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중증장애인 출퇴근 비용지원의 대상.기준 및 절차 마련
장애인 근로자 보조공학기기?장비 지원의 대상 등 규정


정부는 7월 5일(화) 국무회의에서 고용노동부 소관 법령인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시행령" 개정안을 심의.의결했다.

이번 개정은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개정(`22.1.11.)의 후속 조치로, 중증장애인 출퇴근 비용과 장애인 근로자 보조공학기기.장비 지원 및 그 구입.사용에 지출한 비용지원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기 위함이다.

올해 7월 12일부터 시행되는 시행령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중증장애인 출퇴근 비용 지원
’21년 중증장애인의 안정적인 직업생활 유지를 위해 중증장애인 출퇴근 비용지원 사업이 도입되었다.
이번 개정령안에서는 출퇴근 비용의 지원 대상을 임금수준 등을 고려하여 정하되, 지원절차 및 지원에 필요한 세부 기준은 시행규칙과 고시에 각각 재위임했다.

’22년에는 사업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전체 최저임금 적용제외 인가자로 대상자를 확대하여, 월 최대 5만 원 한도 내에서 출퇴근에 지출한 비용 실비를 지원하고 있다.
출퇴근 비용지원을 원하는 중증장애인 근로자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지역본부 및 지사에 직접 방문하여 신청할 수 있다.

② 장애인 근로자 보조공학기기 지원 등
그간 장애인 근로자는 차량용 보조공학기기를 제외하고는 사업주 신청을 통해서만 직업생활에 필요한 보조공학기기.장비를 지원받을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사업주의 관심이 부족한 경우 보조공학기기.장비를 지원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장애인 근로자에게도 기기 신청권을 확대해야 한다는 요구가 제기되었다.
이번 개정령안에서는 장애인 근로자가 보조공학기기?장비를 신청하는 경우, 장애정도.예산 등을 고려해 기기.장비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장애인 근로자에게도 보조공학기기?장비 신청권이 부여되면서 장애유형.특성을 고려한 개인맞춤형 기기.장비 지원이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

③ 민감정보 처리규정 정비
장애인 근로자 지원 사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민감정보 및 고유식별정보 처리 권한을 부여하고, 장애인 고용지원을 위해 필요한 사무 중 범죄경력자료 처리가 가능한 사무를 반드시 필요한 경우로 제한하여 장애인 고용사업주 및 장애인 당사자의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하였다.



[ 고용노동부 2022-07-0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8 식약처, 건강한 설 명절을 위한 식.의약품 안전정보 제공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6 115
217 알아두면 도움되는 설연휴 ‘꿀 팁’ 「공공정보 10선」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6 85
216 중국 미용,성형 환자 등 외국인환자 권리보호 강화된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6 129
215 여성이 남성보다 1.4배 많은『이명(귀 울림)』, 남성보다 취약한 여성은 스트레스 등 악화요인 피해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6 129
214 독거노인이 마음을 터놓고 의지할 수 있는 친구 만들기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6 86
213 주택도시기금법 시행령 · 시행규칙 제정안 입법예고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6 119
212 설 물가 지난해보다 평균 5.7% 인상, 전통시장과 일반 슈퍼는 오히려 하락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6 347
211 ‘14년 교통사고 사망자 4,762명 ... 최근 2년 간 빠르게 감소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3 101
210 여(女) 보세요! R&D자금을 지원해드립니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3 117
209 설 성수품 판매가격, 전통시장이 백화점 보다 35.6% 저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3 129
208 설명자료(한국경제신문과 국민일보 '치약, 화장품으로 전환' 기사관련)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3 192
207 국내 유통 농산물의 농약 잔류 걱정하지 마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3 154
206 설맞이 선물, 주류·건강기능식품·의료기기 등 구입 시 이것만은 주의 하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3 176
205 학교감염병 감기, 수두, 유행성이하선염 순으로 많이 발생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3 126
204 설 연휴 기간 감염병 발생 주의 당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3 134
Board Pagination Prev 1 ... 906 907 908 909 910 911 912 913 914 915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