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신용카드사 채무면제·유예상품, 불완전판매 여전해

- 카드사의 부가상품 청구내역 알기 쉽게 개선하고, 불완전판매 관리·감독 강화해야 -

 

신용카드사가 보험과 유사한 채무면제·유예상품(DCDS)*판매로 상당한 수익** 올리고 있지만 불완전판매로 인한 소비자불만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된 가입 경로가 소비자의 자발적 신청이 아닌 텔레마케팅 방식을 통한 비대면 거래인 경우가 많아 소비자의 주의가 요구된다.

1  

채무면제·유예상품 관련 소비자 불만, ‘불완전판매79.3%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이 최근 4년간(2012~2015)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채무면제·유예상품 관련 소비자상담 544건을 분석한 결과, 상품가입 동의의사 확인 미흡(273, 50.2%), 수수료 등 주요 거래조건 설명 미흡(83, 15.3%), 무료서비스로 알았으나 수수료 부과(75, 13.8%) 불완전판매 관련 불만79.3%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 1372소비자상담센터 : 10개 소비자단체, 16개 광역시도 지방자치단체, 한국소비자원이 참여하는 전국 단위의 통합 상담처리시스템

이어 질병범위 등 약관상 보상대상 제한(56, 10.3%), 병력 사전 미고지 등의 사유로 보상 거절(10, 1.8%) 보상금 지급 관련 불만 12.1%, 계약해지 후 수수료 부과 등 해지 관련 불만’ 2.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채무면제·유예상품 핵심설명서상 고객권리 및 유의사항표시 미흡

금융감독원은 채무면제·유예상품 가입사실을 비롯하여 수수료, 보장내용 및 가입신청 철회 등 고객의 권리 및 유의사항을 포함한 핵심설명서를 도입(2013.4.)하여, 신용카드사로 하여금 가입시점 뿐만 아니라 매년 1회 이상 가입자에게 정기적으로 발송하고 문자메시지로도 간략하게 그 내용을 알려주도록 하였다.

이에 7개 신용카드사*핵심설명서 살펴 본 결과, 수수료, 보장내용은 대부분 기재되어 있는 반면, ‘고객의 권리 유의사항과 관련한 내용은 미흡하여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7개 신용카드사 : 롯데, 비씨, 삼성, 신한, 하나, 현대, KB국민 (가나다순)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입신청 철회(30일 이내)와 불완전판매를 이유로 한 계약 취소(3개월 이내) 가능표시 3개사, ‘회원이 일정 연령(:61) 도달 시 카드사의 직권해지 관련 사항약 전 고객의 알릴 의무(기왕증 등) 위반 시 보상에서 제외됨표시 각각 1개사, ‘수수료가 소멸되는지 등 수수료 환급 여부에 대해 표시한 곳은 2개사에 불과하였다.

카드사의 부가상품 청구내역 알기 쉽게 개선하고, 불완전판매 관리·감독 강화해야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피해 예방을 위해 신용카드 채무면제·유예상품 판매를 권유하는 전화를 받을 경우 ▲수수료·보장내용 등을 꼼꼼히 따져 가입여부를 신중히 결정하고 ▲가입 후라도 불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30일 이내에 가입신청을 철회하며일부 소비자의 경우, 상품가입 사실조차 인지하지 못한 경우가 있으므로 카드대금 청구내역 확인을 통해 가입여부를 확인하고 불필요 시 해지할 것을 당부했다.

또한 올해 공정위 업무보고 핵심과제인 소비자가 신뢰하고 거래할 수 있는 시장기반 조성을 위해 관계부처에 ▲카드사의 채무면제·유예상품 불완전판매에 대한 주기적 모니터링 등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동 상품 핵심설명서 표시내용 보완 및 이용대금 청구서상의 부가상품 청구내역을 소비자가 보다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개선할 것을 건의할 예정이다.

 

[한국소비자원 2016-03-2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40 긴급한 보호가 필요한 주민등록번호 변경 처리기간 90일에서 45일 이내로 단축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19 21
5239 긴급재난지원금, 이사한 지역에서도 사용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18 11
5238 긴급재난지원금, 다음달 4일부터 이사한 지역에서 사용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28 10
5237 긴급재난지원금 대상자 선정기준 원칙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03 6
5236 긴급재난지원금 8월 31일까지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28 7
5235 긴급재난문자, 해당 지자체가 직접 보낸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16 39
5234 긴급재난문자 영어․중국어로도 받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09 80
5233 긴급자동차 특례 확대, 출동시간 더 빨라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13 11
5232 긴급여권 수수료, 일반여권 수준으로 상향 조정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03 8
5231 긴급신고전화 통합으로 신고는 쉽게, 출동은 빠르게!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1 30
5230 긴급수급 조정조치 후 첫 생산된 마스크 공급 시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6 36
5229 긴급생계지원, 내일키움일자리, 아동특별돌봄지원 안내를 위한 보건복지상담센터(129)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16 84
5228 긴급복지지원, 48시간 내 1개월 선지원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5 138
5227 긴급복지 연료비 인상으로 동절기 위기가구 지원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1 11
5226 긴급복지 선정 재산기준 40% 완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27 31
Board Pagination Prev 1 ... 572 573 574 575 576 577 578 579 580 581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