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원장 이재욱, 이하 농관원) 시험연구소는 소비자 우려가 높은 방사능, 방사선 및 다이옥신류에 대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국민 불안을 해소하여 왔으며, 이번에 생산 및 유통단계 농산물에서 방사능* 방사선조사(照射)** 다이옥신류*** 오염실태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밝혔다.
* 방사능 : 불안정한 원소의 핵이 붕괴하면서 α, β, γ 등의 방사선을 방출하는 능력
** 방사선조사(照射) : 식품에 이온화 에너지를 쪼여 식품의 품질을 보존향상시키는 기술
*** 다이옥신류 : 방향족 화합물에 여러 개의 염소가 붙어 있는 화합물로 분해가 잘 되지 않아 환경에 오랫동안 남으며 먹이사슬을 통하여 생체 내 축적될 수 있는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2,061건을 조사한 결과 방사능과 방사선은 검출되지 않았고, 다이옥신류의 경우 일부 극미량 검출되었으나 인체위해성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도 노지재배 농산물(방사능), 주산단지 저장장소 및 유통단계 농산물(방사선 조사), 소각시설 인근 재배 농산물(다이옥신류)에 대하여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방사능은 국내재배 생산단계 농산물 무 감자 배추 당근 등90품목 1,811건에 대해 요오드*, 세슘** 잔류여부를 조사한 결과 불검출로 나타나 방사능에 대해서는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 요오드(131I) : 감마 방출 핵종으로 핵연료 분열 때 생성되며 반감기는 8일, 갑상선 장애 유발
** 세슘(134Cs, 137Cs) : 감마 방출 핵종으로 핵 연료 분열시 생성되며 반감기는 134Cs 2년, 137Cs 30년, 오심구토골수기능저하피부암 유발
- 또한 세슘에 비해 방출량이 적으나 국민들이 불안해 할 수 있는 플루토늄* 및 스트론튬**에 대해서도 무감자배추포도 등 23품목 100건을 조사한 결과 모두 불검출로 나타나 안전한 것으로 밝혀졌다.
* 플루토늄(239Pu) : 베타 방출 핵종으로 핵연료 분열 때 생성되며 반감기는 2.4×104년
** 스트론튬(90Sr) : 베타 방출 핵종으로 핵연료 분열시 생성되며 반감기는 29.1년, 백혈병, 조혈기능장애, 골수암 유발
방사선조사는 현재 국내 26개 품목에서 허용하고 있으며, 방사선조사식품에 대한 표시제를 시행하고 있는데, 주산단지 저장장소 및 유통단계 농산물 감자 양파 마늘 등 13품목 100건에 대해 방사선조사(照射)* 여부를 분석한 결과 조사(照射)된 시료는 나타나지 않았다.
* 조사식품(照射食品)는 전리방사선(60Co, 10 MeV 이하의 전자선)을 사용하여 식품을 처리하는 기술로 식품의 발아억제, 살균, 살충, 숙도조절을 위해 사용
다이옥신류*는 오염이 우려되는 소각시설 주변 농지 재배 농산물 배추 풋고추 복숭아 등 24품목 50건을 조사한 결과, 41건에서 불검출 되었고 9건에서 극미량(0.0001 ~ 0.0163 pg TEQ/g) 검출되었으나 위해도 평가결과 인체위해성(0~0.079%)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국내 다이옥신류 허용기준(식품공전) : 소고기 4 pg TEQ/g fat, 돼지고기 2 pg TEQ/g fat, 닭고기 3 pg TEQ/g fat
농관원 이재욱 원장은 앞으로도 소비자 우려가 큰 방사능물질 및 다이옥신류에 대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국내농산물 안전성을 확보하고 소비자 불안을 해소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16년 조사계획 : 방사능(550건), 방사선(50건), 다이옥신류(50건)

[농림축산식품부 2016-03-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220 금융꿀팁 200선 -(80) 저축은행 예-적금 알뜰하게 활용하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25 41
7219 교육부, 전문대학교육협의회 2022년까지 전문대학 입학금 전면 폐지 합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22 41
7218 부정청탁금지법 시행령 개정안 16일 국무회의 의결, 17일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16 41
7217 에너지 정보를 쉽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09 41
7216 실업급여제도,1995년 도입이후 22년만에 대폭 개선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8 41
7215 인천공항 수하물처리 빠르고 똑똑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8 41
7214 다단계판매업자 · 후원방문판매업자의 정보공개에 관한 고시 시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2 41
7213 2018년 기초연금 선정 기준액, ’17년 119만원에서 11만원 오른 130만원(단독가구 기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19 41
7212 2017년 11월 소비자상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15 41
7211 식약처, 여성 생리용품 ‘생리컵’ 허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07 41
7210 응급실 감염예방과 신속한 환자 진료를 위해 응급실 출입가능 보호자 수, 환자당 1명으로 제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01 41
7209 성희롱 사건처리 시 주무부처·기관장 책임 강화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30 41
7208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 (8월 14일) 국가 기념일 지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24 41
7207 수입이 금지된 미국산‘건강기능식품’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22 41
7206 공연장에서도 영화관처럼 사전대피 안내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13 41
Board Pagination Prev 1 ... 440 441 442 443 444 445 446 447 448 449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