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주요 내용-


□ 「2019 퇴원손상통계」발간을 통해 손상입원환자 발생 현황 보고


 ○ 2019년 입원환자 723만 명 중 손상이 116만 명(16.1%)으로 1위


 ○ 손상 중 추락·낙상이 1위(전 연령 중 42.1%, 75세 이상 중 67.2%)


 ○ 전체 입원환자의 입원기간은 평균 8일, 손상으로 인한 입원은 13일



□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은 2019년 손상*으로 인해 병원에 입원한 환자 대상의 의무기록조사(퇴원손상심층조사)** 결과를 분석, 「2019 퇴원손상통계」를 6월 30일에 발간하고, 원시자료***를 공개하였다.

   * (손상) 각종 사고, 재해 또는 중독 등 외부적 위험요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신체적․정신적 건강상의 문제

  ** (퇴원손상심층조사) 매년 100병상 이상 200여 개 표본병원의 퇴원환자 9%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의무기록조사로 국가 대표 통계 산출

 *** (원시자료) 입력오류, 조사오류 등이 정제된 통계 기초자료 중 특정 개인이나 법인 또는 단체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제외한 자료




□ 우리나라 한 해 입원환자는 2019년 기준 723만 명(100병상 이상 규모 병원) 이었으며, 이중 손상환자가 116만 명(16.1%)으로 가장 많았다. (그림 1 참고)



 ○ 손상환자 중에는 남자 환자가 더 많았고(53.2%), 65세 이상은 여자 환자가 더 많았다. (그림 2 참고)


  - 또한 남자는 55~64세에서, 여자는 75세 이상에서 입원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그림> 1. 2019년 질환별 퇴원환자 분포


<그림> 2. 2019년 성·연령별 손상입원환자수



 ○ 손상환자의 96.2%는 비의도성 사고에 의한 환자이며, 의도성 자해나 폭행에 의한 환자는 각각 1.8%, 1.5%이었다.


  - 남자의 경우 의도성 자해(1.6%)보다 폭행(1.9%)이 많았고, 여자는 의도성 자해(2.1%)가 폭행(1.1%)보다 많은 편이었다.


  - 15~24세는 의도성 자해에 의한 환자가 3.2%, 폭행에 의한 환자가 3.6%로 다른 연령군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



 ○ 손상기전별로는 추락·낙상환자가 가장 많았고(42.1%), 운수사고(27.8%), 부딪힘(10.8%)에 의한 환자가 그 다음 순으로 많았다. (그림 3 참고)


  - 추락·낙상환자는 75세 이상에서 67.2%였으며, 65~74세도 51.8%를 차지하였다. 반면에 15~54세 연령군은 운수사고환자가 가장 많았다.


  - 중독 손상환자는 비의도성 사고에 의한 환자보다(35.0%), 의도성 자해(60.9%) 환자가 많았는데, 0~14세의 경우 87.6%가 비의도성 사고에 의한 중독이었다. (표 1 참고) 



<그림> 3. 2019년 주요 손상기전(전체 및 연령별)




[표 1] 2019년 중독 손상환자수 및 의도성에 따른 분포


undefined

구분

전체

연령별()

0-14

15-24

25-34

35-44

45-54

55-64

65-74

75이상

중독 손상환자수()

24,258.3

658.8

2,012.6

2,517.9

2,865.0

4,135.2

4,420.5

3,065.4

4,583.0

의도

(%)

비의도성

35.0

87.6

21.1

21.2

27.5

24.6

47.4

43.0

37.8

의도성 자해

60.9

11.1

78.9

77.5

70.5

71.1

47.4

50.3

55.8

폭행

0.1

-

-

-

-

-

-

0.6

-

미확인

4.1

1.3

-

1.3

2.0

4.2

5.2

6.1

6.4


 * 자료원: 2019 퇴원손상통계(질병관리청)



 ○ 전체 입원환자의 평균재원일수*는 8일이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입원 기간이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림 4 참고)

    * (평균재원일수) 일 단위의 입원 기간의 평균


  - 손상환자의 평균재원일수는 13일로, 전체 평균(8일)에 비해 길게 입원하였으며, 손상환자도 연령 증가에 따라 입원 기간이 늘어나 0~14세는 7일, 75세 이상은 17일간 입원하였다.


  - 손상기전별로는 불·화염·열에 의한 손상환자의 평균재원일수는 17일로 가장 길었고, 추락·낙상환자도 14일로 평균보다 길었다.



<그림> 4. 2019년 전체 및 손상 입원환자의 평균 입원일수




□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은 “손상은 고위험군의 특성에 맞게 환경과 위험요인을 적절히 통제함으로써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면서, 



 ○ “손상조사감시사업을 통해 손상 발생 위험요인을 찾아내고, 이를 근거로 예방관리사업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겠다.”라고 밝혔다.



 ○ 「2019 퇴원손상통계」는 국가손상정보포털 누리집*의 자료실에서 내려받을 수 있으며, 원시자료 제공방법도 안내하고 있다.

    * 국가손상정보포털 누리집 바로가기 :  http://www.kdca.go.kr/injury



[ 질병관리청 2022-06-3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543 농식품부, 2015 식품산업 원료소비 실태조사 결과 발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24 97
5542 농식품부, 1.6일부터 '설 성수품 수급안정대책반' 운영!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06 70
5541 농식품 원산지표시 상습위반자 최고 5배 과징금 부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19 30
5540 농식품 공공데이터 이렇게 활용 할 수 있어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9 88
5539 농수산식품 원산지표시 확대로 국민 알권리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03 97
5538 농수산물 지역명 표시제도 간소화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14 83
5537 농수산물 원산지표시 위반 재범자 처벌 대폭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02 58
5536 농수산물 원산지표시 위반 재범자 처벌 대폭 강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02 46
5535 농산물의 생산자를 위한 직접지불제도 시행규칙 개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07 74
5534 농산물의 생산자를 위한 직접지불제도 시행규정 개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31 99
5533 농산물에 남아있는 농약이 걱정되세요? 농약 PLS가 걱정을 덜어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30 53
5532 농산물 품질 구분이 쉬워진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2 84
5531 농산물 잔류농약 엄격하게 관리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2 33
5530 농산물 안전성 조사결과 세부 정보 실시간 공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01 104
5529 농사에 요긴한 농업활동 지원정보, 공공데이터포털에 다(多) 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16 59
Board Pagination Prev 1 ... 546 547 548 549 550 551 552 553 554 555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