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주요 내용-


□ 「2019 퇴원손상통계」발간을 통해 손상입원환자 발생 현황 보고


 ○ 2019년 입원환자 723만 명 중 손상이 116만 명(16.1%)으로 1위


 ○ 손상 중 추락·낙상이 1위(전 연령 중 42.1%, 75세 이상 중 67.2%)


 ○ 전체 입원환자의 입원기간은 평균 8일, 손상으로 인한 입원은 13일



□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은 2019년 손상*으로 인해 병원에 입원한 환자 대상의 의무기록조사(퇴원손상심층조사)** 결과를 분석, 「2019 퇴원손상통계」를 6월 30일에 발간하고, 원시자료***를 공개하였다.

   * (손상) 각종 사고, 재해 또는 중독 등 외부적 위험요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신체적․정신적 건강상의 문제

  ** (퇴원손상심층조사) 매년 100병상 이상 200여 개 표본병원의 퇴원환자 9%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의무기록조사로 국가 대표 통계 산출

 *** (원시자료) 입력오류, 조사오류 등이 정제된 통계 기초자료 중 특정 개인이나 법인 또는 단체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제외한 자료




□ 우리나라 한 해 입원환자는 2019년 기준 723만 명(100병상 이상 규모 병원) 이었으며, 이중 손상환자가 116만 명(16.1%)으로 가장 많았다. (그림 1 참고)



 ○ 손상환자 중에는 남자 환자가 더 많았고(53.2%), 65세 이상은 여자 환자가 더 많았다. (그림 2 참고)


  - 또한 남자는 55~64세에서, 여자는 75세 이상에서 입원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그림> 1. 2019년 질환별 퇴원환자 분포


<그림> 2. 2019년 성·연령별 손상입원환자수



 ○ 손상환자의 96.2%는 비의도성 사고에 의한 환자이며, 의도성 자해나 폭행에 의한 환자는 각각 1.8%, 1.5%이었다.


  - 남자의 경우 의도성 자해(1.6%)보다 폭행(1.9%)이 많았고, 여자는 의도성 자해(2.1%)가 폭행(1.1%)보다 많은 편이었다.


  - 15~24세는 의도성 자해에 의한 환자가 3.2%, 폭행에 의한 환자가 3.6%로 다른 연령군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



 ○ 손상기전별로는 추락·낙상환자가 가장 많았고(42.1%), 운수사고(27.8%), 부딪힘(10.8%)에 의한 환자가 그 다음 순으로 많았다. (그림 3 참고)


  - 추락·낙상환자는 75세 이상에서 67.2%였으며, 65~74세도 51.8%를 차지하였다. 반면에 15~54세 연령군은 운수사고환자가 가장 많았다.


  - 중독 손상환자는 비의도성 사고에 의한 환자보다(35.0%), 의도성 자해(60.9%) 환자가 많았는데, 0~14세의 경우 87.6%가 비의도성 사고에 의한 중독이었다. (표 1 참고) 



<그림> 3. 2019년 주요 손상기전(전체 및 연령별)




[표 1] 2019년 중독 손상환자수 및 의도성에 따른 분포


undefined

구분

전체

연령별()

0-14

15-24

25-34

35-44

45-54

55-64

65-74

75이상

중독 손상환자수()

24,258.3

658.8

2,012.6

2,517.9

2,865.0

4,135.2

4,420.5

3,065.4

4,583.0

의도

(%)

비의도성

35.0

87.6

21.1

21.2

27.5

24.6

47.4

43.0

37.8

의도성 자해

60.9

11.1

78.9

77.5

70.5

71.1

47.4

50.3

55.8

폭행

0.1

-

-

-

-

-

-

0.6

-

미확인

4.1

1.3

-

1.3

2.0

4.2

5.2

6.1

6.4


 * 자료원: 2019 퇴원손상통계(질병관리청)



 ○ 전체 입원환자의 평균재원일수*는 8일이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입원 기간이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림 4 참고)

    * (평균재원일수) 일 단위의 입원 기간의 평균


  - 손상환자의 평균재원일수는 13일로, 전체 평균(8일)에 비해 길게 입원하였으며, 손상환자도 연령 증가에 따라 입원 기간이 늘어나 0~14세는 7일, 75세 이상은 17일간 입원하였다.


  - 손상기전별로는 불·화염·열에 의한 손상환자의 평균재원일수는 17일로 가장 길었고, 추락·낙상환자도 14일로 평균보다 길었다.



<그림> 4. 2019년 전체 및 손상 입원환자의 평균 입원일수




□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은 “손상은 고위험군의 특성에 맞게 환경과 위험요인을 적절히 통제함으로써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면서, 



 ○ “손상조사감시사업을 통해 손상 발생 위험요인을 찾아내고, 이를 근거로 예방관리사업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겠다.”라고 밝혔다.



 ○ 「2019 퇴원손상통계」는 국가손상정보포털 누리집*의 자료실에서 내려받을 수 있으며, 원시자료 제공방법도 안내하고 있다.

    * 국가손상정보포털 누리집 바로가기 :  http://www.kdca.go.kr/injury



[ 질병관리청 2022-06-3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576 시민연합 대리운전가맹점협의회의 사업자단체 금지행위에 대한 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08 207
5575 시민이 뽑은 ‘한국사회 변화시킨 10대 공익제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05 55
5574 시설물 사용자라면 누구나 “앱으로 안전점검 결과 한눈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01 27
5573 시세 30% 수준 ‘청년매입임대주택’ 1,500호 연내 공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09 48
5572 시세 30% 수준의 청년매입임대주택 430호 입주자 모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12 35
5571 시세를 반영한 공시가격, 공평과세의 시작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4 16
5570 시외버스 예매“보다 간단하고 편리하게”...예매서비스 전면 개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28 43
5569 시외버스 예약~탑승~도착 등 이용단계별 서비스 개선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3 111
5568 시외버스 정기·정액권 도입으로 이용객 부담 완화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12 40
5567 시외버스도 지정좌석제·승차권 왕복발권 서비스 시행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28 96
5566 시원한 여름, 따뜻한 겨울, 『에너지바우처』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27 10
5565 시장의 소비자지향성 수준, 2년 전에 비해 상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20 36
5564 시장의 절반 이상은 소비자 지향성 부족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8 233
5563 시장질서 교란행위 위반사례 첫 적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22 64
5562 시정권고·의견표명 미해결 고충민원 274건 중 8개 기관이 절반에 달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23 25
Board Pagination Prev 1 ... 546 547 548 549 550 551 552 553 554 555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