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주요 내용-


□ 「2019 퇴원손상통계」발간을 통해 손상입원환자 발생 현황 보고


 ○ 2019년 입원환자 723만 명 중 손상이 116만 명(16.1%)으로 1위


 ○ 손상 중 추락·낙상이 1위(전 연령 중 42.1%, 75세 이상 중 67.2%)


 ○ 전체 입원환자의 입원기간은 평균 8일, 손상으로 인한 입원은 13일



□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은 2019년 손상*으로 인해 병원에 입원한 환자 대상의 의무기록조사(퇴원손상심층조사)** 결과를 분석, 「2019 퇴원손상통계」를 6월 30일에 발간하고, 원시자료***를 공개하였다.

   * (손상) 각종 사고, 재해 또는 중독 등 외부적 위험요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신체적․정신적 건강상의 문제

  ** (퇴원손상심층조사) 매년 100병상 이상 200여 개 표본병원의 퇴원환자 9%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의무기록조사로 국가 대표 통계 산출

 *** (원시자료) 입력오류, 조사오류 등이 정제된 통계 기초자료 중 특정 개인이나 법인 또는 단체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제외한 자료




□ 우리나라 한 해 입원환자는 2019년 기준 723만 명(100병상 이상 규모 병원) 이었으며, 이중 손상환자가 116만 명(16.1%)으로 가장 많았다. (그림 1 참고)



 ○ 손상환자 중에는 남자 환자가 더 많았고(53.2%), 65세 이상은 여자 환자가 더 많았다. (그림 2 참고)


  - 또한 남자는 55~64세에서, 여자는 75세 이상에서 입원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그림> 1. 2019년 질환별 퇴원환자 분포


<그림> 2. 2019년 성·연령별 손상입원환자수



 ○ 손상환자의 96.2%는 비의도성 사고에 의한 환자이며, 의도성 자해나 폭행에 의한 환자는 각각 1.8%, 1.5%이었다.


  - 남자의 경우 의도성 자해(1.6%)보다 폭행(1.9%)이 많았고, 여자는 의도성 자해(2.1%)가 폭행(1.1%)보다 많은 편이었다.


  - 15~24세는 의도성 자해에 의한 환자가 3.2%, 폭행에 의한 환자가 3.6%로 다른 연령군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



 ○ 손상기전별로는 추락·낙상환자가 가장 많았고(42.1%), 운수사고(27.8%), 부딪힘(10.8%)에 의한 환자가 그 다음 순으로 많았다. (그림 3 참고)


  - 추락·낙상환자는 75세 이상에서 67.2%였으며, 65~74세도 51.8%를 차지하였다. 반면에 15~54세 연령군은 운수사고환자가 가장 많았다.


  - 중독 손상환자는 비의도성 사고에 의한 환자보다(35.0%), 의도성 자해(60.9%) 환자가 많았는데, 0~14세의 경우 87.6%가 비의도성 사고에 의한 중독이었다. (표 1 참고) 



<그림> 3. 2019년 주요 손상기전(전체 및 연령별)




[표 1] 2019년 중독 손상환자수 및 의도성에 따른 분포


undefined

구분

전체

연령별()

0-14

15-24

25-34

35-44

45-54

55-64

65-74

75이상

중독 손상환자수()

24,258.3

658.8

2,012.6

2,517.9

2,865.0

4,135.2

4,420.5

3,065.4

4,583.0

의도

(%)

비의도성

35.0

87.6

21.1

21.2

27.5

24.6

47.4

43.0

37.8

의도성 자해

60.9

11.1

78.9

77.5

70.5

71.1

47.4

50.3

55.8

폭행

0.1

-

-

-

-

-

-

0.6

-

미확인

4.1

1.3

-

1.3

2.0

4.2

5.2

6.1

6.4


 * 자료원: 2019 퇴원손상통계(질병관리청)



 ○ 전체 입원환자의 평균재원일수*는 8일이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입원 기간이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림 4 참고)

    * (평균재원일수) 일 단위의 입원 기간의 평균


  - 손상환자의 평균재원일수는 13일로, 전체 평균(8일)에 비해 길게 입원하였으며, 손상환자도 연령 증가에 따라 입원 기간이 늘어나 0~14세는 7일, 75세 이상은 17일간 입원하였다.


  - 손상기전별로는 불·화염·열에 의한 손상환자의 평균재원일수는 17일로 가장 길었고, 추락·낙상환자도 14일로 평균보다 길었다.



<그림> 4. 2019년 전체 및 손상 입원환자의 평균 입원일수




□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은 “손상은 고위험군의 특성에 맞게 환경과 위험요인을 적절히 통제함으로써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면서, 



 ○ “손상조사감시사업을 통해 손상 발생 위험요인을 찾아내고, 이를 근거로 예방관리사업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겠다.”라고 밝혔다.



 ○ 「2019 퇴원손상통계」는 국가손상정보포털 누리집*의 자료실에서 내려받을 수 있으며, 원시자료 제공방법도 안내하고 있다.

    * 국가손상정보포털 누리집 바로가기 :  http://www.kdca.go.kr/injury



[ 질병관리청 2022-06-3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54 만성질환자를 위한 자가투여 주사제 안전사용 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26 14
2353 건설근로자공제회, 하반기 대학생 자녀 학자금대출 이자지원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24 14
2352 보험 가입시 설계사 및 GA의 신뢰도 정보를 확인,요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22 14
2351 이제 인터넷 화면에서 바로 공문서 작성해서 제출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18 14
2350 현대자동차, BMW, 포드, FMK 결함시정 (리콜) 실시 [총 12개 차종 10,813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18 14
2349 2021년까지 전국 모든 중·고교 학생 탈의실 설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17 14
2348 한국지엠, 포드 등 결함시정 (리콜) 실시 [총 5개 차종 830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10 14
2347 사업자등록 사실증명, 이제 영문으로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8 14
2346 무선물걸레청소기, 청소성능·사용시간 등 성능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8 14
2345 니켈 기준 초과 검출 식품용 기구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8 14
2344 장애등급제 개편에 맞춰 감염병예방법 상 장애일시보상금 기준 정비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2 14
2343 치매보험금 분쟁을 선제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보험약관을 개선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2 14
2342 7월 중점관리 대상 재난안전사고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7 14
2341 생활안전지도를 개선할 아이디어를 찾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7 14
2340 「국민건강보험법 시행규칙」 개정안 입법예고 (6.26~7.5)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7 14
Board Pagination Prev 1 ... 764 765 766 767 768 769 770 771 772 773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