표 등의 검증·숙성과정을 통해 행정수준 향상 모색
□ 국민생각함이란?
브랜드
생각의 3단계
생각의 3단계로 문제의 발견에서 해결까지
(정의) 공공의 문제에 대해 다수인의 생각을 모아 개선방안마련하고, 이를 정책과 제도로 실현시키는 국민참여 플랫폼
- (기능의 복합화) 국민·시민단체·정부 모두 ‘대화·투표·설문’ 기능을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논의의 발전을 통해 문제 해결 추진
- (모바일 최적화) 스마트폰으로 쉽게 접근하여 글 작성·조회 가능
- (전 과정 이력관리) 생각의 탄생부터 완성까지 모든 과정을 타임라인으로 기록하여 시각화 및 편리한 이동(네비게이션) 지원
(개통) ’16. 3. 28. 서비스 개시(URL : idea.epeople.go.kr)
□ 활용 가능례
(지역·생활문제 해결) 생활 속 정책 참여와 소통 도구로 활용
※ 공원이름 공모, 금연구역 확대·대중교통 개편 의견수렴, 주민참여예산제 등
(정책·행정·제도 개선) 빈발 민원 해소, 국민디자인과제 추진
□ 국민신문고와 국민생각함간 비교
시스템명
국민신문고
(www.epeople.go.kr)
국민생각함(플랫폼)
(idea.epeople.go.kr)
정 의
국민 개개인의 민원·신고, 제안 등을 처리하는 범정부 포털 시스템으로, 900여개 전 행정기관·주요 공공기관과 통합·연계되어 원스톱 서비스 제공
정책수요자, 이해관계자 등 다수인이 함께 공공문제를 논의하여 합리적인 대안 마련과 수요자 맞춤형 행정을 실현하고자 하는 행정참여 소셜 플랫폼
토론·투표
발제주체
행정기관
국민·시민단체·행정기관
처리주체
모든 소관행정기관
국민권익위/안건 등록 기관
기능구성
5개
3개
(①민원, ②제안, ③예산낭비, ④공익신고,
⑤정책참여(토론/전자공청회/설문조사))
(①대화(제안/토론), ②투표, ③설문)
운영근거
운영약관
(민원처리법, 국민제안규정, 국가재정법, 공익신고자보호법, 행정절차법)
(민간 웹사이트·소셜미디어 약관과 유사)
 
 
 
주요채널
데스크탑(PC)
모바일(스마트폰)
주요고객
5060세대
2040세대
참여방식
실명인증
소셜 로그인
* 이메일/휴대전화 정보로 가입
제출형식
텍스트 중심
이미지·동영상 중심
처리방식
1(제출자):1(담당자)
* 개인적·단편적 의견 제시
다수(참여자):다수(기관/민간)
* 다수 국민의 시각과 의견 반영
1회성·단발성 처리
* 내용의 숙성·발전과정 부재
다회성·반복적 처리
* 토론·투표 등을 통해 숙성, 사후관리
내용특징
▸딱딱한 행정용어
▸말랑말랑한 SNS 언어
▸일반국민이 이해하기 어려운 주제
▸생활밀착·현장행정 위주의 주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320 29개 장례식장 사업자의 불공정 약관조항 시정 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8 92
12319 29일부터 고속버스도 정기권 내고 탄다…최대 36.7% 할인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8 28
12318 29일부터 김포·제주공항 국내선 “지문만 찍고 바로 타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23 38
12317 29일부터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국민톡 110’으로 민원·갑질피해 상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29 13
12316 2개 공기청정기 제조·판매사업자의 부당한 표시·광고 행위 제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3 48
12315 2개 어학교재 판매업자의 방문판매법 위반행위에 대한 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8 101
12314 2개 온라인쇼핑몰 사업자들의 전자상거래법 위반행위 제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06 19
12313 2개 저가항공사의 위탁수하물 약관상 불공정약관 조항에 대한 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08 138
12312 2단계 서민금융 지원 대책으로서, 채무조정 제도를 전면 개편하겠습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01 119
12311 2시간 째 스마트폰, 당신의 뇌는 멈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02 44
12310 2월 12일부터 12-17세 청소년 대상 동절기 추가접종 시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09 16
12309 2월 13일부터 영유아(6개월-4세) 대상 코로나19 백신 당일접종 시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9 14
12308 2월 17일부터 서울·경기 전지역 고양이 동물등록 가능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12 81
12307 2월 18일부터 만 60세 이상 농지연금 가입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18 39
12306 2월 1일부터 40대 A형간염 고위험군무료 항체검사, 예방접종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31 19
Board Pagination Prev 1 ...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