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용- 

□ 전국 폭염특보 지역 확대로 열탈진․열사병 등 온열질환자 증가 예상 

□ 온열질환자는 주로 실외, 낮 시간대(12〜17시)에 많이 발생 

□ 폭염 시에는 야외 작업 등 활동을 자제하고, 3대 수칙(물‧그늘‧휴식) 준수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은 당분간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일최고체감온도가 31이상으로 오를 것(기상청)으로 예상됨에 따라 무더위로 인한 온열질환* 발생에 주의할 것을 당부하였다

 

   * 온열질환은 열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질환으로,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 시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저하 등의 증상을 보이고, 방치 시에는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는 질환으로 열사병과 열탈진이 대표적임. 

 

 

최근 5년간(2017~2021)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자료를 분석한 결과, 신고된 온열질환자는 총 10,395(추정사망자 99명 포함)으로, 연평균 2,079명의 온열질환자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온열질환 발생 주요 특성

 2017~2021년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운영결과

 환자 특성 (성별남자(76.0%), (연령별) 50(22.3%) > 60대이상(16.5%)

 발생 시간 낮 시간대 12~17(48.3%)

 발생 장소 실외(77.6%) > 실내(22.4%)

* [실외실외작업장(31.5%) > (13.5%) > 길가(11.6%)

* [실내(9.8%) > 실내작업장(6.2%) > 기타(2.8%)

 

 

 온열질환자는 주로 실외 작업장(31.5%)과 논밭(13.5%)에서 활동 중 증상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절반가량(48.3%)12~17시 낮 시간대에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22.5.20.~6.29.)운영 결과, 발생한 온열질환자는 206명으로 전년 동기간과 대비하여 74.6% 증가(88)한 것으로 나타났고, 전국적으로 폭염이 확대될 경우 온열질환은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폭염으로 인한 건강피해는 건강수칙을 지키는 것만으로도 예방이 가능하므로, 물 자주 마시기, 더운 시간대에는 휴식하기 등 건강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폭염 시에는 갈증을 느끼기 이전부터 규칙적으로 수분을 섭취해야 하며, 어지러움, 두통, 메스꺼움 등 초기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활동을 중단하고, 시원한 곳으로 이동하여 휴식을 취한다

 

    폭염 주의보·경보가 발령되면 가능한 위험시간대(12~17) 활동을 줄이고, 불가피한 경우에는 챙 넓은 모자, 밝고 헐렁한 옷 등을 착용하면 온열질환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음주는 체온을 상승시키며, 다량의 카페인이 함유된 커피나 탄산음료는 이뇨작용으로 탈수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과음(과용)을 피한다

 

    심혈관질환, 당뇨병, 뇌졸중 등 만성질환이 있는 사람은 더위로 인해 증상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더위에 오래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기존 치료를 잘 유지하면서 무더위에는 활동 강도를 평소보다 낮추는 것이 좋다

 

    어린이나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는 자동차나 집에 혼자 남겨두지 않도록 하며, 부득이 외출할 때에는 이웃이나 친인척에게 보호를 부탁해야 한다

 

      

온열질환자가 발생하면 즉시 환자를 시원한 장소로 옮기고, 물수건얼음 등으로 몸을 닦고, 부채나 선풍기 등으로 체온을 내리며,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한다.

 

    특히 의식이 없는 경우에는 신속히 119에 신고하여 병원으로 이송해야 하며, 질식 위험이 있으므로 음료수를 억지로 먹이지 않도록 한다.

 

      

질병관리청 백경란 청장은 온열질환은 건강수칙을 잘 지키는 것만으로도 예방이 가능한 만큼 무더위 시 장시간의 실외활동을 자제하고 충분히 물을 마시고 주기적으로 휴식하는 등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하였다

 

   폭염대비 건강수칙 3가지

 물 자주 마시기

갈증을 느끼지 않아도 규칙적으로 자주 물이온음료 마시기

*신장질환자는 의사와 상담 후 섭취

 시원하게 지내기

시원한 물로 목욕 또는 샤워하기

헐렁하고 밝은 색깔의 가벼운 옷 입기

외출 시 햇볕 차단하기(양산모자)

 더운 시간대에는 휴식하기

가장 더운 시간대( 12~ 17)에는 휴식 취하기

*갑자기 날씨가 더워질 경우 자신의 건강상태를 살피며 활동 강도 조절하기

 

 

 



[ 질병관리청 2022-07-0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311 '슬램덩크' 가품 '굿즈' 판매하는 해외쇼핑몰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23.03.22
3310 숨 막히는 폭염, 온열질환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21.07.20
3309 밤코스메틱(Bomb Cosmetics) 입욕제, 작은 부품 삼킴 우려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20.05.21
3308 코로나19 관련 헬스장 이용 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20.03.19
3307 유해물질 함유된 Bloodline 문신잉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20.02.17
3306 지역축제 안전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19.04.04
3305 편리한 전동킥보드, 안전하게 이용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19.03.21
3304 잔류농약 기준 초과 수입 마늘쫑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19.02.22
3303 헤나 염모 · 문신 전, 반드시 패치테스트 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18.12.12
3302 추석연휴 기간 ‘철도역사 안전하게 이용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17.09.25
3301 가을 신학기 대비 학교급식 식중독 예방 합동점검 사전예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17.08.08
3300 페룰(Ferrule) 부식으로 낙상 위험 있는 Wild Country 클라이밍 장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5 2023.04.18
3299 내부 단락 발생 가능성 있는 Anker 보조배터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5 2023.04.06
3298 벤젠 검출된 자외선차단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5 2022.06.08
3297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7)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5 2022.02.14
3296 2-클로로에탄올 성분 함유된 Emergen-C(24팩) 식품보조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5 2021.12.22
3295 곡물 찜질팩 구입 및 사용 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5 2020.02.07
3294 열대과일 '리치' 공복에 섭취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5 2019.06.17
3293 Officeworks 교구세트, 건전지 삼킴 우려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5 2019.06.14
3292 SENJO COLOR 바디페인트 화장품, 피부알레르기 유발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5 2019.06.14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